損 壞
*상할 손(手-13, 4급)
*무너질 괴(土-19, 3급)
‘그는 기물 손괴와 공무 집행 방해 혐의로 입건되었다’의 ‘손괴’가 무슨 뜻일까? 한글만 아는 학생은 가물가물하여 짐작조차 어렵다. 한자도 알면 쉽게 알 수 있다. ‘損壞’란?
損자는 ‘수가 줄다’(get fewer)가 본뜻으로, ‘손 수’(手=扌)와 ‘인원 원’(員), 모두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일손이 딸린다’의 ‘손’도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감소하다’(decrease), ‘상하다’(damage) 등으로도 쓰인다.
壞자는 흙더미가 ‘무너지다’(collapse; fall down)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흙 토’(土)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그 나머지가 발음요소임은 瓌(구슬 이름 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후에 ‘무너뜨리다’(break down; destroy) ‘허물어지다’(crumble) 등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損壞(손:괴)는 ‘손상(損傷)시키거나 파괴(破壞)함’을 이른다. 하수는 하늘을 섬기고, 고수는 사람을 섬긴다. 그 까닭을 알아보자. 예수보다 3백 6십여 살이 많은 장자(기원전 369-286) 가라사대,
“하늘이 주는 손해는 받지 않기 쉬워도,
남들이 주는 이익은 받지 않기 어렵다.”
無受天損易무수천손역,
無受人益難무수인익난 - 莊子장자.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005] 奮激(분격) (0) | 2021.10.25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004] 壽宴(수연) (0) | 2021.10.22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002] 斜塔(사탑) (0) | 2021.10.20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001] 執務(집무) (0) | 2021.10.19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000] 培養(배양) (0) | 202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