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난자의 한줄로 고전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아라

bindol 2021. 9. 21. 08:46

여독애련지(予獨愛蓮之)

출어어니이불염(出於어泥而不染)하고 탁청련이불요(濯淸漣而不妖)하며

중통외직(中通外直)하고 불만부지(不蔓不枝)하며

향원익청(香遠益淸)하고 정정정식(亭亭淨植)하니

가원관이불가설완언(可遠觀而不可褻翫焉)이라.

송대 유학자 주돈이(1017∼1073) 선생의 ‘애련설(愛蓮說)’의 일부다.

 

나 홀로 연(蓮)을 사랑하노니,

진흙에서 나와 물들지 않고, 맑은 물결에 씻기어 요염하지 않으며,

그 대는 속이 비어서 구멍이 통해 있고 밖은 곧다.中通外直이다.

덩굴지지 않고 가지도 없으며 꽃의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고,

물 가운데 우뚝 서 있으니 멀리(연당 언저리에서) 바라볼 수는 있지만

가까이 가서 매만지며 설완(褻翫)할 수는 없노라”고 찬탄했다.

 

6가지 미덕 중에 진흙탕 속에 발을 담그고도 거기에 물들기는커녕 오히려 청아한 한 송이 꽃을 피우는 그 ‘불염(不染)’을 좋아한다. 덩굴지지도 않고 가지를 벌리지도 않으며 한줄기로 곧게 뻗어 사사로이 한눈을 팔지 않는 연꽃의 ‘불만부지(不蔓不枝)’의 단정한 자세도 마음에 든다. 향기는 멀리 갈수록 맑다는 ‘향원익청(香遠益淸)’의 고결한 인품과 연당 가운데 우뚝 서 있으니 군자의 위엄이 이와 같다는 대목에서는 작가 주돈이 선생을 뵙는 듯하다.

 


송대 도학(道學)의 비조답게 선생은 연(蓮)을 관조할 때도 도리(道理)를 생각하며 도덕적 관념을 잊지 않았다. ‘역경(易經)’의 기본 원리를 도해(圖解)로써 풀이한 ‘태극도설’을 써서 주자(朱子) 성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줬다.

“국화는 꽃 중의 은일자요, 모란은 꽃 중의 부귀자요, 연꽃은 꽃의 군자”라며 선생은 덕 높은 군자를 닮은 연꽃을 특히 사랑해 ‘애련설’을 지었다.

칠월, 푸르른 연밭에서 나는 고귀한 정신과 만난다.

수필가

 

'맹난자의 한줄로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곗덩어리  (0) 2021.09.22
홍사용의 눈물  (0) 2021.09.21
나는 누구인가  (0) 2021.09.21
무(無)는 유(有)의 근원  (0) 2021.09.21
환지본처  (0) 2021.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