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치를 배우다 <296> 得寶歌

bindol 2021. 6. 8. 04:43

- 얻을 득(彳-8)보배 보(宀-17)노래 가(欠-10)

 

<得寶歌(득보가)>는 당시 유행하던 민요에 최성보가 새로 가사를 지어 붙인 노래다. 개원 29년(741년)에 陝州(섬주) 桃林縣(도림현)에서, 弘農(홍농) 교외에서 일종의 부적인 寶符(보부)가 발견되었다고 하면서 이는 상서로운 조짐이라고 보고를 올렸다. 이에 도림을 靈寶(영보)로 이름을 바꾸었다. 위견은 이런 상서로운 일이 있어 못을 파 준공했다며 여론을 조작하고는 최성보에게 노래를 지어 부르게 했던 것이다.

왕홍은 왕홍대로 위견에 뒤질세라 해마다 정기적으로 거두는 세금 외에 돈과 비단 수백 만금을 모아 바쳤으며, 이를 따로 內庫(내고)에 갈무리해두었다가 오로지 궁중에서 상품이나 하사품으로만 쓰도록 했다. 현종은 그 모든 재물이 위견과 왕홍이 백성을 쥐어짜서 가져다 바친 줄은 모른 채 이렇게 말했다.

“천하의 돈과 재물이 이렇게 풍부하다니! 아무리 써도 다하지 않겠구나!”

그리하여 현종은 금과 비단을 마치 썩은 흙을 보듯이 했으며, 자신의 비위를 잘 맞추고 흐뭇하게 해주는 자들에게 상품과 하사품을 끝없이 내렸다. 백성들로서는 이런 사치와 낭비를 뒷받침하기 버거웠을 뿐만 아니라 밥술조차 뜨기 어려운 처지로 떨어졌다. 어찌 천하가 소란해지지 않고 변란이 일어나지 않겠는가?

군주란 자가 교만해지고 옳고 그름을 구분하지 못하자 간사한 자들이 아첨으로 군주의 마음을 사로잡고 온갖 술수로 제 자리를 유지하면서 세금을 긁어모아 군주의 뒤를 받치고 제 사익을 추구했으니, 백성들은 주머니를 탈탈 털려 밥상에는 먼지가 쌓일 지경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간사한 신하는 군주의 뜻에 영합하여 재물은 끝없이 생기는 것이라고 하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백성의 재물을 빼앗는다. 백성이 도적으로 내몰리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이 반란과 민란의 꼬투리다.

당시 신하들과 백성은 현종 치세 동안에는 내내 태평한 시절이 이어지리라 기대했다. 그러나 황제의 마음에 조그만 틈이 생겨나자 그 틈을 비집고 간사한 자들이 파고들더니, 마치 개미구멍이 둑을 무너뜨리듯 조정의 기강을 무너뜨리고 백성들의 삶을 파괴했다.

고전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