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仙同入飮中歌
秀眉華髪貌安和 五福於今得最多
諸聖共忘心外境 八仙同入飮中歌
수미화발모안화 오복어금득최다
제성공망심외경 팔선동입음중가
빼어난 눈썹과 하얀 머리털 그 풍모 온화한데
오늘에 이르러 오복을 가장 많이 얻었네
모든 성인이 함께 마음 밖의 경계를 잊으니
여덟 신선이 함께 <음중팔선가>에 드네
韓維/宋 / 子華兄生日
- 秀眉: 빼어나게 아름다운 눈썹.
- 華髪: 하얗게 센 머리털.
- 安和: 조용하고 편안함.
- 五福: 인생의 다섯 가지 복,
곧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終命).
- 八仙: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에 등장하는 8명의 술꾼(酒徒).
하지장(賀知章)·여양왕(汝陽王)·이진(李璡)·좌승상 이적지(李適之)·
최종지(崔宗之)·소진(蘇晉)·이백(李白)·장욱(張旭)·초수(焦遂).
민간 전설에 등장하는 도교의 여덟 신선.
장과로(張果老)와 한종리(漢鍾離)·여동빈(呂洞賓)·이철괴(李鐵拐 또는 철괴리 鐵拐李)
·한상자(韓湘子)·조국구(曹國舅)·남채화(藍采和)·하선고(何仙姑).
晉)나라 譙秀의 蜀記에 蜀나라 팔선`이 나온다.
용성공(容成公)·이이(李耳)·동중서(董仲舒)·장도릉(張道陵)·장군평(莊君平)·
이팔백(李八百)·범장생(范長生)·이래선생(爾來先生) 등이 그들.
이 밖에도 동방삭(東方朔)·팽조(彭祖)를 비롯한 `상동(上洞)의 팔선`과,
귀곡자(鬼谷子)·손빈(孫矉) 등을 주축으로 하는 `하동(下洞)의 팔선`도 거명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