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나~다 마~바 사 아 우 자 차~타 파~하 | ||||||||||
愚 | 公 | 移 | 山 | 우공이산(愚公移山)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큰 일이라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의 비유. |
||||||
어리석을 우 | 귀인 공 | 옮길 이 | 뫼 산 | |||||||
優 | 曇 | 華 | 우담화(優曇華) : 3천년에 한 번 꽃이 핀다는 상상의 나무 |
|||||||
넉넉할 우 | 불법 담 | 꽃 화 | ||||||||
牛 | 刀 | 割 | 鷄 | 우도할계(牛刀割鷄) : 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하는 데 어울리지 않게 거창하게 벌이거나 큰 연장을 씀을 비유. |
||||||
소 우 | 칼 도 | 쪼갤 할 | 닭 계 | |||||||
愚 | 問 | 賢 | 答 |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대답 |
||||||
어리석을 우 | 물을 문 | 어질 현 | 대답할 답 | |||||||
愚 | 民 | 政 | 策 | 우민정책(愚民政策) : 지배자가 체제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피지배자로 하여금 정치적 관심을 갖지 않게 하거나 비판 정신을 흐리게 하는 정책. ※ 三'S'정책(쓰리 'S' 정책 : Screen, Sex, Sports에 몰두하게 하여 정치적으로 무관심을 갖게 하는 정책) |
||||||
어리석을 우 | 백성 민 | 정사 정 | 꾀 책 | |||||||
牛 | 馬 | 勃 | 우수마발(牛馬勃) : 쇠오줌과 말 똥, 곧 보잘것없는 글이나 말, 물건을 뜻함 |
|||||||
소 우 | 오줌 수 | 말 마 | 성할 발 | |||||||
迂 | 餘 | 曲 | 折 | 우여곡절(迂餘曲折) : 여러 가지로 뒤얽힌 복잡한 사정이나 변화 |
||||||
멀 우 | 남을 여 | 굽을 곡 | 꺾을 절 | |||||||
右 | 往 | 左 | 往 | 우왕좌왕(右往左往) : 방향을 정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오락가락함. |
||||||
오른 우 | 갈 왕 | 왼 좌 | 갈 왕 | |||||||
優 | 柔 | 不 | 斷 | 우유부단(優柔不斷) : 줏대 없이 어물어물하기만 하고 딱 잘라 결단을 내리지 못함 |
||||||
머뭇거릴 우 | 순할 유 | 아닐 부 | 끊을 단 | |||||||
牛 | 飮 | 馬 | 食 | 우음마식(牛飮馬食) : 소나 말처럼 많이 먹고 마심 |
||||||
소 우 | 마실 음 | 말 마 | 먹을 식 | |||||||
牛 | 耳 | 讀 | 經 | 우이독경(牛耳讀經) : 소귀에 경 읽기. 아무리 이야기해도 알아듣지 못함 = 牛耳誦經(우이송경), 馬耳東風(마이동풍) |
||||||
소 우 | 귀 이 | 읽을 독 | 경서 경 | |||||||
愚 | 者 | 一 | 得 | 우자일득(愚者一得) :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여러 일을 하거나 생각하다 보면 간혹 슬기롭게 잘할 때도 있다는 말 |
||||||
어리석을 우 | 놈 자 | 한 일 | 얻을 득 | |||||||
牛 | 前 | 彈 | 琴 | 우전탄금(牛前彈琴) : 무슨 말을 하여도 알아듣지 못함. 소에게 거문고 소리를 들려줘도 알지 못하는 것처럼 우둔한 사람에게 도리를 설명해도 이해하지 못함 |
||||||
소 우 | 앞 전 | 칠 탄 | 거문고 금 | |||||||
羽 | 化 | 登 | 仙 | 우화등선(羽化登仙) : 사람의 몸에 날개가 돋친 듯 하늘로 올라가 신선이 됨. '죽음'을 높게 이르는 말 |
||||||
깃 우 | 될 화 | 오를 등 | 신선 선 | |||||||
雨 | 後 | 竹 | 筍 | 우후죽순(雨後竹筍) : 비 온 뒤에 솟아나는 죽순(대나무 싹)처럼 어떤 일이 한꺼번에 많이 일어나는 것을 말함 |
||||||
비 우 | 뒤 후 | 대 죽 | 죽순 순 | |||||||
旭 | 日 | 昇 | 天 | 욱일승천(旭日昇天) : 아침해가 떠오름. 왕성한 기세나 세력을 비유 ↔ 서산낙일(西山落日) |
||||||
빛날 욱 | 해 일 | 오를 승 | 하늘 천 | |||||||
雲 | 泥 | 之 | 差 | 운니지차(雲泥之差) : 구름과 진흙의 차이처럼 매우 큰 차이 = 천양지차(天壤之差) |
||||||
구름 운 | 진흙 니 | 갈 지 | 다를 차 | |||||||
雲 | 散 | 霧 | 消 | 운산무소(雲散霧消) : 구름이 흩어지고 안개가 사라지듯이, 근심이나 걱정이 깨끗이 사라짐 = 운산무산(雲散霧散) |
||||||
구름 운 | 흩어질 산 | 안개 무 | 사라질 소 | |||||||
雲 | 上 | 氣 | 稟 | 운상기품(雲上氣稟) : 속됨을 벗어난 고상한 기질과 성품 |
||||||
구름 운 | 위 상 | 기운 기 | 바탕 품 | |||||||
運 | 數 | 所 | 關 | 운수소관(運數所關) : 모든 일이 사람의 능력이나 노력에 상관없이 운수에 달려 있다는 생각. 팔자소관(八字所關) |
||||||
돌 운 | 운수 수 | 바 소 | 빗장 관 | |||||||
雲 | 雨 | 之 | 樂 | 운우지락(雲雨之樂) : 남녀간의 육체적인 즐거움. 운우지정(雲雨之情) |
||||||
구름 운 | 비 우 | 갈 지 | 즐길 락 | |||||||
鬱 | 金 | 香 | 울금향(鬱金香) : 튤립(tulip)의 한자어 |
|||||||
성할 울 | 황금 금 | 향기 향 | ||||||||
鬱 | 鬱 | 蒼 | 蒼 | 울울창창(鬱鬱蒼蒼) : 빽빽하게 들어서 매우 무성하고 푸름. 울창(鬱蒼) |
||||||
성할 울 | 성할 울 | 푸를 창 | 푸를 창 | |||||||
遠 | 交 | 近 | 攻 | 원교근공(遠交近攻) : 먼 나라와는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정책 |
||||||
멀 원 | 사귈 교 | 가까울 근 | 칠 공 | |||||||
鴛 | 鴦 | 契 | 원앙계(鴛鴦契) : 금실이 좋은 부부 사이 |
|||||||
원앙 원 | 원앙 앙 | 맺을 계 | ||||||||
