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

천자껑 “왜구와 평화 논하는 공직자·군인, 국가 해치는 한간”

bindol 2020. 8. 29. 09:32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641〉

동생(뒷줄 오른쪽 둘째)과 함께 최승희 무용단 공연을 관람 후 기념사진을 남긴 가와시마 요시코(의자에 앉은 사람). 왼쪽 첫째는 훗날 한국무용 발전에 지대한 공을 세운 최승희의 수제자 김백봉 선생. 1943년 수저우(蘇州)의 둥싱로우(東興樓) 정원. [사진 김명호]

중국은 오래전부터 소수민족 침략자에게 한족의 이익을 팔아먹는 사람을 한간(漢奸)이라고 매도했다. 세월과 함께 의미도 변질됐다. 청나라 말기 개혁파와 혁명파가 충돌했다. 쑨원(孫文·손문)의 동맹회(同盟會)는 무장혁명을 외쳤다. 개혁으로 만주족 정권의 유지를 주장하던 개혁파들을 한간이라 몰아붙였다. 정파가 다르면 서로 한간이라 물어뜯는 일이 한동안 계속됐다. 항일전쟁 발발 1년 후인 1938년 11월, 동남아 화교영수 천자껑(陳家庚·진가경)이 전시수도 충칭(重慶)을 찾았다. 국민당에 제의했다. “지금 우리는 일본과 전쟁 중이다. 적이 우리 영토에서 떠나기 전까지 조건 내걸고 왜구와 평화를 논하는 공직자나 군인은 국가를 해치는 한간임을 명심해야 한다.” 유명 언론인 저우다오펀(鄒稻奮·추도분)이 천자껑을 극찬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장 위대한 제안이다.”

한족 이익을 일본에 팔아먹거나
정파 다른 자들을 한간으로 매도

장제스, 전국에 한간 체포령 내려
잡혀도 심문 없이 호화 감방생활

재판 넘기면 판사들은 눈치만 봐
특급 한간 요시코 처벌 과정 선전

한간들, 일본군과 합작해 괴뢰정부 출범

가마시와 요시코의 생부 숙친왕(오른쪽)과 양부 가와시마 나니와. [사진 김명호]

전쟁 기간 제대로 된 한간들이 무더기로 모습을 드러냈다. 한간들은 일본군과 합작했다. 동북(東北)과 화북(華北), 화중(華中) 지역에 괴뢰정부를 출범시켰다. 전장에서 일본군을 위해 작전을 편 중국 군인(僞軍)이 90만을 넘었다.

1945년 8월, 원자탄 2발로 전쟁이 끝났다. 1개월 후 최고통치자 장제스(蔣介石·장개석)가 전국에 산재한 한간 체포령을 내렸다. 체포 업무는 군사위원회 조사통계국(군통)이 담당했다. 군통은 전국에 지하조직이 있었다. 군통 초대소에 수감된 한간들은 온갖 특혜 받으며 호화로운 감방생활을 했다. 심문도 받지 않았다. 여론이 들끓자 재판에 회부했다. 판사들은 눈치꾸러기였다. 집권자들의 변덕을 누구보다 잘 알았다. 월급 못 받았다며 재판 기피하는 판사들이 속출했다. 군통은 사창가에서 흐느적거리는 판사 몇 명을 잡아다 두들겨 팼다. 효과 만점이었다. 행정원장 왕징웨이(汪精衛·왕정위)가 난징(南京)에 세운 친일정권(僞國民政府)의 군정요인 2720명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무기징역을 받은 2300여 명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군통 베이핑(北平)분실이 특급 한간 가와시마 요시코(川島芳子)를 체포했다. 베이핑 제1 감옥에 수감됐다는 소식이 퍼지자 온 중국이 술렁거렸다. 법률가들이 이의를 제기했다. “가와시마 요시코는 6살 때 일본인의 양녀로 입적했다. 중국인이지만 일본 국적이다. 국적은 휴짓조각이 아니다. 간첩이라면 몰라도 한간은 아니다.” 베이핑 검사국은 요시코를 간첩죄로 기소했다.

항일전쟁 시절, ’한간은 척살함이 마땅하다“는 표어가 골목마다 넘쳐났다. [사진 김명호]

영화나 소설 같은 일이 벌어졌다. 감옥 측은 요시코를 우대했다. 깨끗한 독방에 수감하고 수갑도 채우지 않았다. 군통의 배려가 아니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재판도 허술했다. 기소 검사가 구술을 남겼다. “재판장은 수준 이하였다. 우리가 제출한 증거를 인정하지 않았다. 일본 군복 착용한 사진과 요시코가 소지하고 있던 안국군(安國軍) 사령관 인장, 일본 삼류 소설가가 쓴 ‘남장여인’과 ‘만주의 여명’만 증거로 채택했다. 그래도 검찰 측 요청대로 사형을 선고했다. 무죄를 선고할 줄 알았던 나는 뒤에 뭐가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찜찜했다.”

국민정부의 한간 처리는 일벌백계(一罰百戒)였다. 가와시마 요시코의 재판도 중요한 부분은 기록영화를 만들어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가장 중요한 집행과정만은 예외였다. 의심 사기에 충분했다. 형장을 지휘한 허청빈(何承斌·하승빈)의 회고를 소개한다. “나는 가와시마 요시코의 실물은커녕 사진도 본 적이 없었다. 간밤에 통보받고 새벽에 형장으로 갔다. 헌병 1개 중대와 검시관 감옥 소장 등 현장이 요란했다. 중국 기자가 보이지 않아 이상했다. 외국 기자 2명이 다였다. 요시코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기색이었다. 관례대로 만두 두 개를 줬더니 먹기를 거절했다. 일본에 있는 부친에게 남기고 싶다는 편지는 허락했다.”

두 눈에 실탄 맞아 얼굴도 못 알아볼 지경

 


경비에 동원된 헌병 중대장 탄랑쩌(譚良澤·담량택)도 훗날 구술을 남겼다. “법경 두 명이 형을 집행했다. 집행관의 명령이 떨어지기도 전에 얼굴에 실탄 두 발을 발사했다. 그날 밖에는 중국 기자들이 떼거리로 몰려있었다. 집행 완료 후 두 명만 참관을 허락했다.” 요시코의 시신을 본 기자 한 명이 투덜댔다. “나는 사형 집행을 여러 번 참관했다. 얼굴에, 그것도 두 눈에 실탄을 발사해 얼굴을 알아볼 수 없게 만든 집행은 처음 본다. 가와시마 요시코의 재판도 처음부터 끝까지 방청했다. 이렇게 뚱뚱한 모습이 아니었다.” 감옥 소장이 말을 받았다. “네 말도 맞다. 이 여자는 아편 중독자였다. 1년간 수감 생활하며 금단현상에 고생했다. 부기 때문이지 체중이 불어난 게 아니다.” 기자는 한 번 째려보고 자리를 떴다.

가와시마 요시코는 양부 가와시마 나니와(川島浪速)에게 이런 편지를 남겼다. “부친대인: 1948년 3월 25일 새벽 저는 세상과 하직합니다. 청년들에게 중국의 장래를 위해 기도해 달라고 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망부(亡父)의 묘에 저의 죽음과 현재 벌어지는 중국 사정도 고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저는 내세에서 중국에 힘을 보태겠습니다.” 망부는 생부 숙친왕(肅親王)을 의미했다. 요시코는 숙친왕 산치(善耆·선기)의 21남17녀 중 14번째 딸이었다. 요시코 사망 1주일 후 만우절이 돌아왔다. 온갖 소문이 난무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