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115) 포사료환布射僚丸 혜금완소嵇琴阮嘯

bindol 2022. 6. 18. 09:51

▶ 훈음訓音

布 베 포 / 射 쏠 사 / 僚 동료 료 / 丸 둥글 환
嵇 산 이름 혜 / 琴 거문고 금 / 阮 성씨 완 / 嘯 휘파람 불 소




▶ 풀이

려포(布)는 활쏘기(射)에 능했고 웅의료(僚)는 롱환(丸)을 잘했으며
혜강(嵇)은 거문고(琴)를 잘 탔고 완적(阮)은 휘파람(嘯)을 잘 불었다.


▶ 자원字源

布 : 또 우又(손), 수건 건巾(봉에 천이 걸려있는 모습)이 결합했다. 천을 넓게 펴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베', '펴다' 등을 뜻한다.
射 : 몸 신身(활과 화살), 마디 촌寸(또 우又의 변형, 손)이 결합했다. 손으로 활을 쏘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쏘다'를 뜻한다.
僚 : 사람 인亻, 횃불 료尞(밝게 빛나다)가 결합했다. 밝게 빛나는 사람이라는 데서 '동료', '관료' 등을 뜻한다.
丸 : 기울 측仄(땅에 박힌 기둥이 기운 모습)을 좌우대칭으로 적은 글자이다. 기울어져 굴러간다는 것은 둥근 것이라는 데서 '둥글다'를 뜻한다.
嵇 : 상고할 계稽(벼를 손에 쥐고 놓으며 헤아리거나 맛을 보다, 계→혜)의 생략형, 메 산山이 결합했다. 상업이 발달한 도시 근처에 있던 산이라는 데서 '산 이름'을 뜻한다.
琴 : 쌍옥 각玨(현악기), 이제 금今(사람이 거문고를 타는 모습)이 결합했다. 거문고를 타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거문고'를 뜻한다.
阮 : 언덕 부阝, 으뜸 원元(원→완)이 결합했다. 언덕 중에서도 으뜸인 지역에서 지은 성씨라는 데서 '성씨'를 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嘯 : 입 구口, 엄숙할 숙肅(오므리다, 숙→소)이 결합했다. 입을 오므리고 휘파람을 부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휘파람 불다'를 뜻한다.


▶ 참고參考


롱환弄丸은 두 손으로 여러 개의 공을 공중에 던지고 받으며 노는 놀이이다. 저글링Juggling과 같은 말이다. 롱주弄珠, 롱구弄毬, 롱구弄球, 금환金丸, 롱령弄鈴, 도령跳鈴, 도환跳丸, 수환垂丸, 롱옥弄玉, 공죽空竹 등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됐다.

혜강嵇康의 선조는 본래 회계會稽(현재 소흥시紹興市 향로봉香爐峰)의 해奚씨였으나 원수를 피하여 초군으로 이주하였고, 집 옆에 있었던 혜산嵇山(현재 지주시池州市)을 따와 성씨로 삼았다. 혜산嵇山 근처에 위치한 지주시池州市와 무호시蕪湖市는 장강이 흐르고 큰 호수가 있어 상업이 발달한 곳이었다.

완적阮籍은 삼국시대 진류陳留(하남성河南省 개봉시開封市) 출신의 위나라 시인이다. 참고로 베트남에서 완씨는 전체 인구의 38%를 차지한다. 한국의 김씨가 전체 인구의 21%인 점을 감안하면 굉장히 많은 비율이다. 아마 응우옌 왕조(阮朝) 이후로 그렇게 된 것이 아닐까 한다. 베트남 북부고원지대에는 판시팡산(Phan Xi Păng, 해발 3143m)을 완씨의 유래일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베트남은 개봉시와 거리가 매우 멀며, 삼국시대와 응우옌 왕조 시대는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