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 라이브] 탈 많은 사과의 계절, 사과에도 기술이 있다.
요즘 성추행, 학교 폭력, 부동산 정책 실패 등으로 누군가에게 사과하거나 사죄하는 일이 많은 세상이다. 게다가 코로나 감염 사태로 가족들이 집에 붙어 지내는 시간이 늘면서 서로 신경을 곤두세우며 티격태격 하는 일이 잦아졌다. 상냥치 않은 말들이 오고가는 상황이 나오기 마련이다. 갈등과 다툼이 해결되려면 누군가가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고 머리를 숙여야 한다. 이래 저래 사과(謝過) 많은 시기다.
사과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상대방이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다. 물론 진정성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지만,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하는 지에 따라 사과가 사과로 끝난다. 어설픈 사과는 되레 화를 더 키워 후폭풍을 몰고 온다.
그러기에 사과에도 기술이 있다. 사과 전문가로 국제적으로 저명했던 미국의 정신과 의사 아론 라자르 박사는 다양한 임상 경험과 사례를 모아 ‘사과에 대해’라는 책을 썼다. 그가 말하는 첫째 덕목은 상대방이 몹시 기분 상했다는 것을 인정하고, 책임을 지는 자세다. “이 건 내 잘못”이라고 확실히 인정하라는 것이다. 물론 그게 그렇게 쉽지는 않겠지만 서도, “당신이 기분 나빴다면(또는 불쾌했다면), 내가 사과할게”라는 식의 멘트는 여전히 상대방의 고통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들리기 쉽다. 잘못을 인정 할 때는 수동태를 쓰지 말라고도 조언한다. 예를 들어 ‘실수가 이뤄졌습니다’라는 표현은 책임을 회피하는 뉘앙스를 풍긴다.
잘못을 인정하는 내용도 구체적이어야 한다. 두리뭉실 그냥 내가 잘못했다고 하면 상대방은 진정성을 의심한다. 예를 들어 “어제 내가 화낸 거 미안해”라고 말하기 보다 “어제 저녁 당신의 말을 말마다 자르고, 소리를 크게 질러 화 낸 것은 내가 잘못 했고 미안해”라고 말해야 상대방이 뭘 사과하는 알고 진심으로 받아들인다는 거다. 모호해선 안 되고 구체적으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말해야 한다. “그래 내가 잘못했다. 그게 그렇게 기분 나쁜 일이었는지 몰랐다”라고 말하면 되레 부아를 돋을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그런 상황을 만든 것에 후회를 표현해야 하고, 보상이 필요하면 현실적인 보상책을 말해야 한다. 끝으로는 재발 방지에 대한 나름의 계획을 덧붙여야 한다. 이 같은 사과의 기술이 진정한 화해를 낳고, 더 나은 단계로 넘어간다는 것이다. 사과할 일을 안 만드는 게 가장 좋겠지마는.
'健康 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디컬 라이브] 월드컵 영웅 유상철 데려간 췌장암, 누가 발생 위험 높은가 (0) | 2022.06.25 |
---|---|
[메디컬 라이브] 나이들면 소변 다 보고도 오줌 몇 방울 더 흘리는 이유 (0) | 2022.06.25 |
[만물상] ‘롱 코비드’ (0) | 2022.06.11 |
[김철중의 생로병사] 붙여야 산다, 패치 의료 시대 (0) | 2022.06.08 |
[메디컬 라이브] 구강 용품 놓인 화장실 서랍을 보면 그 집 주인 건강 수명이 보인다. (0) | 2022.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