乾 杯
*마를 건(乙-11, 3급)
*술잔 배(木-8, 3급)
‘우리의 성공을 위해 건배합시다’의 ‘건배’는? ➊健杯, ➋建杯, ➌乾杯, ➍件盃. ➌번이 답인 줄 알아도 뜻을 모르면 헛일이니 그 속에 담긴 속뜻을 차근차근 풀이해 보자.
乾자는 새 을(乙)이 부수임을 알기 어렵다. 이 기회에 잘 알아두자. ‘위로 나오다’(go out)가 본뜻인데, ‘마르다’(dry)는 뜻으로 쓰일 때에는 [간]이라 읽고, 주역 팔괘 명칭의 하나로 ‘하늘’(the heavens)을 상징할 때에는 [건]이라 읽는다.
杯자는 나무로 만든 ‘술잔’(a wooden cup)을 뜻하기 위한 것이었기에 ‘나무 목’(木)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不(아닐 불)이 발음요소였음은 坏(언덕 배)도 마찬가지다. 의미요소가 ‘그릇 명’(皿)으로 바뀐 형태인 盃(배)로 쓰기도 한다.
乾杯는 ‘술을 몽땅 다 마셔 술잔[杯]을 말림[乾]’을 이르니, [간배]라 읽어야 하는데, 관습상 [건배]라 읽는다. 술과 말은 아무나하고 함께하는 것이 아니다. 중국 사람들이 술자리에서 즐겨 쓰는 명언을 소개해 본다.
“정든 친구와 마시는 술은
천 잔도 적고,
의기투합하지 않는 사람과 나누는 말은
반 마디도 많다.”
酒逢知己千杯少주봉지기천배소,
話不投機半句多화불투기반구다. - ‘名賢集명현집’.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75] 企圖(기도) (0) | 2021.09.13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74] 亞流(아류) (0) | 2021.09.10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72] 乘客(t승객) (0) | 2021.09.08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 [971] 丹心(단심) (0) | 2021.09.07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70] 駿馬(준마)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