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그물로 중국어 잡기

[한자 그물로 중국어 잡기] 69.정야사(靜夜思)

bindol 2020. 12. 22. 06:06

[한자 그물로 중국어 잡기] 69.정야사(靜夜思)

한자 그물로 중국어 잡기 2014. 9. 3. 18:08

 

산 위에 두둥실 떠오른 한가위 보름달. 이백의 '정야사'는 그 보름날의 정서를 절절하게 표현한 명시다.

 

 

 


이제 곧 추석이다. 이 중추가절(仲秋佳節)을 맞을 때면 곧 떠오르는 게 고향이자 가족이다. 객지에 멀리 떠도는 이 있으면 그는 한가위 보름달을 보면서 먼저 고향과 부모님, 그리운 형제자매를 떠올린다. 고향에 머물지 못하면서 외지에 나가 떠도는 나그네의 심정을 가장 아리게 만드는 시절이 바로 한가위, 추석이다.

그래서 먼 객지의 나그네 몸으로 한가위 보름달을 올려보며 고향을 그렸던 시를 적어본다. 당나라 최고의 가객, 이백(李白)이 지은 고요한 밤의 생각, 즉 ‘정야사(靜夜思)’다. 이 시는 중고교 시절에 배운 기억이 있다. 아울러 시구가 평이해 암송이 쉬워 친근하다.

床前看月光,
疑是地上霜.
擧頭望山月,
低頭思故鄕.

이 시는 사실 판본(版本)이 여럿이다. 이백이 활동했던 연대와 비교적 가까운 송대(宋代)의 판본이 위에 적은 내용이다. 그 뒤에 정리 과정을 거쳐 정착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床前明月光,
疑是地上霜.
擧頭望明月,
低頭思故鄕.

번역이 문제다. 맥락이 같아 뒤의 판본만을 풀자면 이렇다. 床(상) 앞(前)에 밝은 달(明月) 빛(光)/ 땅위(地上)의 서리(霜)로 보인다(疑是)// 머리 들어(擧頭) 밝은 달(明月) 바라보고(望)/ 고개 숙여(低頭) 고향(故鄕)을 생각한다(思).

먼 객지를 떠도는 나그네로서 문득 떠오르는 생각 한 가닥. ‘나는 지금 어디에 있는 걸까?’ 바닥에 깔린 훤한 달빛, 그리고 이어지는 찬 서리의 이미지. 고개 들어 바라보는 달, 다시 숙여 생각하는 고향-. 아주 평이한 흐름이지만, 객지에서 고향 생각하는 그리움의 정서가 절절하다.


그래서 명시(名詩)다. 쉽고 간결하며, 뜻이 깊어 곧 음미(吟味)의 지경에 푹 빠지니 그렇다. 그러나 床(상)의 풀이에는 논란이 따른다. 보통은 이를 ‘침대’ ‘침상’의 床(상)으로 풀었다. 우리는 보통 이 풀이를 따른다. 그러나 원래의 뜻은 우물 주변에 치는 난간(欄干)이 맞을 듯하다.

銀床(은상)이라고 해서, 고대 우물 주변에 설치했던 난간을 가리키는 단어도 있다. 아울러 이백이 살았던 당나라 때는 이 글자가 ‘침대’를 가리켰는지 불확실하다. 당나라 때는 지금의 침대가 아니라 바닥에 이불 등을 깔고 자는 게 보통이었다. 아울러 당시에는 ‘침대’라기보다 접을 수 있는 간이의자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는 그저 ‘침대’ ‘침상’으로 풀 수가 없다. 시를 지은 이백의 상황도 실내라기보다는 실외에 있다고 보는 게 적절하다. 발아래 깔린 달빛을 보고 ‘서리 아닐까(疑是地上霜)’ 여기는 낌새가 그렇다. 침대나 침상 아래에 서리 내릴 일은 거의 없지 않은가. 그러니 여기서 床(상)은 우물 주변에 두른 난간 정도로 보는 게 적절하지 싶다.

그러나 글자 풀이에만 너무 매달리지 말자. 이 시가 지니는 고향과 가족의 의미가 살갑게 와 닿는다. 고향과 가족은 뭔가. 우리 마음속 깊은 곳에 숨어 있는 뿌리다. 뿌리는 또한 ‘중심’이기도 하다. 우리는 요즘 그런 ‘중심’을 놓치면서 갈팡질팡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올해 한가위에는 가족을 향한 그리움에 더해 우리가 지향해야 할 ‘중심’이 뭔지를 잘 생각하자.

우리가 이루는 사회 공동체가 저 한가위 보름달처럼 둥글고 원만하면 오죽 좋을까.
즐겁고 보람 있는 한가위 맞으시길~!



출처: https://hanjoong.tistory.com/entry/한자-그물로-중국어-잡기-69정야사靜夜思?category=662101 [한자 그물로 중국어 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