聽 覺
*들을 청(耳-22, 4급)
*깨달을 각(見-20, 4급)
‘귀가 공기 따위를 통해 받은 음향의 자극을 뇌에 전달하여 일으키는 감각’은? ①嗅覺 ②味覺 ③聽覺 ④視覺. ‘聽覺’이란?
聽자에서는 ‘듣는 귀’(耳)와 ‘똑 바른 마음’(㥁․덕)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壬(정)은 발음요소였다. ‘듣다’(hear)가 본뜻인데, 들을 때 ‘바르게 알아듣는 것’이 중요함은 㥁(덕 = 直 + 心)이란 의미요소를 통하여 알 수 있다.
覺자는 잠에서 깨어나 두 눈을 똑똑히 뜨고 ‘보다’(observe; view)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볼 견’(見)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나머지가 발음요소임은 礐(돌 소리 각)도 마찬가지다. ‘깨닫다’(awake to) ‘잠을 깨다’(wake up) ‘일깨우다’(awaken) 등으로 확대 사용되기도 하였다.
聽覺은 ‘무엇을 들었을[聽] 때 일어나는 감각(感覺)’을 이른다.
옛말에 이르길, ‘말은 가려서 들어야 한다. 가려듣지 않으면 착한 것과 악한 것을 분별할 수 없다’ (聽言不可不察 청언불가불찰, 不察則善不善不分불찰즉선불분 - ‘呂氏春秋여씨춘추’).
【添言】 한글과 한자는 相生 관계입니다. ▶全廣鎭․성균관대 중문과 교수.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22]脫走(탈주) (0) | 2020.12.04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21]肅然(숙연) (0) | 2020.12.04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19]群集(군집) (0) | 2020.12.04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18]後繼 (후계) (0) | 2020.12.04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17]組合(조합) (0) | 2020.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