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 圍
*두루 주(口-8, 5급)
*둘레 위(囗-12, 5급)
‘그녀는 주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무용을 전공하여 교수가 됐다’의 ‘주위’는? ①周圍 ②周緯 ③周偉 ④周違. ‘周圍’란?
周자는 옥의 조밀한 무늬를 다듬는 모습이 변화된 것으로 ‘(옥을) 다듬다’(face jade)라는 뜻이었다. 후에 ‘두루’(all over) ‘골고루’(evenly) ‘널리’(widely) 등으로도 쓰이자, 본뜻은 琱(옥 다듬을 조)자를 따라 만들어 나타냈다고 한다.
圍자는 본래 네모 형태의 성[口]을 지키는 군사들의 발자국[止]이 네 개 그려져 있는 것이었다. 후에 발자국 두 개를 없애고 대신에 외곽에 다시 쌓은 또 하나의 성을 상징하는 ‘囗’가 보태진 것이 바로 圍자다. ‘에워싸다’(besiege) ‘둘레’(circumference)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周圍는 ‘어떤 곳의 바깥 둘레’, ‘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이른다. 미약한 자신을 너무 과소평가 하지 말자.
옛말에 이르길, ‘열 아름이나 되는 대부등 나무도, 싹이 틀 때는 산나물 같았다’
(十圍之木 십위지목, 始生如蘖 시생여얼- ‘漢書한서’).
【添言】 한글전용 교과서는 의미 정보는 쏙 빼고, 독음 정보만 제시한 것이다. 그래서 학생들이 읽을 줄은 알아도 뜻을 몰라 책만 보면 眩氣症(현기증)을 느낀다. 工抛者(공포자)를 양산시키는 主犯(주범)이 바로 한글전용 교과서이다.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34]困境(곤경) (0) | 2020.12.02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33]嚴禁(엄금) (0) | 2020.12.02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31]暴君(폭군) (0) | 2020.12.02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30]厚生(후생) (0) | 2020.12.02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29]卷頭(권두) (0) | 2020.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