怨 | 天 | 尤 | 人 | 원천우인(怨天尤人) :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함 |
||||||
원망할 원 | 하늘 천 | 더욱 우 | 사람 인 | |||||||
遠 | 禍 | 召 | 福 | 원화소복(遠禍召福) :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
||||||
멀 원 | 재앙 화 | 부를 소 | 복 복 | |||||||
越 | 視 | 秦 | 瘠 | 월시진척(越視秦瘠) : 월나라가 진나라의 땅이 메마르고 거칠어짐을 상관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의 일이나 어려움에 전혀 개의치 않음을 비유. |
||||||
월나라 월 | 볼 시 | 진나라 진 | 여윌 척 | |||||||
月 | 章 | 星 | 句 | 월장성구(月章星句) : 달빛 같은 문장, 별 같은 구절이란 뜻으로, 문장이 매우 훌륭함을 칭찬하는 말 |
||||||
달 월 | 글 장 | 별 성 | 글귀 구 | |||||||
月 | 下 | 老 | 人 | 월하노인(月下老人) : 부부의 인연을 맺어주는 중매쟁이를 말함 = 월하빙인(月下氷人) |
||||||
달 월 | 아래 하 | 늙을 로 | 사람 인 | |||||||
危 | 機 | 一 | 髮 | 위기일발(危機一髮) : 거의 여유가 없이 눈앞에 닥친 위급한 순간 |
||||||
위태할위 | 기회 기 | 한 일 | 터럭 발 | |||||||
爲 | 法 | 自 | 弊 | 위법자폐(爲法自弊) : 자기가 정한 법을 스스로 범하여 벌을 받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로 자기가 고난을 받음을 말함. = 작법자폐(作法自斃) |
||||||
할 위 | 법 법 | 스스로 자 | 나쁠 폐 | |||||||
爲 | 人 | 設 | 官 | 위인설관(爲人設官) : 어떤 사람을 위해 벼슬자리를 새로이 마련함 |
||||||
할 위 | 사람 인 | 베풀 설 | 벼슬 관 | |||||||
韋 | 編 | 三 | 絶 | 위편삼절(韋編三絶) : 공자가 주역(周易)을 즐겨 읽어서 책의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책이 닳도록 여러 번 읽음. |
||||||
가죽 위 | 엮을 편 | 석 삼 | 끊을 절 | |||||||
有 | 口 | 無 | 言 | 유구무언(有口無言) : 입은 있으나 할 말이 없다는 뜻으로, 변명할 말이 없음 |
||||||
있을 유 | 입 구 | 없을 무 | 말씀 언 | |||||||
有 | 口 | 不 | 言 | 유구불언(有口不言) : 입은 있으되 말을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정이 거북하거나 따분하여 특별히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하지 아니함 |
||||||
있을 유 | 입 구 | 아닐 불 | 말씀 언 | |||||||
柔 | 能 | 制 | 剛 | 유능제강(柔能制剛) : 부드러운 것이 능히 강한 것을 이김 |
||||||
부드러울 유 | 능할 능 | 누를 제 | 굳셀 강 | |||||||
流 | 動 | 食 | 유동식(流動食) : 미음이나 죽·우유 등과 같이 씹지 않고 삼킬 수 있는 음식으로, 소화하기 쉬워 환자용으로 쓰임. |
|||||||
흐를 류 | 움직일 동 | 밥 식 | ||||||||
油 | 頭 | 粉 | 面 | 유두분면(油頭粉面) : 기름 바른 머리와 분 바른 얼굴이라는 뜻으로, 화장한 여자를 말함. |
||||||
기름 유 | 머리 두 | 분 분 | 얼굴 면 | |||||||
流 | 離 | 乞 | 食 | 유리걸식(流離乞食) : 이곳 저곳을 떠돌아다니며 빌어먹음 |
||||||
흐를 류 | 떠날 리 | 빌 걸 | 먹을 식 | |||||||
類 | 萬 | 不 | 同 | 유만부동(類萬不同) : 많은 것이 서로 같지 아니함. 분수에 맞지 않음. |
||||||
무리 류 | 일만 만 | 아닐 부 | 같을 동 | |||||||
有 | 名 | 無 | 實 | 유명무실(有名無實) : 이름뿐이고 실상(내실)은 없음 |
||||||
있을 유 | 이름 명 | 없을 무 | 찰 실 | |||||||
有 | 無 | 相 | 通 | 유무상통(有無相通) :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서로 융통함, 또는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서로 통한다는 뜻 |
||||||
있을 유 | 없을 무 | 서로 상 | 통할 통 | |||||||
流 | 芳 | 百 | 世 | 유방백세(流芳百世) : 꽃다운 이름이 후세에 길이 전함 |
||||||
흐를 류 | 꽃다울 방 | 일백 백 | 대 세 | |||||||
有 | 不 | 如 | 無 | 유불여무(有不如無) : 있어도 없음만 못함. 곧 있으나마나 함 |
||||||
있을 유 | 아닐 불 | 같을 여 | 없을 무 | |||||||
有 | 備 | 無 | 患 | 유비무환(有備無患) : 미리 준비가 있으면 뒷걱정이 없다는 뜻 |
||||||
있을 유 | 갖출 비 | 없을 무 | 근심 환 | |||||||
有 | 始 | 有 | 終 | 유시유종(有始有終) : 시작한 일의 끝을 마침, 또는 시작할 때부터 끝을 맺을 때까지 변함이 없음. |
||||||
있을 유 | 처음 시 | 있을 유 | 끝 종 | |||||||
唯 | 我 | 獨 | 尊 | 유아독존(唯我獨尊) : ① 이 세상에는 나보다 더 높은 사람이 없다고 뽐냄 ②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
||||||
오직 유 | 나 아 | 홀로 독 | 높을 존 | |||||||
有 | 我 | 而 | 死 | 유아이사(有我而死) : 나로 인하여 죽음. 자기로 인해 남이 피해를 입는 것. |
||||||
있을 유 | 나 아 | 너 이 | 죽을 사 | |||||||
有 | 耶 | 無 | 耶 | 유야무야(有耶無耶) : 있는지 없는지 모르게 희미함. 흐지부지한 모양. |
||||||
있을 유 | 어조사 야 | 없을 무 | 어조사 야 | |||||||
