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치를 배우다 <63> 世上物情

bindol 2021. 6. 2. 06:02

세상 세(一-4)위 상(一-2)것 물(牛-4)형편 정(心-8)

 

'관자'의 '七法(칠법)'에 나온다.

"사물의 법칙에 밝지 못하면서 명령을 내리는 것은 돌아가는 바퀴 위에 서서 장대를 메고 그 끝을 바로잡으려는 것과 같다. 사물의 형상에 밝지 못하면서 그 재질을 논하고 쓰임새를 따지는 것은 긴 것을 잘라 짧게 만들어 놓고서는 짧은 것을 이어 길게 만들려는 것과 같다. 법령에 밝지 못하면서 백성들을 다스리고 민중을 하나로 아우르려 하는 것은 왼손으로 글씨를 쓰다가 힘들면 오른손을 쉬게 하는 것과 같다. 교화에 밝지 못하면서 풍속을 바꾸고 교육을 고치려 하는 것은 아침에 나무를 구부려 바퀴를 만들어서는 저녁에 그 바퀴로 수레를 끌려고 하는 것과 같다. 결정하는 일에 밝지 못하면서 민중을 몰아서 나아가게 하려는 것은 강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려는 것과 같다. 마음의 작용에 밝지 못하면서 사람들에게 법령을 시행하려는 것은 과녁을 등지고 활을 당기는 것과 같다. 계산에 밝지 못하면서 큰일을 하려는 것은 배에 삿대도 없이 물살이 험한 곳을 건너려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예법을 두고 제도를 마련하는 일은 법칙을 알지 못하면 할 수 없고, 재질을 논하고 쓰임새를 따지는 일은 형상을 알지 못하면 할 수 없으며, 민중을 하나로 어우러지게 하는 일은 법을 알지 못하면 할 수 없고, 풍속을 바꾸고 교육을 고치는 일은 교화를 알지 못하면 할 수 없으며, 민중을 몰아서 나아가게 하는 일은 결정하는 법을 알지 못하면 할 수 없고, 반포한 법령이 반드시 시행되도록 하는 일은 마음의 작용을 알지 못하면 할 수 없으며, 시작한 일을 반드시 이루는 것은 계산에 밝지 못하면 할 수 없다고 말한다."

사물의 알속과 법칙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사람이 사물의 세계 속에서 살기 때문이다. 사물과 아무런 관련을 맺지 않고 살 수 있는 길은 없다. 관련을 맺으면서 살아야 한다면, 사물의 알속과 법칙을 알지 않으면 안 된다.

흔히 "世上物情(세상물정)을 알아야지!"라고들 말하는데,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이다. 세상 돌아가는 실정이나 형편을 알아야만 허튼짓을 하지 않거나 곤란을 겪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다. 한낱 개인도 그러한데, 정치나 통치를 맡은 이라면 어떠하겠는가.

만약 사물의 알속과 법칙에 밝지 못하다면, 아무리 심사숙고해서 마련한 법령이나 정책이라도 별 소용이 없게 된다. 도리어 백성을 옭아매는 족쇄만 量産(양산)할 수도 있다.

마땅한 예법이 아니고 시대에 맞는 법령이 아니라면, 또 시세에 알맞은 정책이 아니라면, 백성을 아무리 아끼고 사랑한다 하더라도 백성들을 도리어 고통으로 내몰거나 정치적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다.

고전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