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이 꿈을 살게” - 신라 태종무열왕비 문희
- 我買此夢·아매차몽
第二十九太宗大王(제이십구태종대왕)
名春秋(명춘추), 姓金氏(성김씨)
妃文明皇后文姬(비문명황후문희)
卽庾信公之季妹也(즉유신공지계매야)
初文姬之姉寶姬(초문희지자보희)
夢登西岳捨溺(몽등서악사뇨)
瀰滿京城(미만경성)
旦與妹說夢(단여매설몽)
文姬聞之(문희문지)
謂曰(위왈) 我買此夢(아매차몽)
姉曰(자왈) 與何物乎(여하물호)
曰(왈) 鬻錦裙可乎(죽금군가호)
姉曰(자왈), 諾(낙) 妹開襟受之(매개금수지)
姉曰(자왈), 疇昔之夢(주석지몽)
傳付於汝(전부어여) 妹以錦裙酬之(매이금군수지)
제29대 태종대왕은 이름이 춘추이고 성은 김 씨이다
왕비는 문명황후 문희이니, 곧 김유신의 누이동생이다
처음에 문희의 언니인 보희가 서악에 올라가 소변을 보니
경성(경주)에 물이 가득 차는 꿈을 꾸었다
아침에 동생과 꿈 이야기를 하니 문희가 듣고 말하였다
“내가 이 꿈을 살게
그럼 무얼 줄래?
비단치마를 주면 되겠어?
좋아 동생이 옷깃을 벌려 받고 언니가 말하였다
간밤의 꿈을 너에게 준다
동생은 비단치마로 값을 치렀다
‘삼국유사’의 ‘태종춘추공’에 실린 글의 앞부분이다. 김유신의 막내여동생 문희가 언니인 보희가 꾼 꿈을 사 신라 제29대 왕인 태종무열왕 김춘추(재위 654~661)의 왕비가 된 이야기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김유신이 김춘추와 함께 공을 차다가 일부러 김춘추의 옷깃을 밟아 옷고름을 찢어 문희에게 꿰매게 했다. 그 후 김춘추가 자주 왕래했다. 어느 날 선덕여왕이 남산에 행차하던 중 김유신이 몰래 임신한 여동생 문희를 불에 태워 죽이려 한다는 것을 알고 김춘추에게 “가서 구하라” 했다. 물론 김유신은 여왕 행차를 알고 짐짓 그리 한 것이다. 그 일 뒤 두 사람은 혼례를 치렀다.
문희는 언니의 꿈이 왕비가 됨을 암시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신라 수도인 경주를 자기 오줌으로 잠기게 해버렸으니, 결국 신라 전체가 자기 것이 된다는 암시이지 않은가. 언니는 모르고 꿈을 팔았지만, 동생은 알아차려 왕비가 됐다. ‘삼국유사’는 정사(正史)인 ‘삼국사기’와 달리 이처럼 설화 전설뿐만 아니라 풍부한 고대 사료를 실었다.
시인·고전인문학자
'조해훈의 고전 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6> 서애 유성룡의 가정교육 (0) | 2021.06.08 |
---|---|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5> 말과 인격 (0) | 2021.06.08 |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3> 진정한 스승 다산, 제대로 된 제자 황상 (0) | 2021.06.08 |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2> 멀리 떨어져 있지만 서로 알아주는 각별한 벗 (0) | 2021.06.08 |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1> 석 잔 술이면 대도에 통하는 것을- 소동파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