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유림) 한자이야기

[儒林 속 한자이야기](83)見利思義(견리사의)

bindol 2020. 9. 13. 05:37

[儒林 속 한자이야기](83)見利思義(견리사의)

 

 

儒林(유림)(385)에는 見利思義(볼 견/이로울 리/생각 사/옳을 의)가 나온다. 일찍이 孔子(공자)는 “눈앞의 利益(이익)을 보면 먼저 正義(정의)를 생각하고(見利思義),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칠 수 있고(見危授命), 오랜 약속일지라도 평소에 잊지 않는다면(久要不忘平生之言), 또한 완성된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다(亦可以爲成人矣).”고 하였다.正當(정당)하게 얻은 富貴(부귀)가 아니면 취하지 말고,義를 보거든 勇氣(용기)를 내어 實踐(실천)해야 함을 강조한 말이다.

‘見’자는 ‘무엇을 명확히 보다’의 뜻을 나타내었다.‘見地(견지:어떤 사물을 판단하거나 관찰하는 입장),見解(견해: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 등에 쓰인다.

‘利’자는 ‘이롭다’는 뜻을 나타내었으며 用例에는 ‘漁夫之利(어부지리:두 사람이 서로 다투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이익을 챙김),銳利(예리:끝이 뾰족하거나 날이 선 상태) 등이 있다.

 

‘思’자는 ‘생각하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머리의 ‘정수리’를 뜻하는 ‘’(신)과 ‘마음’을 뜻하는 ‘心’(심)을 합쳐 놓았다.用例(용례)로는 ‘思料(사료:생각하여 헤아림),思無邪(사무사:마음에 사악함이 전혀 없음),深思熟考(심사숙고:깊이 잘 생각함)’ 등이 있다.

‘義’자는 톱날 모양의 날이 있는 儀仗用(의장용) 무기의 상형인 ‘我’(아)와 ‘새의 깃털로 만든 장식’을 뜻하는 ‘羊’이 결합된 會意字(회의자)로 본 뜻은 ‘새의 깃털로 장식한 儀典用(의전용) 무기’였다. 점차 ‘宜’(의)와 발음이 같아 ‘마땅하다’라는 뜻으로 널리 쓰이자 본뜻을 보존하기 위하여 ‘儀’(의)자를 새로 만들었다.用例에는 ‘義務(의무: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일),義兵(의병:의(義)를 위하여 일어나는 군사),異義(이의:다른 뜻. 또는 다른 의미)’ 등이 있다.

東國輿地勝覽(동국여지승람)에는 고려 공민왕 때, 형제간의 義理(의리)를 위해 黃金(황금)을 강물에 던진 형제이야기(兄弟投金:형제투금)가 전한다. 어떤 兄弟(형제)가 함께 길을 가다가 아우가 황금 두 덩이를 주웠다. 그 형제는 의좋게 하나씩 나누어 가졌다.孔巖津(공암진)에 이르러 배를 타고 강을 건너던 중 아우가 갑자기 금덩이를 강물에 던졌다. 깜짝 놀란 형은 그 까닭을 물었다.“나는 平素(평소) 형을 무척 좋아하였지요. 그런데 오늘 금덩이를 나누어 갖자 문득 형을 猜忌(시기)하는 마음이 생겼어요. 차라리 강물에 던져 잊어버리는 편이 나을 것이라 여겼지요.” 동생의 대답이다. 형도 동생의 말에 共感(공감)하여 금덩이를 강물 속에 집어 던졌다.

成俔(성현)의 용재총화에는 황금을 돌같이 여긴 崔瑩(최영) 장군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최영의 아버지는 항상 아들에게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고 訓戒(훈계)하였다. 이에 최영은 비단 조각에 ‘見金如石’(견금여석)이라 써서 지니고 다녔다. 최영은 宰相(재상)의 班列(반열)까지 올랐으나 살림살이는 일반 百姓(백성)들과 다를 바가 없었다. 그는 “나는 평생 貪慾(탐욕)을 부린 일이 없다. 내 말이 사실이라면 나의 무덤에는 풀이 나지 않을 것이다.”라고 遺言(유언)했을 만큼 자기 管理(관리)에 徹底(철저)하였다.

김석제 경기도군포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