游 | 於 | 釜 | 中 | 유어부중(游於釜中) : 가마솥 속에서 노는 고기처럼 생명이 매우 위험한 상태에 놓여 있음. '독 안에 든 쥐' |
||||||
놀 유 | 어조사 어 | 가마솥 부 | 가운데 중 | |||||||
流 | 言 | 蜚 | 語 | 유언비어(流言蜚語) :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 터무니없이 떠도는 말. 뜬소문 ※蜚는 飛와 같은 뜻 |
||||||
흐를 류 | 말씀 언 | 날 비 | 말씀 어 | |||||||
有 | 爲 | 轉 | 變 | 유위전변(有爲轉變) : 세상일은 항상 변하여 잠시도 머물러 있는 법이 없고 덧없음 |
||||||
있을 유 | 할 위 | 구를 전 | 변할 변 | |||||||
類 | 類 | 相 | 從 | 유유상종(類類相從) : 같은 동아리끼리 서로 오가며 사귐. 끼리끼리 사귐 |
||||||
무리 류 | 무리 류 | 서로 상 | 좇을 종 | |||||||
悠 | 悠 | 自 | 適 | 유유자적(悠悠自適) : 속세를 떠나 아무 것에도 매이지 않고 자유롭고 마음 편안하게 삶 |
||||||
한가할 유 | 한가할 유 | 스스로 자 | 갈 적 | |||||||
悠 | 悠 | 蒼 | 天 | 유유창천(悠悠蒼天) : 아득히 멀고 푸른 하늘 |
||||||
멀 유 | 아득할 유 | 푸를 창 | 하늘 천 | |||||||
唯 | 一 | 無 | 二 | 유일무이(唯一無二) : 오직 하나 뿐 둘도 없음 |
||||||
오직 유 | 한 일 | 없을 무 | 두 이 | |||||||
有 | 終 | 之 | 美 | 유종지미(有終之美) : 시작한 일을 끝까지 잘하여 끝맺음을 잘 마무리하는 것 |
||||||
있을 유 | 끝 종 | 갈 지 | 아름다울 미 | |||||||
遺 | 珠 | 之 | 歎 | 유주지탄(遺珠之歎) : 마땅히 등용(登用)되어야 할 인재가 빠진 데 대한 한탄 |
||||||
잃을 유 | 구슬 주 | 갈 지 | 탄식할 탄 | |||||||
有 | 志 | 者 | 事 | 竟 | 成 | 유지자사경성(有志者事竟成) : 뜻이 있는 자는 결국 무엇이든지 이룰 수 있음. 유지자(有志者)는 유지(有志), 유지가(有志家), 유지지사(有志之士)라고도 함. |
||||
있을 유 | 뜻 지 | 놈 자 | 일 사 | 다할 경 | 이룰 성 | |||||
有 | 進 | 無 | 退 | 유진무퇴(有進無退) : 나아갈 뿐 물러섬이 없음 |
||||||
있을 유 | 나아갈 진 | 없을 무 | 물러날 퇴 | |||||||
遺 | 臭 | 萬 | 年 | 유취만년(遺臭萬年) : 더러운 이름을 오래도록 남김 |
||||||
끼칠 유 | 냄새 취 | 일만 만 | 해 년 | |||||||
六 | 韜 | 三 | 略 | 육도삼략(六韜三略) : 태공망(太公望)이 지었다는 문도(文韜)·무도(武韜)·용도(龍韜)·호도(虎韜)·표도(豹韜)·견도(犬韜)의 육도와, 황석공(黃石公)이 지은 상략·중략·하략으로 된 삼략을 이르는 말. |
||||||
여섯 육 | 병법 도 | 석 삼 | 다스릴 략 | |||||||
六 | 法 | 全 | 書 | 육법전서(六法全書) : 헌법·민법·상법·형법·민사소송법·형사소송법의 여섯 가지 법률과 그에 따른 법규 등을 모아 엮은 책 |
||||||
여섯 육 | 법 법 | 모두 전 | 글 서 | |||||||
陸 | 地 | 行 | 船 | 육지행선(陸地行船) : 육지로 배를 저으려 한다는 뜻으로, 되지도 않을 일을 억지로 하고자 함 |
||||||
뭍 륙 | 땅 지 | 갈 행 | 배 선 | |||||||
輪 | 回 | 轉 | 生 | 윤회전생(輪回轉生) : 수레바퀴가 끝없이 돌 듯이 생사(生死)를 끊임없이 반복함. |
||||||
바퀴 륜 | 돌 회 | 구를 전 | 날 생 | |||||||
殷 | 鑑 | 不 | 遠 | 은감불원(殷鑑不遠) : 은(殷)나라 왕이 거울로 삼아야 할 멸망의 선례는 먼 데 있지 않고 바로 전대(前代)의 하(夏)나라 걸왕(桀王)이다 라는 뜻으로, 본받을 만한 본보기는 주변 가까이에 많이 있다는 말, 또는 남의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라는 말 |
||||||
은나라 은 | 거울 감 | 아닐 불 | 멀 원 | |||||||
隱 | 忍 | 自 | 重 | 은인자중(隱忍自重) : 마음속으로 괴로움을 참으며 몸가짐을 신중히 함 |
||||||
숨길 은 | 참을 인 | 스스로 자 | 무거울중 | |||||||
乙 | 丑 | 甲 | 子 | 을축갑자(乙丑甲子) : '갑자을축'이 바른 순서인데 그 차례를 반대로 했다는 뜻으로, 일이 제대로 되지 않고 뒤죽박죽으로 뒤바뀜 |
||||||
둘째 천간 을 | 둘째 지지 축 | 첫번째 천간 갑 | 첫째 지지 자 | |||||||
淫 | 談 | 悖 | 說 | 음담패설(淫談悖說) : 음탕하고 상스러운 이야기 |
||||||
음란할 음 | 말씀 담 | 어그러질 패 | 말씀 설 | |||||||
陰 | 德 | 陽 | 報 | 음덕양보(陰德陽報) : 남 모르게 덕을 쌓은 사람은 뒤에 반드시 그 보답을 받음 |
||||||
그늘 음 | 덕 덕 | 볕 양 | 갚을 보 | |||||||
陰 | 地 | 轉 | 陽 | 地 | 變 | 음지전양지변(陰地轉陽地變) : 음지도 양지로 될 때가 있음. 어려운 처지에 있던 사람도 때가 되면 행운을 만날 수 있다는 말. |
||||
그늘 음 | 땅 지 | 구를 전 | 볕 양 | 땅 지 | 변할 변 | |||||
吟 | 風 | 弄 | 月 | 음풍농월(吟風弄月)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노래함. 풍류를 즐긴다는 뜻 = 吟風月(음풍영월) |
||||||
읊을 음 | 바람 풍 | 즐길 롱 | 달 월 | |||||||
飮 | 河 | 滿 | 腹 | 음하만복(飮河滿腹) : 강물을 아무리 많이 마셔도 실제로 뱃속에 들어가는 양은 자기 배를 채우는 정도를 넘지 못한다는 뜻으로, 제 분수를 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함 |
||||||
마실 음 | 강 하 | 찰 만 | 배 복 | |||||||
邑 | 犬 | 群 | 吠 | 읍견군폐(邑犬群吠) : 동네 개들이 떼지어 짖어댄다는 뜻으로, 여러 소인배들이 남을 비방함의 비유 |
||||||
고을 읍 | 개 견 | 무리 군 | 짖을 폐 | |||||||
