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8) 과진리내果珍李柰 채중개강菜重芥薑
▶ 훈음(訓音)
果 실과 과 / 珍 보배 진 / 李 오얏 리 / 柰 능금나무 내
菜 나물 채 / 重 무거울 중 / 芥 겨자 개 / 薑 생강 강
▶ 풀이
과실(果) 중에 오얏(李)과 능금(柰)이 보배이고(珍),
나물(菜) 중에는 겨자(芥)와 생강(薑)이 중하다(重).
▶ 자원字源
果 : 나무 위에 열매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 데서 '실과'를 뜻한다.
珍 : 구슬 옥玉, 숱많고검을 진㐱(윤이 나다)이 결합했다. 윤이 나는 옥이라는 데서 '보배'를 뜻한다.
李 : 나무 목木, 아들 자子(자→리)가 결합했다. 노자老子가 자두나무 아래에서 태어나 리李라는 성씨가 만들어졌다는 데서 '오얏'을 뜻한다.
柰 : 나무 목木, 보일 시示(제단, 시→내)가 결합했다. 능금나무를 제단에 올린다는 데서 '능금'을 뜻한다.
菜 : 풀 초艹, 캘 채采(손으로 열매를 따는 모습)가 결합했다. 나물을 캐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캐다'를 뜻한다.
重 : 동녘 동東(끈으로 사방을 동여맨 보따리, 동→중), 사람 인人이 결합했다. 를 뜻한다. 사람이 무거운 짐을 지고 있다는 데서 '무겁다'를 뜻한다.
芥 : 풀 초艹, 낄 개介(갑옷 → 겨자 씨 껍질)가 결합했다. 겨자 씨는 갈색 껍질로 덮여 있다는 데서 '겨자'를 뜻한다.
薑 : 풀 초艹, 지경 강畺(덩어리 진 생강 뿌리)이 결합했다. 생강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생강'을 뜻한다.
▶ 참고參考
오얏 리李는 다스릴 리理로 보아 현자를 나타낸 것이고 겨자 개芥는 토개土芥로 보아 인민을 나타낸 것이라는 관점이 있는데 다소 현학적인 접근인 것 같다.
위 구절에서 실과 과果, 오얏 리李, 능금나무 내柰에는 나무 목木이, 나물 채菜, 겨자 개芥, 생강 강薑에는 풀 초艹가 공통적으로 보인다. 과일은 나무에서 열리며, 나물은 풀이다. 천자문은 글을 익히는 교재였으니, 나무 목木이 포함된 과일과 풀 초艹가 들어간 나물 중에 글자를 선택하여 문장에 실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千字文 工夫'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0) 룡사화제龍師火帝 조관인황鳥官人皇 (0) | 2022.06.06 |
---|---|
(009) 해함하담海鹹河淡 린잠우상鱗潛羽翔 (0) | 2022.06.06 |
(007) 검호거궐劍號巨闕 주칭야광珠稱夜光 (0) | 2022.06.06 |
(006) 금생려수金生麗水 옥출곤강玉出崑岡 (0) | 2022.06.06 |
(005) 운등치우雲騰致雨 로결위상露結爲霜 (0) | 202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