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지 않은 건 6·25전쟁 때문이었다

bindol 2020. 7. 11. 08:40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항일전쟁 시절 미국 화교들이 미국인들에게 모금한 돈으로 중공 근거지 옌안에 세운 뤄싼지(로스앤젤레스의 음역) 탁아소는 중공과 미국 우호의 상징이었다. [사진 김명호]

무슨 전쟁이건 득실(得失)은 있기 마련이다. 개인도 그렇고 국가도 마찬가지다. 6·25전쟁처럼 참전국의 득실을 헤아리기 힘든 전쟁도 드물다. 중국, 미국, 영국, 소련 4개국 중 영국은 득실이 비슷했다. 많은 병력을 파견하지는 않았지만 사상자가 적지 않았다. 미국의 참전에 동조했다는 소리 듣기엔 충분했다. 미국이 보기엔 이랬다저랬다 할 때가 많았지만, 기본은 미국 편이었다. 중국과도 크게 척질 행동은 안 했다. 국군과 미군의 38선 돌파를 적극 찬성하면서도 전쟁을 한반도에 국한하자는 주장은 바꾸지 않았다.

미국은 20년간 중국과 등져 손실
소련은 정식 참전 않고도 큰 이득

이승만은 입지 강화, 독재의 길로
장제스는 국민의 후한 지지 얻어

38선을 넘은 후엔 38 이북을 비군사구역(非軍事區域)으로 설정하자는 묘한 주장도 했다. 유엔에서 중국의 지위 회복과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열린 토론회에 중국대표를 초청하자고 목청을 높인 것도 영국이었다. 미국의 함대 파견도 찬성하지 않았다. 베이징 측 관방대표들과의 관계도 단절된 적이 없었다. 얄밉고 현명한 처신 덕에 정전 후 홍콩 문제로 중국과 마찰을 빚지 않았다. 무역량도 늘어났다.

발등의 불 끄기 바쁜 중국에 참전 빌미 줘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4개월 후 대만을 방문, 기독교가 세운 둥하이(東海)대학 건설 파토(破土)의식에서 첫삽을 뜨는 미국 부통령 닉슨. 1953년 11월 중순 타이중(臺中). [사진 김명호]

미국은 한동안 득보다 실이 컸다. 우방인 한국을 포기하지 않는 바람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조직과 나토군 사령부 설립이 순조로웠다. 새로 탄생한 중화인민공화국을 적대시한 것은 전략상 착오였다. 미·소 냉전 시절 미국은 적이 적을수록 유리했다. 북의 남침과 거의 동시에 대만해협을 봉쇄하고, 인천상륙작전 성공에 도취한 나머지 38선을 넘은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적당한 선에서 그치는 것이 현명했다. 압록강까지 진출하지 않았더라면 중국도 참전을 쉽게 결정할 이유가 없었다.

당시 신중국은 토지개혁과 대만 해방, 국민당 잔존세력 처리 등 해결할 일이 많았다. 북한이 동북 해방에 도움 준 혈맹이라 하더라도 전쟁에 끼어들 형편은 아니었다. 미국도 막 대할 나라가 아니었다. 미국은 중국이 국·공연합으로 8년간 항일전쟁을 펼 때 중공에 신경을 많이 썼다. 중공의 항일 근거지 옌안(延安)에 미군이 상주하고 로스앤젤레스 탁아소도 세웠다. 중국을 방문한 미국 기자의 보도나 정보원들의 보고도 국민당보다는 중공에 호의적인 내용이 많았다. 정전협정에 조인한 미군 사령관조차 얄궂은 말을 남길 정도였다.

한반도 분단은 1945년 초 얄타에서 루스벨트와 스탈린이 주고받은 밀약 때문이었다. 북한이 38선을 깨는 바람에 국제전으로 비화하는 것은 당연했지만, 소련이 뒤로 숨어버리자 미국도 전면에 나서지는 못했다. 국무부의 국 정도로 취급하던 유엔 깃발 내걸고 유엔군 명의로 참전하는 것 외에는 대안이 없었다. 38선을 휴전선으로 대치해서 전쟁 전으로 되돌려 놓기는 했지만 유엔에서 체면이 깎였다.