泣 | 斬 | 馬 | 謖 | 읍참마속(泣斬馬謖) : 제갈공명이 군령(軍令)을 어긴 마속을 눈물을 흘리면서 목을 베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군율이나 조직의 기강을 세우기 위해서는 사랑하고 아끼는 사람도 버릴 수 있다는 뜻. |
||||||
울 읍 | 벨 참 | 말 마 | 일어날 속 | |||||||
衣 | 架 | 飯 | 囊 | 의가반낭(衣架飯囊) : 옷걸이와 밥 주머니(밥통). 아무 쓸모 없는 사람을 비유. |
||||||
옷 의 | 시렁 가 | 밥 반 | 주머니 낭 | |||||||
意 | 氣 | 揚 | 揚 | 의기양양(意氣揚揚) : 바라던 대로 되어 아주 자랑스럽게 행동함 |
||||||
뜻 의 | 기운 기 | 오를 양 | 오를 양 | |||||||
意 | 氣 | 衝 | 天 | 의기충천(意氣衝天) : 의기가 하늘을 찌를 듯함 |
||||||
뜻 의 | 기운 기 | 찌를 충 | 하늘 천 | |||||||
意 | 氣 | 投 | 合 | 의기투합(意氣投合) : 서로 마음이 맞음 = 의기상투(意氣相投) |
||||||
뜻 의 | 기운 기 | 던질 투 | 합할 합 | |||||||
依 | 門 | 之 | 望 | 의문지망(依門之望) : 자식을 기다리는 어머니의 정. 어머니가 자식이 돌아오기를 문에 의지하고서 기다림 = 의려지정(倚閭之情) |
||||||
의지할 의 | 문 문 | 갈 지 | 바라볼 망 | |||||||
以 | 管 | 窺 | 天 | 이관규천(以管窺天) : 대롱을 통해 하늘을 봄. 우물 안 개구리 |
||||||
써 이 | 대롱 관 | 엿볼 규 | 하늘 천 | |||||||
異 | 口 | 同 | 聲 | 이구동성(異口同聲) : 입은 다르지만 하는 소리는 같음. 여러 사람의 말이 한결같음 = 여출일구(如出一口) |
||||||
다를 이 | 입 구 | 같을 동 | 소리 성 | |||||||
履 | 俱 | 當 | 이극구당(履俱當) : 맑은 날에는 신발로 쓰고, 비 오는 날에는 나막신으로 씀. 온갖 재주를 다 갖추어 못할 일이 없는 재간이나 그런 사람을 말함. |
|||||||
신 리 | 나막신 극 | 함께 구 | 당할 당 | |||||||
以 | 毒 | 制 | 毒 | 이독제독(以毒制毒) : 독을 없애는데 다른 독을 사용함. 이열치열(以熱治熱) |
||||||
써 이 | 독 독 | 누를 제 | 독 독 | |||||||
以 | 卵 | 擊 | 石 | 이란격석(以卵擊石) : 계란으로 바위치기. 즉, 약한 것으로 강한 것을 당해 내려는 어리석음을 비유 = 이란투석(以卵投石) |
||||||
써 이 | 알 란 | 칠 격 | 돌 석 | |||||||
而 | 立 | 이립(而立) : 논어의 三十而立(서른 살에 인생관이 서다)에서 나온 말로 나이 30세를 말함 |
||||||||
말이을 이 | 설 립 | |||||||||
以 | 少 | 凌 | 長 | 이소능장(以少凌長) : 젊은 사람이 어른을 업신여김 |
||||||
써 이 | 적을 소 | 깔볼 능 | 오랠 장 | |||||||
耳 | 順 | 이순(耳順) : 논어의 六十而耳順에서 나온 말로, 나이 육십에야 비로소 모든 것을 순리대로 이해하게 된다는 뜻. 60의 나이. |
||||||||
귀 이 | 순할 순 | |||||||||
以 | 食 | 爲 | 天 | 이식위천(以食爲天) : 사람이 살아가는 데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 |
||||||
써 이 | 먹을 식 | 할 위 | 하늘 천 | |||||||
以 | 實 | 直 | 告 | 이실직고(以實直告) : 사실 그대로 고함 |
||||||
써 이 | 사실 실 | 바를 직 | 고할 고 | |||||||
以 | 心 | 傳 | 心 | 이심전심(以心傳心) : 말을 하지 않더라도 서로 마음이 통하여 알 수 있음 = 不立文字(불립문자), 心心相印(심심상인), 敎外別傳(교외별전) |
||||||
써 이 | 마음 심 | 전할 전 | 마음 심 | |||||||
易 | 如 | 反 | 掌 | 이여반장(易如反掌) : 쉽기가 손바닥 뒤집는 것과 같음 |
||||||
쉬울 이 | 같을 여 | 뒤집을 반 | 손바닥 장 | |||||||
以 | 熱 | 治 | 熱 | 이열치열(以熱治熱) : 열은 열로써 다스림. 힘에는 힘으로, 강한 것에는 강한 것으로 상대함 = 이독제독(以毒制毒) |
||||||
써 이 | 더울 열 | 다스릴 치 | 더울 열 | |||||||
已 | 往 | 之 | 事 | 이왕지사(已往之事) : 이미 지나간 일 = 기왕지사(旣往之事) |
||||||
이미 이 | 갈 왕 | 갈 지 | 일 사 | |||||||
利 | 用 | 厚 | 生 | 이용후생(利用厚生) : 편리한 기구 등을 잘 이용하여 살림에 부족함이 없게 함, 또는 그러한 일. 이용(利用)은 장인(匠人)이 그릇을 만들고 상인이 재물을 운반하는 것 등이고, 후생은 의식주(衣食住)를 다 갖추어 추위에 떨지 않고 굶주리지 않는 것을 뜻함. |
||||||
이로울 리 | 쓸 용 | 두터울 후 | 살 생 | |||||||
二 | 律 | 背 | 反 | 이율배반(二律背反) : 같은 근거를 가지고 서로 정당하다고 주장하는, 모순되는 두 명제(命題), 또는 그 관계. |
||||||
두 이 | 법 률 | 등 배 | 뒤집을 반 | |||||||
以 | 夷 | 制 | 夷 | 이이제이(以夷制夷) : 오랑캐로 오랑캐를 제어한다는 뜻으로, 전략상 어느 나라의 힘을 빌리어 다른 나라를 침. 이독제독(以毒制毒) |
||||||
써 이 | 오랑캐 이 | 누를 제 | 오랑캐 이 | |||||||
二 | 人 | 同 | 心 | 이인동심(二人同心) : 둘이서 한마음. 아주 친밀한 사이 |
||||||
두 이 | 사람 인 | 한가지 동 | 마음 심 | |||||||
以 | 財 | 發 | 身 | 이재발신(以財發身) : 재물의 힘으로 출세함 |
||||||
써 이 | 재물 재 | 필 발 | 몸 신 | |||||||
泥 | 田 | 鬪 | 狗 | 이전투구(泥田鬪狗) : 진창에서 싸우는 개. 명분이 서지 않는 일로 보기 흉하게 싸우는 것, 또는 강인한 성격을 말함 |
||||||
진흙 니 | 밭 전 | 싸움 투 | 개 구 | |||||||
以 | 暴 | 易 | 暴 | 이포역포(以暴易暴) : 횡포한(나쁜) 사람을 갈아치운다면서 또 다시 횡포한(나쁜) 사람을 불러들이는 것, 또는 폭력으로써 폭력을 다스리는 것을 말함 |
||||||
써 이 | 사나울 포 | 바꿀 역 | 사나울 포 | |||||||
