良藥은 苦於口나 而利於病이요
忠言은 逆於耳나 而利於行이라.(孔子家語)
[독음] 양약고어구이이어병, 충언역어이이이어행.
[출전] 공자가어(孔子家語)-[육본편(六本篇)]
[해석] 좋은 약은 입에 쓰지만 병에 이롭고, 충성된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하는데 이롭다.
□자의(字義)
•良(어질 량) 좋다.
•藥(약 약) 병을 고치는 약
•苦(쓸 고) 씀바귀처럼 입에 쓰다.
•於(어조사 어) ‘~에’ 처소격전치사 (입에, 귀에)
•而(말이을 이) ‘~지만’ 역접으로 쓰인다. 앞글과 뒷글이 상반됨
•利(이로울 리) 이익이 있다.
•逆(거스를 역) 상황이나 흐름이 반대가 되는 것이다.
▶ [어구풀이]
•良藥(양약) 좋은 약. 약효가 좋아 병을 잘 치유할 수 있는 약
•忠言(충언) 자기의 진심을 다하는 충고의 말
•逆於耳(역어이) 귀에 거슬리다. 교묘하고 아첨하는 간신들의 교언영색(巧言令色)하는 달콤한 말이 아니기에 귀로 거슬리는 것이다.
▣도움말: 진정한 선비정신
※누구나 주변의 사람들이 자신에게 거슬리는 말로 자신의 잘못된 점을 지적할 때 흔쾌하게 수용하기란 쉽지 않다. 직언(直言)과 간언(諫言)을 중시하고 고결한 청렴성을 최고의 가치로 여겼던 선비정신을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새로운 감각으로 되새겨야 할 정신으로 자리매김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