激 讚
*격할 격(水-16, 4급)
*기릴 찬(言-26, 4급)
‘비평가들의 격찬과는 달리 이 영화가 흥행에는 실패하여 제작진이 크게 실망했다’의 ‘격찬’을 바르게 적은 것은? ①激贊 ②激瓚 ③激纘 ④激讚. ‘激讚’이란?
激자는 물이 장애물에 부딪혀 ‘튀어 오르다’(splash)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물 수’(水)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敫(노래할 교)가 발음요소였음은 檄(격문 격)도 마찬가지다. ‘(물살이) 빠르다’(swift) ‘격렬하다’(violent) 등으로도 쓰인다.
讚자는 ‘기리는 말을 하다’(admire; prais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말씀 언’(言)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贊(도울 찬)은 발음요소다.
激讚은 ‘매우 격렬(激烈)하게 칭찬(稱讚)함’을 이른다. 칭찬만큼 좋은 것도 드물다. 그러나 지나치면 의심을 받을 수도 있다.
일찍이 장자 가로되, “앞에서 칭찬을 잘 하는 자는 뒤에서 허물도 잘 하는 자다.”
(好面譽人者호면예인자, 亦好背而毁之역호배이훼지 - 莊子).
【添言】 교과서 한자어를 정복하면 모든 과목 공부에 자신이 생긴다.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91]再燃(재연) (0) | 2020.12.03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90]烈火(열화) (0) | 2020.12.03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88]思潮(사조) (0) | 2020.12.03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87]語源(어원) (0) | 2020.12.03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86]混雜(혼잡)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