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

대만 5·24 반미운동 역설…미국 물건 넘쳐나고 사상 탄압 광풍

bindol 2020. 5. 27. 14:58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627〉

1978년 12월 27일, 대륙과 수교 5일을 앞두고 대만과 단교 선후책을 협의하기 위해 방문한 미 국무차관의 차량을 둘러 싸고 계란을 던지며 시위하는 대만의 대학생과 군중들. 약 3만명이 청천백일기와 영문 피켓을 들고 거리로 나왔다. [사진 김명호]

장징궈(蔣經國·장경국)는 5·24 반미운동이 당일로 그친 것이 애석했다. 훗날 지인에게 토로했다. “내가 뒤처리를 할 수 있었다면 군부대를 동원해 군중을 진압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당시 부대 이동은 장징궈의 동의가 없으면 어림도 없었다. 장징궈를 거치지 않고 군대를 동원할 수 있는 사람은 장제스(蔣介石·장개석)가 유일했다.

미 언론, 장징궈가 시위 사주 의심
첫 보도 기자 공산당 몰려 옥살이

양국 군사동맹 더 공고해지고
타이베이에 미군 향락 업소 난립

“마크 트웨인은 마르크스 친척”
소설 가지고 있다가 잡혀가기도

장제스도 미국과 미군의 횡포에 불만이 많았다. 류즈란(劉自然·유자연)의 사망을 핑계로 미국대사관을 공격했다. 예상치 않았던 기밀문건 탈취와 외교관 구타가 장제스를 압박했다. 직접 군대 동원령을 내리고 언론을 제물로 삼았다. 장징궈의 묵인하에 사건을 최초로 보도한 기자는 공산당으로 몰렸다. 5년간 옥살이를 했다.

미국은 불만과 흠모 모순의 대상

1978년 5월 20일 중화민국 6대 총통 취임식을 마친 장징궈. 왼쪽은 전임총통 옌자간(嚴家淦) 부부. 장징궈는 무슨 행사건 부인을 동행하는 법이 없었다. [사진 김명호]

뉴욕타임스가 장징궈의 사주를 암시했다. “대만은 처음에 공산당이 선동한 결과라며 증거를 찾는 중이라고 발표했다. 하루 만에 말을 바꿨다. 자연적으로 일어난 불행한 사건이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이런 조직적인 폭력 사태를 일으킬 사람은 대만에 한 사람뿐이다. 소련에서 장기간 특수 훈련을 받은, 머리 구조가 세밀하고 복잡한 공산주의자가 국민당 고위직에 있다.”

홍콩 언론은 장징궈를 엄호했다. 신바오(新報) 6월 22일 자에 실린 부샤오푸(卜少夫·복소부)의 아부가 눈길을 끌었다. “장징궈의 처지가 대륙 철수 전야보다 더 안타깝다. 미국인들의 어린애 같은 오해가 하루빨리 풀리기 바란다. 장징궈는 최근 6년간 두드러진 행동을 하지 않았다. 잊힌 사람이나 다름없다. 행적도 잡지 정도에 가끔 나왔다 사라지곤 했다. 기자의 방문도 거절하고, 여간해선 공개된 장소에 나타나는 법이 없다. 직함도 ‘퇴역군인 보도(輔導)위원회 주임위원’일 뿐이다. 현재 퇴역군인들 이끌고 동서 횡단도로 건설 중이다. 우방의 오해에 침묵으로 답하는 지혜에 찬탄을 금하기 힘들다. 미국은 건망증 환자들이 만든 나라다. 아이젠하워 정부도 막을 내릴 날이 머지않았다. 시간은 장징궈 편이다. 참고 기다리면 구름이 열리고 태양이 빛난다. 승리의 날이 오기를 고대한다.” 대륙 시절 국민당 기관지의 총편집을 역임한 아첨 문학의 대표주자다운 시론(時論)이었다.

기자의 방문을 마치고 촬영에 응한 천잉쩐. 1982년 6월, 타이베이. [사진 김명호]

5·24 이후 대만과 미국의 군사동맹은 공고해졌다. 모순이었지만 어쩔 수 없었다. 미국의 군사력과 물질문명은 누가 뭐래도 세계 최고였다. 불만과 동시에 흠모의 대상이었다. 중심가 중산베이루(中山北路)는 타이베이의 5번가였다. 상점 진열대에 미국 물건이 넘쳤다. 미군 전용 향락업소가 난립했다. 해만 지면 미군들은 주지육림에 빠졌다.

양밍산(陽明山)도 미군 영외거주자와 군속들의 거주지로 변했다. 지식인들은 조계(租界)나 다름없다며 분노했지만,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다. 적당한 크기의 우아한 주택과 건축물, 깨끗한 도로와 교통질서는 부러움을 사기에 충분했다. 대학생들은 영어와 토플시험 준비에 머리를 싸맸다. 미국유학은 이민과 동의어였다.

장징궈도 전략을 바꿨다. 새로 부임한 미 중앙정보국 지부장과 가깝게 지냈다. 부부동반으로 여행 다니고 밥 약속도 자주 했다. 지부장 부인에게 매주 두 번씩 영어도 배웠다. 지부장은 장징궈 사후 함께했던 시절을 회상하는 책까지 냈다.

정부는 반정부와 반미주의자를 공산당과 동일시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의식을 강조하거나 국민당을 비아냥거리면 어느 귀신에게 물려갈지 몰랐다. 만화 같은 일이 많이 벌어졌다. 통셴쑨(童軒蓀·동헌손)은 대만의 유명 화학공장 경영주였다. 사업수완이 뛰어나고 인심이 후했다.

졸라(左拉)의 책 읽었다고 좌파로 몰아

대만과 단교 후 미군기지에서 거행된 마지막 국기(성조기) 하강식. [사진 김명호]

항상 집안에 친구들이 들끓었다. 하루는 손님이 한 명밖에 없다 보니 의심을 샀다. 새벽 3시에 정보기관원들이 들이닥쳤다. 호구조사 나왔다며 집안을 뒤졌다. 번역소설 “톰 소여의 모험”을 증거로 통을 연행했다. 통은 이 소설이 나와 무슨 상관이냐고 따졌다. 심문관의 대답이 엄청났다. “표지를 똑바로 봐라. 저자가 마크 트웨인(馬克吐溫)이다. 마르크스(馬克思)의 친척이다. 너는 사상에 문제가 많은 사람이다.” 통은 13개월 만에 풀려났다.

 



작가 천잉쩐(陳映眞·진영진)은 문호 루쉰(魯迅·노신) 숭배자였다. 소설 한 편에 덜미를 잡혔다. 구술을 소개한다. “보안국에 잡혀갔다. 예쁜 여자 심문관이 그간 읽은 책의 저자를 적으라며 차까지 권했다. 나는 여자 말은 잘 듣는 편이었다. 루쉰부터 적어 내려갔다. 쭤라(左拉)를 적는 순간 심문관이 벌떡 일어섰다. 누구냐고 다그쳤다. 나는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웃으며 쭤라는 프랑스 작가 졸라의 음역이다. 좌파가 아니라고 아무리 얘기해도 듣지 않았다. 중공이 신줏단지처럼 떠받들던 루쉰은 그냥 넘어갔다.”

좌파로 몰린 대만 사범대학 교수 한 사람은 존경하는 인물이 누구냐는 질문을 받았다. 량치차오(梁啓超·양계초)라고 하자 전화통 들고 수배령을 내렸다. 량이 세상을 떠난 지 30년 후였다. 냉전 시대 대만에는 이런 일이 하루에도 몇 건씩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