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진의漢字..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04]秘方(비방)

bindol 2020. 12. 4. 05:02

秘 方

*숨길 비(禾-10, 4급)

*모 방(方-4, 7급)

 

‘그 약을 만드는 비방을 몰래 나에게만 알려주었다’의 ‘비방’은? ①秘方 ②誹謗 ③比方 ④比倣. ‘秘方’이란?

 

秘자는 속자(俗字)이고, 정자(正字)는 祕이다. 본뜻이 ‘귀신’(ghost)이니 ‘제사 시’(示)가 의미요소이다. 必(반드시 필)이 발음 요소임은 泌(분비할 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신비’(mystery) ‘비밀’(secret) 등으로도 쓰인다.

 

方자는 농기구의 일종인 쟁기 모양을 본뜬 것으로 ‘쟁기’(plow)가 본래 의미였다. ‘네모’(square) ‘모서리’(angle) ‘방향’(direction) ‘방법’(method) 등으로도 쓰인다.

 

秘方(비:방)은 ‘자기만이 알고 있는 비밀(秘密)스러운 방법(方法)’, ‘비밀히 전해 오는 약방문(藥房文)’을 이른다.

 

국민들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비방은? 편 가르기는 해봤자 배가 부르기는커녕 배만 아플 따름이다. ‘삼국지’에 있는 답을 보자.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방법은 재물을 풍부히 하는 데 있다.’

(安民之術 안민지술, 在於豊財 재어풍재 - ‘三國志’).

 

【添言】 초등 교육의 비극은 한자어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 것에서 시작된다.

교과서 한자어를 잘 알면 공부가 대단히 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