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中問答 / 李白·701∼762
問余何事栖碧山 문여하사서벽산
笑而不答心自閑 소이불답심자한
桃花流水杳然去 도화유수묘연거
別有天地非人間 별유천지비인간
미주알고주알 설명할 필요도 없이 내 마음이 저절로 느긋해지는 것,
그리고 시냇물 따라 아득히 흘러가는 복사꽃을 즐기는 것,
이 정도로도 청산에 머물 명분은 충분하지 않은가.
낙화유수! 하면 우리가 떠올리는 장면은 대개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
혹은 허망하게 쇠락해 가는 삶의 편린 정도일 텐데
이백의 감회는 한껏 천진난만하다.
桃花流水 물 따라 흘러가는 복사꽃’에서 그는 되레
세상의 汚濁에서 벗어난 청정(淸淨)과 자유를 읽어낸다.
그러므로 시인에게 그곳은 세속의 일상과는 완연히 다른
‘인간 세상이 아닌 별천지’로 체감된다.
마음속 理想鄕을 이처럼 소탈하고 경쾌한 분위기로 그려내는 것,
그 바탕엔 이백다운 호쾌함이 자리하고 있다.
그렇다고 이 시가 온전히 현실을 초탈하려는
시인의 한가한 정서를 투영한 것이라 단정하긴 어렵다.
시인에게 별천지에서의 여유와 자유가 절실하게 다가왔다면
역설적으로 세속에서 경험한 갈등이나 파란곡절 또한 그에 못지않게
심각했을 수 있다는 유추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쿵저러쿵 수다 떨지 않고 빙긋 미소로만 대답한다는 뜻을 가진
소이부답 자연 풍광이 유달리 빼어난 곳 혹은 예사롭지 않은 예술의
경지를 형용하는 ‘별유천지’ 혹은 별천지,
이 두 성어가 모두 이 시에서 유래했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이준식의 한시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내를 위한 연가[이준식의 한시 한 수]〈87〉 (0) | 2020.12.26 |
---|---|
작별의 노래[이준식의 한시 한 수]〈86〉 (0) | 2020.12.26 |
가을 나그네[이준식의 한시 한 수]〈84〉 (0) | 2020.12.26 |
어떤 기다림[이준식의 한시 한 수]〈83〉 (0) | 2020.12.26 |
靑松在東園 (0) | 2020.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