李 | 下 | 不 | 整 | 冠 |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 : 자두(오얏)나무 아래서는 갓을 고쳐 쓰지 말라는 뜻으로, 남에게 의심받을 일을 하지 않도록 주의하라는 말. ※整은 正으로도 씀. 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 |
|||||
오얏 리 | 아래 하 | 아닐 부 | 가지런할 정 | 갓 관 | ||||||
離 | 合 | 集 | 散 | 이합집산(離合集散) : 헤어짐과 모임. 헤어졌다 모였다 함. |
||||||
떠날 리 | 합할 합 | 모일 집 | 흩어질 산 | |||||||
利 | 害 | 得 | 失 | 이해득실(利害得失) : 이로움과 해로움, 얻음과 잃음 |
||||||
이로울 리 | 해로울 해 | 얻을 득 | 잃을 실 | |||||||
利 | 害 | 打 | 算 | 이해타산(利害打算) : 이익과 손해를 이모저모 따져서 계산해 봄 |
||||||
이로울 리 | 손해 해 | 칠 타 | 셀 산 | |||||||
耳 | 懸 | 鈴 | 鼻 | 懸 | 鈴 |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될 수 있음을 비유 |
||||
귀 이 | 매달 현 | 방울 령 | 코 비 | 매달 현 | 방울 령 | |||||
益 | 者 | 三 | 樂 | 익자삼요(益者三樂) : 사람이 좋아함으로써 유익한 세 가지. 예악(禮樂)을 알맞게 좋아하고, 남의 착함을 말하기를 좋아하며, 착한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것 |
||||||
더할 익 | 놈 자 | 석 삼 | 좋아할 요 | |||||||
益 | 者 | 三 | 友 | 익자삼우(益者三友) : 사귀어서 유익한 세 가지 유형의 벗. 정직한 벗, 신의·성실이 있는 벗, 지식이 많은 벗을 말함 = 三益友(삼익우) |
||||||
더할 익 | 놈 자 | 석 삼 | 벗 우 | |||||||
因 | 果 | 應 | 報 | 인과응보(因果應報) : 좋은 일에는 좋은 결과가, 나쁜 일에는 나쁜 결과가 따름. 어떤 일을 하게 되면 반드시 그에 따른 길흉화복의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는 말 |
||||||
인할 인 | 결과 과 | 응할 응 | 갚을 보 | |||||||
人 | 口 | 膾 | 炙 | 인구회자(人口膾炙) : 사람들의 입맛에 맞는 생선회와 육회, 잘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입 구 | 회 회 | 구울 자 | |||||||
人 | 鬼 | 相 | 半 | 인귀상반(人鬼相半) : 절반은 사람 몰골이요, 절반은 귀신의 꼴이니, 몸이 몹시 쇠약하여 뼈만 앙상하게 드러난 사람의 모습을 말함. |
||||||
사람 인 | 귀신 귀 | 서로 상 | 반 반 | |||||||
人 | 乃 | 天 | 인내천(人乃天) :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천도교 사상. 사람 여기기를 하늘과 같이 여겨야 한다는 말. ※이에 내(乃) : 위 아래의 말을 잇는 접속사 |
|||||||
사람 인 | 이에 내 | 하늘 천 | ||||||||
人 | 倫 | 大 | 事 | 인륜대사(人倫大事) : 사람의 일생에서 겪게 되는 가장 중요한 일. 출생·혼인·사망 등을 말함. |
||||||
사람 인 | 인륜 륜 | 큰 대 | 일 사 | |||||||
人 | 面 | 獸 | 心 | 인면수심(人面獸心) : 얼굴은 사람의 모습을 하였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인간의 도리를 지키지 못하고 배은망덕하거나 행동이 흉악하고 음탕한 사람을 이르는 말 |
||||||
사람 인 | 얼굴 면 | 짐승 수 | 마음 심 | |||||||
人 | 命 | 在 | 天 | 인명재천(人命在天) : 사람이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은 하늘에 달렸다는 말. |
||||||
사람 인 | 목숨 명 | 있을 재 | 하늘 천 | |||||||
人 | 無 | 遠 | 慮 | 必 | 有 | 近 | 憂 | 인무원려 필유근우(人無遠慮 必有近憂) : 사람이 멀리 내다보는 생각이 없다면 반드시 가까이에 근심이 있게 된다는 뜻 |
||
사람 인 | 없을 무 | 멀 원 | 생각할 려 | 반드시 필 | 있을 유 | 가까울 근 | 근심 우 | |||
人 | 事 | 不 | 省 | 인사불성(人事不省) : 정신을 잃어 의식이 없음.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예절을 차릴 줄을 모름 |
||||||
사람 인 | 일 사 | 아닐 불 | 살필 성 | |||||||
人 | 山 | 人 | 海 | 인산인해(人山人海) : 사람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모였음을 뜻하는 말. |
||||||
사람 인 | 뫼 산 | 사람 인 | 바다 해 | |||||||
人 | 生 | 無 | 常 | 인생무상(人生無常) : 인생이 덧없음을 이르는 말. 무상(無常)은 덧없음 또는 일정하지 않음을 뜻함. |
||||||
사람 인 | 살 생 | 없을 무 | 항상 상 | |||||||
人 | 生 | 朝 | 露 | 인생조로(人生朝露) :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다는 말 = 조로인생(朝露人生), 초로인생(草露人生) |
||||||
사람 인 | 살 생 | 아침 조 | 이슬 로 | |||||||
人 | 生 | 航 | 路 | 인생항로(人生航路) : 사람이 한평생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으며 살아가는 일을 험한 바다의 뱃길에 견주어 이르는 말 |
||||||
사람 인 | 살 생 | 배 항 | 길 로 | |||||||
因 | 循 | 姑 | 息 | 인순고식(因循姑息) : 낡은 관습을 버리지 못하고 눈앞의 편안함만을 취함 |
||||||
인할 인 | 좇을 순 | 아직 고 | 쉴 식 | |||||||
