盜 難
*훔칠 도(皿-12, 4급)
*어려울 난(隹-19, 5급)
‘Theft cases have recently decreased in number.’는 ‘○○사건의 건수가 최근에는 감소되었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盜壘 ②道難 ③盜難 ④盜亂. ‘盜難’이란?
盜자는 두 개의 의미 요소가 상하로 조합된 글자이다. 윗부분을 次로 쓰기도 하는데, 이것은 ‘침 연’(涎)자의 본래 글자라고 한다. 아랫부분은 ‘그릇 명’(皿)이다. ‘훔치다’(steal)가 본뜻인데, ‘도둑’(thief)을 이르기도 한다.
難자는 ‘새 추’(隹)가 의미요소다. 그 왼쪽의 것, 즉 堇(근)은 발음요소였는데 후에 음이 크게 달라졌고, 자형도 변하였다. 원래는 ‘새의 일종’( kind of birds)을 지칭하는 것이었는데, ‘어렵다’(difficult)는 뜻으로 더 많이 쓰인다.
盜難은 ‘도둑[盜]맞은 재난(災難)’을 이른다.
자녀 교육에는 몸소 모범을 보이는 것이 최고다.
옛말에 이르길, “애비가 좀도둑이면, 아들은 살인강도가 된다’ (老子偸瓜盜果 노자투과도과, 兒子殺人放火 아자살인방화 - 명나라 呂得勝의 ‘小兒語’).
【添言】 한글전용은 속과 상관없이 겉포장만 바꾸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school을 ‘스쿨’로 學校를 ‘학교’로 專用을 ‘전용’으로만 표기하는 것을 일러 한글전용이라 한다. 이런 눈가림을 ‘한글 사랑’이라 우기는 것에 속는 사람들이 참으로 많다.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03] 看過(간과) (0) | 2020.12.04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02]極盡(극진) (0) | 2020.12.04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00]痛快(통쾌) (0) | 2020.12.03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99]疲勞(피로) (0) | 2020.12.03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98]疑問(의문)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