算 術
*셀 산(竹-14, 7급)
*꾀 술(行-11, 6급)
지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지지 않고 이기자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算術’의 속뜻을 알아본 다음에 이기는 데 참고가 될만한 명언을 소개해 본다.
算자는 ‘대 죽’(竹)과 ‘갖출 구’(具)가 합쳐진 것인데, 具자의 아래 부분이 약간 달리 쓰여있다. 이 경우의 竹은 筭(산가지 산), 즉 수효를 셀 때 쓴 대나무 막대기를 가리킨다. 셈을 할 때 쓸 대나무 막대기를 갖추어 놓은 것으로 ‘셈하다’(count)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術자는 ‘네거리’를 뜻하는 行(행)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朮(차조 출)이 발음요소임은 述(지을 술)도 마찬가지다. 원래는 ‘(도읍지의) 한 길’(a main street)이란 뜻이었는데, 후에 ‘기술’(skill) ‘예술’(art) ‘재주’(ability) ‘꾀’(a devic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算術(산:술)은 ‘셈[算]을 하는 기술(技術)’이 속뜻이다. 사전적 정의는 ‘일상생활에 실지로 응용할 수 있는 수와 양의 간단한 성질 및 셈을 다루는 수학적 계산 방법’이라 한다. 간단한 속뜻을 알면 긴 정의를 이해하기 쉽다.
전쟁이나 운동 시합 등에서 이기자면 이런 말도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손자병법에 나오는 말이다.
“요모조모 따져봐야 이긴다.
미리 따져 보지 않으면 이길 수 없다.”
多算勝, 다산승
不算不勝.불산불승
- ‘孫子’․ 計篇.
●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속뜻사전 편저자).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268] 販路(판로) (0) | 2022.11.22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267] 訓練(훈련) (0) | 2022.11.18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265] 育英(육영) (0) | 2022.11.16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264]苦待(고대) (0) | 2022.11.15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263] 弊習(폐습)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