人 | 身 | 攻 | 擊 | 인신공격(人身攻擊) : 남의 일신상(一身上)에 관한 일을 들어 비난함. 뚱뚱하다, 못생겼다, 머리가 나쁘다, 집안 환경이 어떻다 등등의 비난 |
||||||
사람 인 | 몸 신 | 칠 공 | 칠 격 | |||||||
因 | 人 | 成 | 事 | 인인성사(因人成事) : 자기 힘으로는 이루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힘으로 일을 이룸 |
||||||
인할 인 | 사람 인 | 이룰 성 | 일 사 | |||||||
仁 | 者 | 無 | 敵 | 인자무적(仁者無敵) :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음 |
||||||
어질 인 | 놈 자 | 없을 무 | 적 적 | |||||||
人 | 之 | 常 | 情 | 인지상정(人之常情) : 사람이라면 누구나 보통 가지고 있는 인정 |
||||||
사람 인 | 갈 지 | 항상 상 | 정 정 | |||||||
忍 | 之 | 爲 | 德 | 인지위덕(忍之爲德) : 참는 것이 덕이 됨 |
||||||
참을 인 | 갈 지 | 할 위 | 덕 덕 | |||||||
一 | 刻 | 如 | 三 | 秋 |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 : 일각이 삼 년의 세월같이 여겨짐. 기다리는 마음이 매우 간절함. 일각(一刻)은 매우 짧은 시간 또는 15분을 말함 |
|||||
한 일 | 시각 각 | 같을 여 | 석 삼 | 가을 추 | ||||||
一 | 刻 | 千 | 金 | 일각천금(一刻千金) : 매우 짧은 시간도 천금 같이 귀중하고 아까움 |
||||||
한 일 | 시각 각 | 일천 천 | 황금 금 | |||||||
一 | 擧 | 手 | 一 | 投 | 足 | 일거수 일투족(一擧手 一投足) : 손을 한번 들고 발을 한번 옮겨 놓는 일이라는 뜻으로, 사소한 하나하나의 동작이나 행동을 말함. 일거일동(一擧一動) |
||||
한 일 | 들 거 | 손 수 | 한 일 | 던질 투 | 발 족 | |||||
一 | 擧 | 兩 | 得 | 일거양득(一擧兩得) :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의 이득을 봄 = 一石二鳥(일석이조) |
||||||
한 일 | 움직일 거 | 두 량 | 얻을 득 | |||||||
日 | 久 | 月 | 深 | 일구월심(日久月深) : 날이 오래되고 달이 깊어 간다는 뜻으로, 세월이 흐를수록 바라는 마음이 더욱 깊어만 감을 말함. |
||||||
날 일 | 오랠 구 | 달 월 | 깊을 심 | |||||||
一 | 口 | 二 | 言 | 일구이언(一口二言) : 한 입으로 두 말을 함. 말을 이랬다저랬다 함 |
||||||
한 일 | 입 구 | 두 이 | 말씀 언 | |||||||
一 | 騎 | 當 | 千 | 일기당천(一騎當千) : 혼자서 천 명의 적을 당해 낸다는 뜻으로, 무예가 매우 뛰어남 또는 기술이나 경험이 남보다 뛰어나 혼자서 능히 많은 일을 잘 처리함 |
||||||
한 일 | 말 탄 군사 기 | 당할 당 | 일천 천 | |||||||
一 | 刀 | 兩 | 斷 | 일도양단(一刀兩斷) : 단숨에 한칼로 쳐서 둘로 쪼개 버림. 머뭇거리지 않고 일이나 행동을 과감히 결정함을 비유. |
||||||
한 일 | 칼 도 | 두 량 | 끊을 단 | |||||||
一 | 得 | 一 | 失 | 일득일실(一得一失) : 한 가지 얻는 것이 있으면 그에 따라 한 가지 잃는 것이 있다는 말 |
||||||
한 일 | 얻을 득 | 한 일 | 잃을 실 | |||||||
一 | 諾 | 千 | 金 | 일락천금(一諾千金) : 한번 승낙한 일은 천금같이 귀중함. 확실한 승낙 또는 신의(信義)의 귀중함을 뜻함. |
||||||
한 일 | 승낙할 락 | 일천 천 | 황금 금 | |||||||
一 | 路 | 邁 | 進 | 일로매진(一路邁進) : 한 길로만 곧장 힘차게 나아감 |
||||||
한 일 | 길 로 | 갈 매 | 나아갈 진 | |||||||
一 | 望 | 無 | 際 | 일망무제(一望無際) : 아득하게 멀고 넓어서 끝이 없음 = 일망무애(一望無涯) |
||||||
한 일 | 바라볼 망 | 없을 무 | 끝 제 | |||||||
一 | 網 | 打 | 盡 | 일망타진(一網打盡) : 한번 그물을 던져 모조리 잡음. 한꺼번에 모조리 다 잡음 |
||||||
한 일 | 그물 망 | 칠 타 | 다할 진 | |||||||
一 | 脈 | 相 | 通 | 일맥상통(一脈相通) : 생각·성질·처지 등이 어느 면에서 한 가지로 서로 통함 |
||||||
한 일 | 맥 맥 | 서로 상 | 통할 통 | |||||||
一 | 面 | 如 | 舊 | 일면여구(一面如舊) : 처음 만나 사귀었으나 오래 사귄 것처럼 친해짐. |
||||||
한 일 | 대할 면 | 같을 여 | 옛 구 | |||||||
一 | 鳴 | 驚 | 人 | 일명경인(一鳴驚人) : 한마디 말로 사람들을 놀라게 하다. 한번 시작하면 사람들을 놀라게 할 만한 일을 함을 뜻한다. |
||||||
한 일 | 울 명 | 놀랄 경 | 사람 인 | |||||||
日 | 暮 | 途 | 遠 | 일모도원(日暮途遠) : 해는 저물고 길은 멀다는 말로,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이 없음을 뜻함 |
||||||
날 일 | 저물 모 | 길 도 | 멀 원 | |||||||
一 | 目 | 瞭 | 然 | 일목요연(一目瞭然) : 한 번 보고도 환하게 알 수 있을 만큼 분명함 |
||||||
한 일 | 눈 목 | 밝을 요 | 그럴 연 | |||||||
一 | 問 | 一 | 答 | 일문일답(一問一答) : 한 가지 물음에 한 가지 대답을 함 또는 물음에 대하여 바로 대답함 |
||||||
한 일 | 물을 문 | 한 일 | 대답 답 | |||||||
一 | 罰 | 百 | 戒 | 일벌백계(一罰百戒) : 여러 사람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게 하기 위하여 무거운 벌로 다스림 |
||||||
한 일 | 형벌 벌 | 일백 백 | 삼갈 계 | |||||||
一 | 步 | 不 | 讓 | 일보불양(一步不讓) : 남에게 한 걸음도 양보하지 않음 |
||||||
한 일 | 걸음 보 | 아닐 불 | 사양할 양 | |||||||
