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식의 한시한수

작별의 노래[이준식의 한시 한 수]〈86〉

bindol 2020. 12. 26. 11:44

 

送別  /  王維

下馬飮君酒 하마음군주
問君何所之 문군하소지
君言不得意 군언불득의
歸臥南山陲 귀와남산수
但去莫復聞 단거막복문
白雲無盡時 백운무진시

 

 

 

이심전심으로 서로 통하는 게 있어서인가.
끝없이 흐르는 구름처럼 자유와 여유를 누린다는 건
인생 축복의 또 다른 한 측면,
그러니 ‘뜻을 못 이룬’ 이의 낙향을 어쭙잖게 위로하거나
격려한다는 건 자칫 蛇足으로 치부될 수도 있겠다. 하여
시인은 세상의 질서에 적응하지 못해 좌절한 인생을 향해
실망하거나 불평할 건 없다는 충고 대신 흰 구름의 비유로 위로를 전한다.

끊이지 않는 흰 구름, 그것은 또 일장춘몽처럼 짧디짧은
세속의 부귀공명과 대비되는 무한한 생명력의 표상이기도 할 터다.

시에 등장하는 지인은 누구일까.
당시 시명을 떨치던 孟浩然으로 추정할 수 있는 흥미로운 사례가 전해진다.
우연한 기회에 玄宗의 명령으로 즉흥시를 한 수 짓게 된 맹호연,
하필이면 그때 황제의 심기를 건드리는 결정적인 실수를 하고 만다.
재주 없어 明君께서 날 버리셨고 병 잦으니 친구조차 소원해졌다는
시구가 담긴 ‘세모에 남산으로 돌아가다’라는 시를 올렸던 것이다.

시를 듣자 황제는 화를 내며 “그대가 벼슬을 구한 적도 없거니와
내가 언제 그대를 버린 적이 있던가”라면서 그에게 낙향을 명했고,
그 후 그는 평생토록 남산 기슭에 머물러야 했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