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
) --> 청렴하면서도 포용력이 있고, 어질면서도 훌륭한 결단력이 있으며 총명하면서도 지나치게 살피지 않고 정직하면서도 지나치게 따지지 않는다면, 이는 이른바 꿀에 재운 음식이 달지 않고 해산물이 짜지 않음이니 이것이야 말로 아름다운 덕이 되리라. --------------------------------------- ) -->
○ 淸能有容(청능유용) : 청렴하면서도 포용력이 있다. 能은 능히 할 수 있다는 뜻. ○ 善斷(선단) : 훌륭한 결단을 내림. ○ 傷察(상찰) : 마음이 상하도록 지나치게 살핌. ○ 過矯(과교) : 지나치게 따지다. 矯는 바로잡을 ‘교’. ○ 蜜餞不甛(밀전불첨) : 꿀에 재워 놓은 음식이 달지 않다. 蜜餞(밀전)은 꿀이나 설탕에 잰 과일을 말한다. 甛은 달 ‘첨’. ○ 海味不醎(해미불함) : 맛 좋은 해산물이 짜지 않음. 海味(해미)는 바다에서 난 물건으로 만든 맛이 좋은 반찬을 말한다. 醎은 짤 ‘함’. ○ 纔是(재시) : 이것이야 말로 ~이다. 纔는 재주 ‘재’. ○ 懿德(의덕) : =宜德(의덕). 좋은 덕행. 懿는 아름다울 ‘의’. |
출처 : 석양길 나그네
글쓴이 : bindol 원글보기
메모 :
'菜根譚'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85[채근담(菜根譚)] 前集 85.한가할 때에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마라 (0) | 2018.06.07 |
---|---|
[스크랩] 84[채근담(菜根譚)] 前集 84.한 때 곤궁해도 자포자기하지 마라 (0) | 2018.06.07 |
[스크랩] 82[채근담(菜根譚)] 前集 82.바람은 지나가면 소리가 남지 않는다 (0) | 2018.06.07 |
[스크랩] 81[채근담(菜根譚)] 前集 81.치우치지 않는 성품을 지녀야 한다 (0) | 2018.06.07 |
[스크랩] 80[채근담(菜根譚)] 前集 80.뉘우침은 예방함만 못하다 (0) | 2018.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