[儒林 속 한자이야기] (28)
유림 132 에는 ‘臨渴掘井(임할 림,목마를 갈,팔 굴,우물 정)’이라는 成語(성어)가 나온다.
‘臨’의 본래 뜻은 ‘높은 위치에서 몸을 구부려 아래쪽의 물건을 내려다보는’ 것으로,臥(와)와 品(품)이 합쳐진 글자이다.‘臣’의 본래 뜻은 ‘구부리고 앉아 있는 사람’이며,‘臥’는 무엇에 기대 앉아 쉬는 상태를 나타낸다.‘品(품)’의 원래 뜻은 세 사람의 입,즉 ‘여러 사람’을 나타낸다.
臨자의 用例(용례)는 형편에 따라 적절한 수단을 강구한다는 臨機應變(임기응변),시기가 닥쳐온다는 ‘臨迫(임박)’,부모가 돌아가실 때 곁에서 지키는 ‘臨終(임종)’이 있다.
‘渴’은 ‘水’와 ‘曷(어찌 갈)’이 합쳐진 글자로 본래의 ‘물이 다 마르다.’라는 뜻에서 ‘목마르다.’는 의미와 ‘급하다.’는 뜻이 派生(파생)했고,‘渴求(갈구)’‘渴望(갈망)’‘枯渴(고갈)’ 등에 渴자가 쓰인다.‘掘(굴)’은 ‘才(手)’와 ‘屈(굴)’을 합쳐 ‘손에 기구를 잡고 땅을 판다.’는 뜻이 됐다.‘掘起(굴기)’‘發掘(발굴)’‘採掘(채굴)’ 등에서처럼.
‘井(정)’은 물을 긷기 위한 설비에 오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싸놓은 木柵(목책)에서 유래한 글자다.井자의 용례로는 살림살이의 수고로움을 뜻하는 ‘井臼之役(우물 정,절구 구,어조사 지,일 역)’‘井底之蛙(우물 정,밑 저,어조사 지,개구리 와)’‘市井(시정)’ 등이 있다.
臨渴掘井은 ‘晏子春秋(안자춘추)’의 齊(제)나라 景公(경공)과 망명객인 魯(노)나라 昭公(소공) 사이에 오간 이야기에서 유래했다.소공이 왕위에서 쫓겨난 것은 결국 충직한 사람들의 의견을 듣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하자,경공은 지난날의 過誤(지날 과,잘못 오)를 깊이 인식하고 있으므로 머지않아 어진 君主(군주)로 거듭날 것이라고 위로한다.
그러나 곁에 있던 재상 晏(안영)은 ‘위급함에 처해야 서둘러 무기를 만들고,목이 말라야 우물을 파는 것과 같아서,아무리 재빨리 무기를 만들고 우물을 파더라도 이미 늦은 일일 뿐’이라며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한다.
여기서 臨渴掘井은 ‘평소에 준비 없이 있다가 일을 당해 허둥지둥 서두름’을 이르게 됐다.渴而穿井(갈이천정),臨陣磨槍(임진마창),鬪而鑄兵(투이주병)도 이와 유사한 말이다.
반면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걱정할 것이 없음’을 일컫는 말로 ‘有備無患(있을 유,갖출 비,없을 무,근심 환)’이 있다.
‘尙書’ 說命편에는 傅說(부열)이라는 어진 재상이 殷(은)나라의 高宗(고종)에게 ‘판단이 옳다면 이를 행동으로 옮기되,그 행동은 時宜(시의)에 맞도록 해야 합니다.자신의 능함을 자랑하다가는 공을 잃고 마는 법.오직 모든 일에 있어서는 철저한 준비가 있어야 하니,준비가 있으면 훗날의 걱정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進言(진언)하는 기록이 보인다.
또 ‘春秋左傳(춘추좌전)’에는 晉(진)이 鄭(정)을 服屬(복속)하자 정나라가 보내온 화친의 선물 중 절반을 魏絳(위강)에게 보낸다.
위강은 정나라 공략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한 사람이다.위강은 ‘편안할 때는 위태로움을 생각하라는 말이 있으니,위태로움을 생각한다면 준비가 있어야 할 것이며,준비가 잘 되어 있으면 근심할 것이 없습니다.’라고 하면서 왕의 선물을 거절한다.장마가 계속되고 있다.큰 災難(재난)을 당하고 나서 臨渴掘井의 수선을 피우기보다 有備無患의 자세로 꼼꼼히 살피는 注意力(주의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김석제 반월정보산업고 교사(철학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