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눈물 흘리며 “원컨대 죽음을 불사하겠습니다”고 했다
- 皆流涕曰 : “願致死!”· 개류체왈 : “원치사!”
오광 등은 평소 묘가 진과 마음이 같지 않은 것을 원망하고, 또 그가 환관과 통모하는 것을 의심하였는데, 군중에 영을 내려 말했다. “대장군을 죽인 자는 곧 거기이다. 그대들은 능히 원수를 같을 수가 있겠느냐?” 모두 눈물을 흘리면서 “원컨대 죽음을 다하겠습니다!”고 말했다.
吳匡等素怨苗不與進同心, 而又疑其與宦官通謀, 乃令軍中曰 : “殺大將軍卽車騎也, 使士能爲報仇乎?” 皆流涕曰 : “願致死!”(오광등소원묘불여진동심, 아우의기여환관통모, 내령군중왈 : “살대장군증거기야. 사사능위보구호?” 개류체왈 : “원치사!”)
위 문장은 중국 3대 역사서 중 하나인 ‘자치통감(資治通鑑)’에 나온다. 이 책은 송나라 때 정치가·역사가인 사마광(司馬光·1019~1086)이 19년에 걸쳐 전국시대에 속하는 주나라 위열왕 23년(기원전 403) 이후 송나라 직전인 오대(五代)까지 1362년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다. 분량이 294권이나 되는 방대한 저작이다.
위 문장에서 ‘오광’은 중국 후한 말 하진(何進) 휘하의 장수로, 189년 하진이 십상시(十常侍)에게 살해당하자 이들을 공격했다. 십상시는 후한 제12대 황제(재위 168~189)인 영제(靈帝) 때에 정권을 잡은 10명의 중상시(中常侍)이다. 이들은 모두 환관으로, 황제가 주색에 빠지게 하고 자신들이 정권을 농단했다.
오광 등은 하진의 동생 하묘(何苗)를 미워했다. 하묘가 하진의 뜻과는 달리 십상시 제거에 반대해왔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하묘가 환관들과 일을 꾸민 것이 아닌가 싶어 “대장군 하진을 죽게 한 자는 거기장군 하묘다! 그대들은 복수할 수 있겠는가”고 말한 것이다. 하진은 평소 덕을 베풀었기에 병사들은 눈물 흘리며 “죽음도 불사하겠습니다!”고 외쳤다. 오광은 동탁의 아우 동민과 함께 하묘를 처단했다. 하진의 누이가 영제의 총애를 입어 태후가 됐다. 이에 하진은 관직을 받았고, 황건적의 난이 터진 뒤 대장군까지 지냈지만 십상시에게 죽임을 당했다. ‘거기’는 거기장군(車騎將軍) 하묘이다.
필자는 대학 사학과 재학 시절 ‘자치통감’을 완독하려고 뜻을 세워 틈날 때마다 조금씩 읽고 있다. 아침 산책 후 책 읽기로 오늘부터 ‘자치통감’을 이어 읽어나가기로 했다.
'조해훈의 고전 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190> 교만하지 않고 조심해서 살면 ‘군자’라는 주역 경구 (0) | 2022.07.25 |
---|---|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189> 임란 때 탄금대서 전사한 신립을 위로하는 권상하의 시 (0) | 2022.07.20 |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187> 무더위 속 마당에 핀 석류꽃 향을 읊은 김수항 (0) | 2022.07.15 |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186> 형가에 이어 진시황 살해에 실패한 악사 고점리 (0) | 2022.07.11 |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185> 정을 두었던 기생과 이별 앞두고 읊은 두목의 시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