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菜根譚) 전집(前集)<전집 225장, 후집 134장>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
117.번창할 때 쇠퇴함을 대비하라. |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1624F5AC6A8D138)
117.
) -->
衰颯的景象(쇠삽적경상)은 就在盛滿中(취재성만중)하고
發生的機緘(발생적기함)은 卽在零落內(즉재령락내)라。
故(고)로 君子(군자)는
居安(거안)엔 宜操一心以慮患(의조일심이려환)하고
處變(처변)엔 當堅百忍以圖成(당견백인이도성)이라。
) --> |
) -->
쇠락해가는 모습은 곧 번창함 가운데에 있고,
자라나는 움직임은 곧 영락한 가운데에 있다.
그러므로 군자는
편안할 때에 마땅히 마음을 굳게 지켜 환란을 염려해야 하며,
변고를 당했을 때 백 번을 참고 견뎌 성공을 도모하여야 하느니라.
) -->
--------------------------------------------------
) -->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8F74B5AC6A8C20B)
○ 衰颯(쇠삽) : 시들어짐. 쇠락함. 衰는 쇠할 ‘쇠’. 颯은 바람소리 ‘삽’.
○ 景象(경상) : 자연계의 현상. 모습.
○ 就盛滿(취성만) : 곧 빈 데 없이 가득이 참. 집안이 번창함. 就는 ‘곧(이에)’의 뜻.
○ 機緘(기함) : 움직이다. 자라나다. 機는 틀 ‘기’. 緘은 봉할 ‘함’.
○ 零落(영락) : 권세나 살림이 줄어서 보잘 것 없이 됨.
○ 宜操一心(의조일심) : 마땅히 마음을 곧고 바르게 지킴. 宜는 마땅 ‘의’.
○ 處變(처변) : 변고를 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