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치를 배우다 <39> 儀式과 禮義

bindol 2021. 6. 1. 05:37

거동 의(人 - 13)법 식(- 3)예 례(示 - 13)올바를 의(羊 - 7)

 

'禮記(예기)'의 '禮器(예기)'편에 "觀其禮樂, 而治亂可知也"(관기예악, 이치란가지야)라는 말이 나온다. "그 예의와 음악을 잘 살피면 다스려지는지 어지러운지 알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예의와 음악은 유가의 정치에서는 매우 중요한데, 그렇더라도 뿌리는 아니다. 우듬지에 불과하다.

'좌전'의 '魯昭公(노소공)' 5년에 다음 이야기가 나온다.

노나라 소공이 晉(진)나라로 가게 되었는데, 그는 진나라 교외에서 위로를 받는 일부터 진나라 군주에게 예물을 바치는 일에 이르기까지 예의를 잃지 않았다. 이에 진나라 군주가 女叔齊(여숙제)에게 물었다.

"노나라 군주는 예의에 밝지 않소?" "노나라 군주가 어찌 예의를 알겠습니까!"

"어째서 그렇소? 교외에서 위로를 받는 일부터 예물을 바치는 일에 이르기까지 예의에 어긋남이 없었는데, 어째서 그렇게 말하는지 모르겠구려."

"그것은 儀式(의식)이지 禮義(예의)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예의는 나라를 지키고 政令(정령)을 제대로 실행하고 그 백성을 잃지 않게 하는 근본입니다. 그런데 지금 노나라의 정령은 대부의 가문에 있는데도 되찾지 못하고 있고, 현명한 子家羈(자가기)가 있음에도 등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대국과 맺은 맹약을 어기고 소국을 침범하며 괴롭히고, 다른 나라의 환난을 이롭게 여기면서 자기 나라의 환난은 모르고 있습니다. 제후의 군사가 넷으로 나누어져 三家(삼가, 孟孫氏·叔孫氏·季孫氏)에 장악되어 백성이 그들에 기대 살고 있습니다. 누구도 군주를 생각하지 않아 그 끝이 어찌 될지 헤아릴 수 없습니다. 한 나라 군주가 되어 환난이 자신에게 미치려 하는데도 이를 걱정조차 하지 않고 있습니다. 예의의 本末(본말)이 여기에 있는데도 자질구레한 의식을 익히는 데만 서두르고 있습니다. 그러니 예의를 잘 지킨다고 말하는 것과는 멀지 않겠습니까?"

여숙제야말로 예의의 본말이 무엇인지를 잘 알고 있던 인물이다. 노나라는 주 왕조의 創業(창업)뿐 아니라 守成(수성)에도 큰 공을 세우고 또 왕조의 기틀이 되는 문물과 제도를 정비한 周公(주공)에게 내려진 封國(봉국)으로, 대대로 주나라 왕실과 대등한 대우를 받았던 제후국이다. 그것은 노나라가 예악의 정수를 간직한 나라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노나라 소공에게서 볼 수 있듯 군주가 정령과 군사를 모두 대부들에게 빼앗기고 백성들의 마음조차 잃어버린 상황에서는 아무리 예의를 차린들 허울뿐인 의식에 지나지 않는다. 예의가 한낱 의식으로 전락해버리는 것은 뿌리라 할 덕성이 없어서다.

고전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