一 | 絲 | 不 | 亂 | 일사불란(一絲不亂) : 한 오라기의 실도 흐트러지지 않았다는 뜻으로, 질서 정연하여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음. |
||||||
한 일 | 실 사 | 아닐 불 | 어지러울 란 | |||||||
一 | 瀉 | 千 | 里 | 일사천리(一瀉千里) : 강물이 거침없이 흘러 단번에 천리를 간다는 뜻으로, 말이나 일의 진행이 조금도 거침이 없이 진행됨 |
||||||
한 일 | 쏱을 사 | 일천 천 | 거리 리 | |||||||
一 | 石 | 二 | 鳥 | 일석이조(一石二鳥) : 돌 하나로 두 마리의 새를 잡음.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로움을 얻음의 비유 = 일거양득(一擧兩得) |
||||||
한 일 | 돌 석 | 두 이 | 새 조 | |||||||
一 | 手 | 不 | 退 | 일수불퇴(一手不退) : 바둑이나 장기를 둘 때 한번 둔 수는 무르지 아니함 |
||||||
한 일 | 손 수 | 아닐 불 | 물러날 퇴 | |||||||
一 | 勝 | 一 | 敗 | 兵 | 家 | 常 | 事 | 일승일패 병가상사(一勝一敗 兵家常事) :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일은 흔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는 뜻으로, 실패한 사람을 위로하거나, 실패한 사람이 스스로를 변명할 때 흔히 쓰는 말 |
||
한 일 | 이길 승 | 한 일 | 패할 패 | 군사 병 | 집 가 | 항상 상 | 일 사 | |||
一 | 視 | 同 | 仁 | 일시동인(一視同仁) : 누구나 차별 없이 똑같이 사랑함 |
||||||
한 일 | 볼 시 | 같을 동 | 어질 인 | |||||||
日 | 新 | 又 | 日 | 新 |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 나날이 새로워짐. 날마다 잘못을 고치어 그 덕(德)을 닦음에 게으르지 않음 |
|||||
날 일 | 새 신 | 또 우 | 날 일 | 새 신 | ||||||
一 | 心 | 同 | 體 | 일심동체(一心同體) : 한 마음 한 몸처럼 뜻을 합쳐 굳게 결속함. |
||||||
한 일 | 마음 심 | 한가지 동 | 몸 체 | |||||||
一 | 魚 | 濁 | 水 | 일어탁수(一魚濁水) : 물고기 한 마리가 큰물을 흐리게 하듯, 한 사람의 잘못으로 여러 사람이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을 뜻함 |
||||||
한 일 | 고기 어 | 흐릴 탁 | 물 수 | |||||||
一 | 言 | 半 | 句 | 일언반구(一言半句) : 한 마디의 말이나 반 마디의 글귀. 아주 짧은 말. |
||||||
한 일 | 말씀 언 | 반 반 | 글귀 구 | |||||||
一 | 言 | 以 | 蔽 | 之 |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 : 구구한 말은 다 빼고 한마디의 말로써 함. 폐일언(蔽一言) |
|||||
한 일 | 말씀 언 | 써 이 | 덮을 폐 | 갈 지 | ||||||
一 | 言 | 之 | 下 | 일언지하(一言之下) : 말 한마디로 끊음. 한마디로 딱 잘라 말함 |
||||||
한 일 | 말씀 언 | 갈 지 | 아래 하 | |||||||
一 | 葉 | 知 | 秋 | 일엽지추(一葉知秋) : 낙엽 하나로 가을이 왔음을 안다는 말로, 작은 것으로 미루어 큰 일을 짐작할 수 있음. 어떤 일이든지 그 단서만 알면 대강(大綱)을 짐작할 수 있다는 뜻. 일엽낙지천하추(一葉落知天下秋) |
||||||
한 일 | 잎 엽 | 알 지 | 가을 추 | |||||||
一 | 葉 | 片 | 舟 | 일엽편주(一葉片舟) : 한 척의 조그마한 조각배 |
||||||
한 일 | 잎 엽 | 조각 편 | 배 주 | |||||||
一 | 衣 | 帶 | 水 | 일의대수(一衣帶水) : 한 가닥 띠와 같이 좁은 강물이나 바닷물, 또는 그것을 사이에 둔 관계 |
||||||
한 일 | 옷 의 | 띠 대 | 물 수 | |||||||
一 | 以 | 貫 | 之 | 일이관지(一以貫之) : 하나의 이치로써 모든 일을 꿰뚫음. 일관(一貫) |
||||||
한 일 | 써 이 | 꿰뚫을 관 | 갈 지 | |||||||
一 | 人 | 不 | 過 | 二 | 人 | 智 | 일인불과이인지(一人不過二人智) : 제아무리 똑똑해도 혼자서는 두 사람의 지혜를 넘지 못함.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 |
|||
한 일 | 사람 인 | 아닐 불 | 지날 과 | 두 이 | 사람 인 | 지혜 지 | ||||
一 | 日 | 不 | 讀 | 書 | 口 | 中 | 生 | 荊 | 棘 | |
한 일 | 날 일 | 아닐 부 | 읽을 독 | 글 서 | 입 구 | 가운데 중 | 날 생 | 가시 형 | 가시 극 | |
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 :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친다는 뜻으로, 하루라도 독서를 하지 않으면 수양이 되지 않음을 말함. |
||||||||||
一 | 日 | 如 | 三 | 秋 |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 하루가 삼 년같이 매우 지루함, 또는 애타게 기다림 |
|||||
한 일 | 날 일 | 같을 여 | 석 삼 | 가을 추 | ||||||
一 | 字 | 無 | 識 | 일자무식(一字無識) : 한 글자도 모름. 아무것도 모르는 무식한 사람을 가리킴 |
||||||
한 일 | 글자 자 | 없을 무 | 알 식 | |||||||
一 | 字 | 千 | 金 | 일자천금(一字千金) : 한 글자에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아주 빼어난 글자나 문장을 이르는 말 |
||||||
한 일 | 글자 자 | 일천 천 | 황금 금 | |||||||
一 | 長 | 一 | 短 | 일장일단(一長一短) : 사람은 누구나 장점과 단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는 말 |
||||||
한 일 | 길 장 | 한 일 | 짧을 단 | |||||||
