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광종의 시사한자] 時(때 시) 務(힘쓸 무)
때에 맞춰서 해야 하는 일이 있다. 과거 농경을 근간으로 삼았던 왕조시절에는 시령(時令)이 있었다. 농사에서 때에 따라 해야 하는 일을 정령(政令)의 형태로 적은 내용이다. 월령(月令)이라고도 적었다.
‘때’라는 조건이 만들어 놓은 상황을 우리는 시세(時勢)라고 적는다. 그 모습이 좀 더 구체적일 때는 시국(時局)으로도 부른다. 그런 여러 상황과 조건에 따라 반드시 힘을 써서 해야 할 일이 있다. 바로 시무(時務)다.
형주(荊州)의 유표(劉表) 밑에서 더부살이를 하던 유비(劉備)가 답답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찾아 나섰던 ‘컨설턴트’가 있다. 사마휘(司馬徽)다. 그는 제갈량(諸葛亮)을 유비에게 천거하면서 “때에 맞춰 힘써야 할 일을 아는 사람이 천하의 준걸(識時務者在乎俊杰)”이라는 말을 남겼다.
관련기사
이 시무에 관한 기록은 고려와 조선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이른바 ‘시무책(時務策)’의 이름으로다. 고려 왕조의 기틀을 다진 임금은 성종(成宗)이다. 그에게는 최승로라는 걸출한 신하가 있었다. 그가 임금 성종에게 올린 건의가 하나 있다. ‘시무 28조(條)’다. 고려의 출범, 이어 펼쳐졌던 어수선한 정돈의 과정을 거친 뒤 다시 장기적인 통치 기반을 다지기 위해 행해야 할 사안들을 언급한 내용이다.
조선의 율곡 이이는 ‘식시무(識時務)’라는 글을 썼다. 그는 왕조의 창업(創業)이 수성(守成)을 거쳐 어느 정도 폐단이 쌓이는 상황에 도달하면 이를 혁신하는 경장(更張)의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내용을 역설했다. 그를 깨닫는 일이 바로 ‘식시무’라고 했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경제의 기운이 꺾이고 있다. 정부 고위 당국자도 이 점을 분명히 했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가장 급한 ‘시무’는 무엇인지 자명해진다. 큰 흐름을 탈 수밖에 없는 경제 영역은 늘 적절한 진단과 처방, 수술이 따라야 한다. 시무를 제대로 알아 진단과 처방, 수술이 따르면 때의 조건을 얻는 득시(得時), 그렇지 못해 그나마 있던 경쟁력마저 까먹으면 실시(失時)다. 뒤늦게야 상황의 심각성을 깨달으면 만시(晩時)의 탄식만이 기다린다. 아주 높은 경계감이 필요한 때다.
유광종 < 중국인문경영연구소장 >
'시사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광종의 시사한자] 敗(깨뜨릴 패) 北(달아날 배) (0) | 2021.07.22 |
---|---|
[유광종의 시사한자] 殺(죽일 살) 風(바람 풍) 景(볕 경) (0) | 2021.07.21 |
[유광종의 시사한자] 流(흐를 류) 火(불 화) (0) | 2021.07.21 |
[유광종의 시사한자] 蕭(맑은대쑥 소) 瑟(큰 거문고 슬) (0) | 2021.07.21 |
[유광종의 시사한자] 秋(가을 추) (0) | 202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