後 繼
*뒤 후(彳-9, 7급)
*이을 계(糸-20, 4급)
‘염려 마십시오. 저야 사장님의 후계나 다름없지 않습니까’의 ‘후계’는? ①後戒 ②後繼 ③後系 ④後係. ‘後繼’란?
後자는 ‘길’을 뜻하는 彳(척), ‘발’을 뜻하는 夂(치), ‘작다’는 뜻인 幺(요)가 합쳐진 것이다. 작은 발걸음으로는 남들보다 뒤떨어지게 마련이다. ‘뒤’(after) ‘뒤떨어지다’(fall behind)라는 뜻을 그렇게 나타낸 아이디어가 참으로 기발하다.
繼자는 본래 糸가 없는 형태였다. 그것은 ‘잇다’(connect)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실을 이어 놓은 모습을 본뜬 것이었다. 후에 그 의미를 더욱 보강하기 위해서 ‘실 사’(糸)가 첨가됐다. 후에 ‘이어받다’(succeed to) ‘이어지다’(continu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後繼(후:계)는 ‘어떤 일이나 사람의 뒤[後]를 이음[繼]’을 이르며, ‘후계자’의 준말로도 쓰인다.
일찍이 제갈량(諸葛亮) 가라사대, ‘몸과 마음 다 바쳐서 일하다가 죽으면 그뿐이다.’
(鞠躬盡力 국사진력, 死而後已 사이후이 - ‘後出師表’후출사표).
【添言】 세종대왕께서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을 모아쓰기(合用竝書)하도록 한 깊은 뜻은 한자와 혼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全廣鎭․성균관대 중문과 교수.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20]聽覺(청각) (0) | 2020.12.04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19]群集(군집) (0) | 2020.12.04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17]組合(조합) (0) | 2020.12.04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16]納品(납품) (0) | 2020.12.04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15] 紀元(기원) (0) | 2020.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