菜根譚

[스크랩] 173[채근담(菜根譚)] 前集 173.어진 마음이 없으면 인간이라 할 수 없다

bindol 2018. 6. 8. 05:47


채근담(菜根譚) 전집(前集)<전집 225, 후집 134>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

173.어진 마음이 없으면 인간이라 할 수 없다.

-배고픈 쥐를 위해 항상 밥을 남겨두어라<爲鼠常留飯>-




) --> 

173.

) --> 

爲鼠常留飯(위서상류반)하고 憐蛾不點燈(연아부점등)이라 하니

古人此等念頭(고인차등념두)是吾人一點生生之機(시오인일점생생지기)

無此(무차)便所謂土木形骸而已(변소위토목형해이이)니라

) --> 

) --> 

쥐를 위해 언제나 밥을 남겨두고 불나방을 가엾게 여겨 등불을 켜지 않는다.’고 하였으니,

옛사람의 이러한 마음은 우리 인간이 나고 자라게 하는 작용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마음이 없다면 인간은 흙이나 나무와 같은 형체일 따름이리라.

) --> 

------------------------------------

) -->

 

 

爲鼠常留飯(위서상류반) 憐蛾不點燈(연아부점등) : 배고플 쥐를 위해 언제나 밥을 남겨두고 나방을 불쌍히 여겨 등불을 켜지 않음. , 미물에 대한 인애(仁愛)의 마음을 말한다. 소식(蘇軾:소동파)의 시 차운정혜흠장로견기 8(次韻定慧欽長老見寄八首) 중 제1수의 일부분이다.

古人(고인) : 옛사람. 소식(蘇軾:소동파)를 말한다.

此等念頭(차등념두) : 이러한 마음. 어질고 남을 사랑하는 마음을 말한다.

生生之機(생생지기) : 나고 자라게 하는 작용.

土木形骸(토목형해) : 흙과 나무로 된 뼈대라는 뜻으로, 외형을 장식하거나 덧붙이지 아니한 상태를 이르는 말. 는 뼈 ’.

) --> 

---------------------------------

) --> 

<차운정혜흠장로견기 8>

次韻定慧欽長老見寄八首 <蘇軾>

) --> 

[]

左角看破楚南柯聞長滕

鉤簾歸乳燕穴紙出癡蠅

為鼠常留飯憐蛾不點燈

崎嶇真可笑我是小乘僧

) --> 


출처 : 석양길 나그네
글쓴이 : bindo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