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림 속 한자이야기] (59)
犯房(범방)
儒林 279에는 ‘犯房(범할 범/방 방)’이 나오는데, 이 말은 ‘남녀가 성적(性的)으로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다.犯자는 ‘침범하다’는 뜻으로 說文解字(설문해자)에서는 ‘ (병부 절)’을 音符(음부:발음요소)로 설명하고 있으나 오늘날 音價(음가)만 놓고 본다면 納得(납득)하기 어렵다. 재미있는 것은 (절),尸(시),匕(화),人(인),大(대)가 모두 사람을 象形(상형)한 글자라는 점이다. 은 ‘꿇어앉은 사람’,尸는 ‘쪼그리고 앉은 사람’,匕(이때는 ‘화’로 발음하며, 숟가락을 나타내는 匕와는 별개의 글자임)는 ‘거꾸로 선 사람’,人은 ‘서있는 사람의 옆모습’,大는 ‘팔을 벌리고 선 사람’을 본뜬 것이다.
用例(용례)에는 ‘犯法(범법:법에 어긋나는 짓을 함)’‘主犯(주범:형법에서, 자기의 의사에 따라 범죄를 실제로 저지른 사람)’ 등이 있다.
‘房’자는 집채(正室)에 딸린 ‘작은 방’을 뜻한다. 참고로 ‘戶’는 한쪽만 열리는 문짝의 상형이며,‘門’은 통나무 세 개와 두 짝의 문으로 구성된 大門(대문)의 상형이다.用例로는 ‘暖房(난방:건물의 안이나 방안을 따뜻하게 함)’‘獨守空房(독수공방:혼자서 지내는 것)’ 등이 있다.
禮記(예기)에는 ‘어버이의 허물을 덮어 숨기는 일은 있을지언정 面前(면전)에서 허물을 지적하여 直諫(직간)하는 일(犯顔)이 없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부모와 자식 사이는 愛親(애친)이 소중하므로 아무리 어버이의 허물이 크다 하나 面前에서 犯顔하는 것은 禮(예)가 아니다.
論語(논어)에는 孔子(공자)와 葉公(섭공)이 正直(정직)에 대하여 토론한 이야기가 나온다.‘우리 고을에 대쪽같이 곧은 사람이 있어 아비가 양을 훔치자 자식이 그 사실을 관청에 고발하였다.’는 섭공의 말에 대하여 공자는 ‘우리 마을의 정직한 사람은 다르오. 아비는 자식의 허물을 덮어 주고, 자식은 아비의 잘못을 숨기지만 정직은 그 속에 있는 법’이라고 하였다. 아비의 죄를 暴露(폭로)하는 行爲(행위)는 정직한 일이기는 하지만 稱讚(칭찬)할 일은 못 되는 일이다. 아비는 자식의 죄를 숨겨 주고 자식은 아비의 죄를 숨기려는 것이 인간의 情理(정리)이다. 인간의 정이야말로 자기의 진정을 속이지 않는 마음이다.
중국 南宋(남송)의 大思想家(대사상가) 朱熹(주희)는 사람들이 한평생을 살아가면서 흔히 犯하는 後悔(후회)를 열 가지로 整理(정리)하여 提示(제시)하였다.“부모에게 不孝(불효)하면 돌아가시고 나서 후회하고(不孝父母死後悔), 종족 간에 화목하지 않으면 멀어지고 나서 후회하며(不親宗族疎後悔), 젊어서 열심히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후회하고(少不勤學老後悔), 편안할 때 어려움을 생각하지 않으면 그르치고 나서 후회하며(安不思難敗後悔), 봄에 씨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후회하고(春不耕種秋後悔), 담장을 고치지 않으면 도적을 맞고 후회하며(不治垣墻盜後悔),女色(여색)을 삼가지 않으면 병든 뒤에 후회하고(色不謹愼病後悔),醉中(취중)에 망발을 하면 깨고 나서 후회하며(醉中妄言醒後悔), 손님을 잘 접대치 않으면 보내고 나서 후회하고(不接賓客去後悔), 잘살 때 儉約(검약)하지 않으면 가난해진 뒤 후회한다(富不節用貧後悔).”
김석제 경기 군포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