一 | 場 | 春 | 夢 | 일장춘몽(一場春夢) : 한바탕의 봄꿈처럼 허망하고 덧없는 부귀영화 |
||||||
한 일 | 마당 장 | 봄 춘 | 꿈 몽 | |||||||
一 | 點 | 紅 | 일점홍(一點紅) : ① 홍일점(紅一點) ② 석류꽃의 다른 말 |
|||||||
한 일 | 점 점 | 붉을 홍 | ||||||||
一 | 朝 | 一 | 夕 | 일조일석(一朝一夕) : 하루 아침 하루 저녁과 같이 짧은 시간의 비유. 일조(一朝) |
||||||
한 일 | 아침 조 | 한 일 | 저녁 석 | |||||||
一 | 陳 | 狂 | 風 | 일진광풍(一陳狂風) : 한바탕 부는 사납고 거센 바람 |
||||||
한 일 | 펼 진 | 미칠 광 | 바람 풍 | |||||||
一 | 進 | 一 | 退 | 일진일퇴(一進一退) : 막상 막하의 접전. 즉 전쟁터에서 한번 진격했다가 한번 후퇴하는 접전을 반복해서 되풀이하는 상황. 한번 나아갔다 한번 물러섰다 하거나 좋아졌다 나빠졌다 함 |
||||||
한 일 | 나아갈 진 | 한 일 | 물러날 퇴 | |||||||
一 | 觸 | 卽 | 發 | 일촉즉발(一觸卽發) : 조금만 닿아도 곧 폭발할 것 같은 모양. 막 일이 크게 터질 듯한 아슬아슬한 상태. |
||||||
한 일 | 닿을 촉 | 곧 즉 | 쏠 발 | |||||||
一 | 寸 | 光 | 陰 | 일촌광음(一寸光陰) : 아주 짧은 시간. 촌각(寸刻). 일촌광음불가경(一寸光陰不可輕)은 아주 짧은 시간이라도 헛되이 보내지 말라는 뜻 |
||||||
한 일 | 마디 촌 | 빛 광 | 그늘 음 | |||||||
日 | 就 | 月 | 將 | 일취월장(日就月將) : 날마다 달마다 발전하여 나아감. |
||||||
날 일 | 이룰 취 | 달 월 | 나아갈 장 | |||||||
一 | 針 | 見 | 血 | 일침견혈(一針見血) : 침 한 방에 피를 본다는 뜻으로, 간단한 요령으로 본질을 잡아냄을 비유 |
||||||
한 일 | 바늘 침 | 볼 견 | 피 혈 | |||||||
一 | 敗 | 塗 | 地 | 일패도지(一敗塗地) : 한번 싸움에 패하여 땅바닥에 몸이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배하여 다시는 일어날 수 없게 됨 |
||||||
한 일 | 패할 패 | 칠할 도 | 땅 지 | |||||||
一 | 片 | 丹 | 心 | 일편단심(一片丹心) : 오로지 한 곳으로 향한 한 조각의 피같이 붉은 마음. 정성·진심을 뜻함 |
||||||
한 일 | 조각 편 | 붉을 단 | 마음 심 | |||||||
一 | 筆 | 揮 | 之 | 일필휘지(一筆揮之) : 글씨를 단숨에 힘차고 시원하게 죽 써 내림 |
||||||
한 일 | 붓 필 | 휘두를 휘 | 갈 지 | |||||||
一 | 攫 | 千 | 金 | 일확천금(一攫千金) : 힘 안 들이고 한꺼번에 많은 재물을 얻음 |
||||||
한 일 | 붙잡을 확 | 일천 천 | 황금 금 | |||||||
一 | 喜 | 一 | 悲 | 일희일비(一喜一悲) : 기쁜 일과 슬픈 일이 번갈아 일어남 |
||||||
한 일 | 기쁠 희 | 한 일 | 슬플 비 | |||||||
臨 | 渴 | 掘 | 井 | 임갈굴정(臨渴掘井) : 목이 말라서야 우물을 판다는 말로, 미리 준비가 없다가 일을 당하고 나서 서두른다는 뜻 |
||||||
임할 임 | 목마를 갈 | 팔 굴 | 우물 정 | |||||||
臨 | 機 | 應 | 變 | 임기응변(臨機應變) : 그때 그때의 일의 형편에 따라서 융통성 있게 대응함 |
||||||
임할 임 | 기회 기 | 응할 응 | 변할 변 | |||||||
臨 | 床 | 임상(臨床) : 병상에 임한다는 뜻으로, 실지로 환자를 접하여 병의 치료와 함께 그 예방의 실천을 연구함. 임상치료(臨床治療), 임상실험(臨床實驗) |
||||||||
임할 임 | 상 상 | |||||||||
臨 | 時 | 方 | 便 | 임시방편(臨時方便) :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적당한 수단으로 일을 처리함. 방편(方便)은 (불교에서)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편의적인 수단을 말함 |
||||||
임할 임 | 때 시 | 방법 방 | 편할 편 | |||||||
臨 | 時 | 變 | 通 | 임시변통(臨時變通) : 뜻밖에 생긴 일을 우선 임시로 둘러맞춰서 해결함 |
||||||
임할 임 | 때 시 | 변할 변 | 통할 통 | |||||||
臨 | 戰 | 無 | 退 | 임전무퇴(臨戰無退) : 싸움에 임하여 물러섬이 없음 |
||||||
임할 임 | 싸울 전 | 없을 무 | 물러날 퇴 | |||||||
臨 | 陣 | 易 | 將 | 임진역장(臨陣易將) : 싸움터에 임하여 장수를 바꿈. 실제로 일할 때가 되어 익숙한 사람을 버리고 서투른 사람으로 바꿔 씀을 비유. |
||||||
임할 임 | 진칠 진 | 바꿀 역 | 장수 장 | |||||||
立 | 稻 | 先 | 賣 | 입도선매(立稻先賣) : 아직 논이나 밭에서 자라고 있는 벼나 채소 등을 파는 일 |
||||||
설 립 | 벼 도 | 먼저 선 | 팔 매 | |||||||
立 | 勢 | 制 | 勢 | 입세제세(立勢制勢) : 나의 세력을 키워놓고, 상대의 세력을 제압한다는 뜻. |
||||||
설 립 | 기세 세 | 억제할 제 | 기세 세 | |||||||
立 | 身 | 揚 | 名 | 입신양명(立身揚名) : 출세하여 자기의 이름을 세상에 드날림 |
||||||
설 립 | 몸 신 | 오를 양 | 이름 명 | |||||||
入 | 耳 | 出 | 口 | 입이출구(入耳出口) : 귀로 듣고 입으로 금방 말함. 말을 금방 옮긴다는 뜻. |
||||||
들 입 | 귀 이 | 날 출 | 입 구 | |||||||
立 | 錐 | 之 | 地 | 입추지지(立錐之地) : 송곳 하나를 세울 만한 땅. 매우 좁아 조금도 여유가 없음. '입추(立錐)의 여지가 없다' |
||||||
설 립 | 송곳 추 | 갈 지 | 땅 지 | |||||||
入 | 鄕 | 循 | 俗 | 입향순속(入鄕循俗) : 다른 지방에 가서는 그 지방의 풍속을 따름. '로마에 가서는 로마법을 따라야 한다.' |
||||||
들 입 | 시골 향 | 좇울 순 | 풍속 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