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치를 배우다 <295> 口蜜腹劍

bindol 2021. 6. 8. 04:42

- 입 구(口-0)꿀 밀(虫-8)배 복(肉-9)칼 검(力-13)

 

그런데 치세가 계속되면서 玄宗(현종)은 마음가짐이 흐트러지기 시작했다. 교만한 마음이 싹트면서 직언하는 신하들을 내쫓고 아첨하는 자들을 가까이하며 중용했다. 개원 22년(734년), 장구령을 해임하고 간신배인 李林甫(이임보)를 재상으로 임명했는데, 이는 그의 통치가 바야흐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이임보는 학식도 경륜도 없이 오로지 아첨과 모함에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는 사람을 대할 때 겉으로는 달콤한 말을 하며 아주 친한 척하면서 뒤에서는 음해하고 모함에 빠트리기를 예사로 했다. 그리하여 당시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口有蜜, 腹有劍”(구유밀, 복유검) 곧 “입에는 꿀이 있고, 뱃속에는 칼이 있다”고 말했다. 이른바 ‘口蜜腹劍(구밀복검)’이라는 성어의 주인공이다.

이임보와 같은 음험한 간신을 총애하여 재상으로 삼았으니, 다른 일은 보지 않아도 뻔하다. 현종은 초기에는 재물을 아껴 썼다. 그러나 재위 기간이 길어지고 간신배들을 가까이하면서 점점 황음무도하여 날로 사치스러워졌다. 해마다 조정에 들어오는 돈과 곡식으로는 그 쓰임새를 감당하기 어려웠다. 이에 江淮租庸使(강회조용사, 강소와 절강 일대의 세금과 물자를 실어 나르는 임무를 맡은 책임자) 韋堅(위견)과 戶部郎中(호부낭중) 王鉷(왕홍)이 서로 경쟁하듯 세금을 긁어모아 현종을 즐겁게 해주려 했다.

어느 날, 위견이 滻水(산수)의 물을 끌어다 거대한 못을 만들고는 강회 지역에서 올라오는 漕運船(조운선)을 그리로 집결시켰다. 그런 다음 현종에게 望春樓(망춘루)에 올라 이를 구경하도록 청했다.

위견은 새로운 배 수백 척에 사방에서 거두어들인 진기한 보물을 싣고 陝城縣(섬성현)의 현위인 崔成甫(최성보)에게 비단을 팔뚝에 걸치고 녹색 적삼을 입은 다음 머리에는 붉은 띠를 두르고 그 배 앞에서 <得寶歌(득보가)>를 부르게 했다. 그리고 아름다운 여인 백 명에게 농염하게 화장을 하고 치장도 풍성하게 해서 일제히 이 노래에 대해 화답하는 노래를 부르게 했다. 현종은 아주 기꺼워하고 즐거워하며 이들을 위해 잔치 자리를 마련해서는 하루 종일 즐긴 다음에 파했다.

고전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