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대조 볼 붉은 골에
중앙일보
유자효 시인
대조 볼 붉은 골에
황희 (1363∼1452)
대조 볼 붉은 골에 밤은 어이 뜻드리며
벼 벤 그루에 게는 어이 나리는고
술 익자 체 장사 돌아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 청구영언
오늘에 생각해보는 청백리
대추의 볼이 빨갛게 익은 골짜기에 밤은 어찌 떨어지며, 벼 베어낸 그루터기에 게는 어찌 내려오는고. 술이 익자 때마침 체 장사가 지나가니 걸러서 아니 먹고 어찌하겠는가.
늦가을 추수가 끝난 농촌의 한가로운 풍경을 그리고 있다. 대추와 밤이 익고, 게도 기어 내려오니 술안주가 기가 막히게 마련됐는데, 술은 익고 체 장사마저 지나간다. 금상첨화가 아니겠는가? 절로 군침이 돈다.
방촌(厖村) 황희(黃喜)는 공민왕 12년에 개성에서 태어나 성균관 학록으로 있을 때 고려가 망하자 72인의 선비들과 두문동에 들어갔으니 두문불출(杜門不出)의 주인공이다. 새 왕조의 요청과 두문동 선비들의 권유로 태조 3년에 입조해 문종에 이르기까지 조선의 기틀을 다졌다. 특히 세종 재위 32년 중 18년을 영의정으로 지냈다.
그는 청렴하여 비가 새는 방에 멍석을 깔고 지냈으며, 보리밥에 된장, 나물로 식사했다고 한다. 관복도 단벌이었다. 1인지하 만인지상이었던 그는 많은 녹봉과 노비를 받았으나 자신의 몸가짐을 청렴하게 지켰다. 아들이 큰 집을 마련하자 발길을 끊어 작은 집으로 옮겼다는 일화가 전한다. 조선 왕조가 5백 년을 이어온 것은 이런 청백리 정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문산 임진강변의 반구정은 그가 은퇴 후 지낸 곳이다.
유자효(시인)
'시조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 회고가(懷古歌) (0) | 2022.01.27 |
---|---|
(38) 해월(海月) - 칠암 앞바다에서 (0) | 2022.01.27 |
(36) 저물 듯 오시는 이 (0) | 2022.01.27 |
(35) 강호한정가(江湖閑情歌) (0) | 2022.01.27 |
(34) 대 (0) | 2022.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