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647〉 러·일전쟁 발발 전인 1903년 가을, 요동반도의 끝자락 뤼순(旅順)을 방문한 자오얼쉰(앞줄 오른쪽 둘째). 자오얼쉰 왼쪽은 동생 자오얼펑. [사진 김명호] 청(淸)제국 멸망 17년 후인 1927년 9월 3일, 83세의 노인이 베이징에서 세상을 떠났다. 전국의 언론매체가 마지막 만주(당시는 동3성) 총독 자오얼쉰(趙爾巽·조이손)의 사망을 연일 대문짝만 하게 다뤘다. 북벌군 사령관 장제스(蔣介石·장개석)의 군사정변과 중국 공산당의 첫 번째 무장폭동으로 온 중국에 화약 냄새와 피비린내가 진동할 때였다. 일본 위력에 놀란 서태후가 파견 선양(瀋陽)에 20여 년간 거주했던 영국 선교사가 훗날 구술을 남겼다. “자오얼쉰은 의지가 강하고 겸허했다. 완급을 조절할 줄 아는 정치적 안목도 뛰어났다. 인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버릴 건 버리고 취할 건 취했다. 총독은 개혁이라는 말을 입에 올린 적이 없다. 여러 번 만났어도 딱 한 번, 개혁은 2년 안에 끝내지 않으면 실패한다는 말 외에는 들어 본 적이 없다. 지금 생각해보니 자오의 개혁은 사람 발굴과 인재 양성의 기반 구축이었다. 사망 소식이 퍼지자 6만여 명이 거리를 메운 선양의 반일시위도 이틀간 중지됐다. 나도 신만주 건설의 초석을 놓은 총독을 애도하며 눈물을 흘렸다.” 마적에서 출발해 북양정부의 마지막 국가원수까지 역임한 동북왕 장쭤린(오른쪽). 1928년 1월, 톈진(天津). [사진 김명호] 1905년,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했다. 청(淸)제국의 실권자 서태후는 일본의 군사력이 얼마나 위협적인지 실감했다. 교전국은 아니었지만, 10년 전 일본에 패했을 때보다 충격이 더 컸다. 주전장이 제국의 발상지 만주, 특히 요동반도였기 때문이다. 당시 만주는 농업생산력이 높지 않았다. 요동반도는 예외였다. 기후, 토양, 지형 등 지리적 조건이 다른 곳에 비해 월등했다. 의화단 사건의 여파로 한 차례 홍역을 치르고 러·일전쟁을 계기로 철저히 파괴됐다. 세수(稅收)가 줄어들고 약탈이 빈발했다. 장쭤린이 만든 동북 공병창. 당시 동양 최대의 규모였다. [사진 김명호] 자오얼쉰의 집안은 66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6명의 대과 급제자(進士)를 배출한 산둥(山東)의 명문이었다. 주목은 조부 때부터 받았다. 할아버지와 작은 할아버지가 진사였고 아버지도 진사였다. 아버지는 운이 없었다. 비적 토벌 나갔다 포위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순절(殉節)했다고 주변에서 호들갑을 떨었지만 잠시였다. 가세가 기울자 종이 살 돈도 없었다. 아들 4명을 모친이 직접 교육했다. 3명이 대과에 급제하자 “이제야 지하에 있는 남편 볼 면목이 있다. 만나서 큰소리 치러 가겠다”는 유서 남기고 음독했다.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오얼쉰 ‘이마제마’ 포석…장쭤린에게 만주군 통솔권 일임 (0) | 2020.10.31 |
---|---|
투항 권유 받은 장쭤린, 스스로 수갑·족쇄 차고 무릎 꿇어 (0) | 2020.10.24 |
러허사변 참가한 요시코, 일본 기녀들 동원해 관동군 격려 (0) | 2020.10.10 |
요시코 “중국인들끼리 죽고 죽이게 정보 넘기자” 일본 설득 (0) | 2020.09.26 |
"北, 총 쏘기 전 밧줄로 묶어 끌고갔다…줄 끊겨 2시간 수색도"[출처: 중앙일보] "北, 총 쏘기 전 밧줄로 묶어 끌고갔다…줄 끊겨 2시간 수색도" (0) | 2020.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