1946년 3월 4일, 국·공내전 조정을 위해 옌안을 방문한 미국의 마샬 원수와 경극을 관람하는 마오쩌둥. 4년 후 한국에서 적으로 돌변하리라곤 상상도 못 할 때였다. [사진 김명호]

세계대전과 6·25라는 국제전을 치른 후에도 인간은 전쟁 동물의 속성을 버리지 못했다. 지구 상에 크고 작은 전쟁이 계속돼도 미국은 40년간 유엔군 명의로 작전을 펼 수 없었다. 20년간 중국과 등진 것도 미국엔 큰 손실이었다.

중국은 항미원조에서 승리했다며 자화자찬이 굉장했다. 신중국 선포 1년 후, 압록강까지 도달한 세계 최강의 미군과 유엔군을 38선까지 밀어붙이다 보니 그럴 만도 했다. 대만 해방의 기회를 놓쳤다는 것은 핑계에 불과하다. “천이(陳毅·진의)가 지휘하는 화동야전군(華東野戰軍) 30여 만 명의 대만 출병을 앞두고 한반도에 전쟁이 벌어지고 미국이 대만해협 봉쇄했다”며 애석해하지만 당시 중국은 대륙에서 철수하며 이전시킨 대만의 해군과 공군을 감당할 능력이 없었다. 인명 손실도 엄청났다. 고구려 원정에서 떼죽음 당한 수양제(隋煬帝) 때를 능가했다.

정식으로 참전도 안 하고 최대의 이익을 본 나라는 소련이었다. 소련은 중국의 항미원조 초기인 1950년 가을부터 겨울까지 공군 13개 사단을 중국에 파견했다. 주 임무는 방공이었다. 1년 후 미그15 전투기 372대와 장비를 중국 공군에 무상으로 넘기고 철수했다. 중국은 “역시 큰형님은 다르다”며 입이 벌어졌다. 소련은 60여 개 육군사단과 공군 22개 사단의 장비도 중국 지원군에 제공했다. 이번엔 무상이 아니었다. 소련이 등을 떠미는 바람에 지원군 명목으로 참전한 중국은 인명 손실에 빚쟁이까지 됐다.

소련에 진 빚 13억 달러 갚느라 허덕거려

진흙 구덩이에 빠진 미 C47 수송기를 끄집어내는 중국 농민들. 1945년 10월 광시(廣西)성 난닝(南寧). [사진 김명호]

소련이 청구한 13억 달러를 갚기 위해 1965년까지 허리띠를 졸라맸다. 영화 구경이라면 몰라도, 국제사회에 공짜는 없었다. 정전 후 서구에 떠돈 일화가 있었다. “트루먼의 측근이 신기 내린 집시 무당을 찾아갔다. 이 여인은 1952년에 소련과 전쟁이 벌어진다고 예언했다. 한국 덕에 미·소 전쟁이 무산됐다.” 무당의 예언이 아니더라도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지 않은 것은 6·25전쟁 때문이었다. 가장 큰 소득은 따로 있었다. 미·중 관계 단절로 중·소 분쟁 시절 중국을 의식할 필요가 없었다.

 


가천대 라종일 교수님의 탁견도 빠뜨릴 수 없다. “6·25전쟁을 계기로 한국의 안보와 군사력은 강화됐다. 전쟁 초기 한국군은 10만 내외였다. 정변을 일으키기엔 어림도 없는 규모였다. 군사력 보강은 전쟁 발발 10년 후 군사정변을 가능하게 했다. 미국은 민족통일 전쟁은 침략 전쟁이 아니라는 스탈린의 말을 흘려 듣지 않았다.

서독은 재무장을 추진했다. 당시 서독은 경찰서가 보유한 권총 몇십 정이 다였다. 동독의 인민경찰군은 한반도의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공격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서독은 나토군의 일부라는 명분으로 모병을 할 수 있게 됐다. 일본 못지않은 전쟁특수도 누렸다. 급증하는 전쟁물자 수요를 감당할 시설과 기술을 갖추고 있었다. 서독 초대 경제상 에르하르트도 한국에서 일어난 전쟁 때문에 독일경제가 크게 발전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이승만과 장제스는 득을 봤다. 전쟁 발발 직전 이승만의 대통령직은 풍전등화였다. 주먹 불끈 쥐고 북진통일 외치며 독재의 길로 들어섰다. 반대하는 사람은 빨갱이로 몰아버렸다. 장제스의 처지도 비슷했다. 역사는 냉혹하다. 일전을 불사하겠다며 국민을 흥분시키는 지도자보다 전쟁을 막기 위해 모욕을 감수하고 굴욕을 삼킨 지도자에게 후한 점수를 준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