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속 한자이야기] (46)
유림 219호에는 ‘艱難辛苦’(어려울 간/어려울 난/매울 신/쓸 고)가 나오는데, 이 말은 ‘몹시 힘들고 어려우며 고생스러움’을 뜻하며,‘艱難險阻’(간난험조),‘千辛萬苦’(천신만고)와 뜻이 類似(유사)하다.
링컨 에비에이터 자세히보기
‘辛’자는 손잡이가 있고 양날이 있어 자를 수 있으며 끝이 뾰족하여 찌를 수도 있는 刑具(형구)의 상형이다. 후에 ‘맵다’‘매운 맛’‘고통’ 등의 뜻으로 확대됐다. |
'儒林(유림)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림 속 한자이야기] (59) (0) | 2020.09.13 |
---|---|
[儒林 속 한자이야기] (54)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 (28)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 (26) (0) | 2020.09.13 |
[儒林속 한자이야기] (25) (0) | 202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