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영의 News English] 해보느냐 갖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yoon-heeyoung 기자페이지 - 조선일보
기자 페이지 동시통역대학원(한국어·스페인어·영어)과 뉴욕특파원 출신으로, ‘윤희영의 News English’를 통해 시사·영어·작문을 한 자리에서 ‘원 스톱’으로 섭취할 수 있는 ‘모둠상’을 차
www.chosun.com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주인공 햄릿의 독백(soliloquy)이다.
그런데 미국 코넬대와 콜로라도대 연구팀은 ‘To do or to have’라는 화두를 던진다(bring up a conversation topic). 다양한 경험이냐, 물질적 소유(diverse experiences or material possessions)냐, 그것이 인생 행복에 문제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경제적 선택이 ‘웰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입을 모은다(join in the chorus). 경험적 구매(購買·experiential purchase)와 물질적 구매(material purchase) 중 돈을 주고 무언가를 ‘하는’ 것이 물건을 사서 ‘갖는’ 것보다 더 큰 행복감을 준다고 한다. 가령 같은 값이라면 고급 시계나 보석을 사느니 가족과 함께 여행을 가거나 영화·음악회·스포츠 경기를 보러 다니는 것이 삶의 질을 높여준다는(improve the quality of life) 얘기다.
☞ bring up = (화제를) 꺼내다
- Let’s bring it up at the next meeting. (다음 회의 때 그 얘기를 꺼내봅시다.)
☞ diverse = 다양한, 각양각색의
- There are diverse opinions on the issue. (그 사안에 대해서는 다양한의견이 있다.)
☞ experiential = 경험에 의한, 경험상의
- There is no substitute for direct personal experiential learning. (직접적인 개인경험상의배움을 대체할 것은 없다.)
쌓이는 물질적 재화의 증가(increase in our stocks of material goods)는 정신적·신체적 웰빙에 이렇다 할 도움이 거의 되지 않는다(produce virtually no measurable gains in our psychological or physical well-being). 더 큰 집, 더 멋진 차를 산다고 해서 행복도 그만큼 커지는 것은 아니다. 성경에서도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함에 있지(consist in the abundance of possessions) 아니하니라’(누가복음 12장 15절)라고 했다.
물질주의적인 사람(materialistic person)은 주관적 행복감(subjective feeling of happiness)과 삶에 대한 만족도(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가 낮은 경우가 많다. 우울증에 빠지기 쉽고(be prone to depression) 피해망상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be likely to be paranoid).
사회 비교에 취약한(be vulnerable to social comparisons) 탓이다. 남이 2억원을 받고 자신은 1억원을 받을 바에야 남은 2500만원, 자신은 5000만원 받기를 원한다. 내가 얼마 버느냐가 아니라 남에 비해 얼마 더 받느냐에 집착해 행복할 틈이 없다.
☞ virtually = 사실상, 거의
- It is virtually impossible. (그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 consist in = ~에 있다
- True education does not consist in simply teaching facts. (참교육은 단순히 사실들을 가르치는 것에 있지 않다.)
☞ materialistic = 물질주의적인, 유물론적인
- She is a very materialistic woman. (그녀는 매우 물질주의적인 여성이다.)
☞ subjective = 주관적인, 개인적인
- Everyone’s opinion is bound to be subjective. (모든 사람의 견해는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비해 인생 경험에 투자를 하는 사람은 그런 달갑지 않은 비교에 연연할 필요가 없다. 경험이라는 독특한 속성 때문에(owing to the unique nature of experience) 견주어보거나 비교당할 대상이 없어 평온하다. 더 큰 집도 집, 더 멋진 차도 차, 그대로 낡아만 가지만, 경험은 시간이 갈수록, 쌓이면 쌓일수록 인생을 훨씬 풍요롭게 한다(make our life a lot richer).
경험은 물질적 소유물에 비해 사회적 가치가 더 높다(have more social value than material possessions). 사회적 관계가 다양해져 행복을 느낄 기회도 많아지고, 다른 사람들과 경험을 나누다 보면 사회적으로 더 환영받는(be more socially acceptable) 존재가 된다.
그런데 속에 든 건 없으면서 겉으로 가진 것들에 대해서만 떠들어대고 으스대는(bang on and boast about their possessions) 행위는 허망하다. 그러는 사람은 시쳇말로 ‘진상’이라는 소리 듣는다.
☞ boast about = ~에 대해 자랑하다
-She likes to boast about her husband. (그녀는 자기 남편에 대해 자랑하는 것을 좋아한다.)
'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물상] 도쿄올림픽의 운명 (0) | 2021.05.27 |
---|---|
[윤희영의 News English] 握手 잘못 했다가 惡手가 되는 경우 (0) | 2021.05.25 |
[글로벌 아이] 한미 정상회담,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출처: 중앙일보] (0) | 2021.05.25 |
[朝鮮칼럼 The Column] 내로남불링, 내로남불리시, 내로남불러… (0) | 2021.05.25 |
[만물상] 50대 청년의 시대 (0) | 2021.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