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곤(坤) - 문언전(文言傳)
文言曰 坤은 至柔而動也剛하고 至靜而德方하니,
〈문언전(文言傳)〉에 말하였다. 곤괘(坤卦)는 지극히 유순하되 동함이 강(剛)하고, 지극히 고요하되 덕(德)이 방정(方正)하니,
【本義】 剛方은 釋牝馬之貞也니 方은 謂生物有常이라.
강(剛)과 방(方)은 ‘빈마지정(牝馬之貞)’을 해석한 것이니, 방(方)은 사물을 생성함에 떳떳함이 있음을 말한다.
後得하여 主[利]而有常하며,
뒤에 하면 얻어서 이로움을 주장하여 떳떳함이 있으며,
【本義】 程傳曰 主下에 當有利字라
《정전(程傳)》에 말하기를 “주자(主字) 아래에 마땅히 이자(利字)가 있어야 한다.” 하였다.
含萬物而化光하니,
만물을 포용하여 공화(功化)가 빛나니,
【本義】 復明亨義라.
형(亨)의 뜻을 다시 밝혔다.
坤道其順乎인저 承天而時行하나니라.
곤도(坤道)가 순하구나! 하늘을 받들어 때로 행한다.
【傳】 坤道至柔而其動則剛하고 坤體至靜而其德則方하니 動剛이라 故應乾不違하고 德方이라 故生物有常이라 陰之道는 待唱而和라 故로 居後爲得而主利成萬物하니 坤之常也요 含容萬類하니 其功化光大也라 主字下에 脫利字라 坤道其順乎承天而時行은 承天之施하여 行不違時하니 贊坤道之順也라
곤도(坤道)가 지극히 유순하나 그 동함은 강하고, 곤체(坤體)가 지극히 고요하나 그 덕(德)은 방정하니, 동함이 강하므로 건(乾)에 응하여 어기지 않고, 덕(德)이 방정하므로 사물을 생성함에 떳떳함이 있는 것이다. 음(陰)의 도(道)는 선창하기를 기다려 화답한다. 그러므로 뒤에 거함이 얻음이 되어 만물을 이롭게 이룸을 주장하니, 곤(坤)의 떳떳함이요, 만류(萬類)를 포용하니 그 공화(功化)가 빛나며 크다. 주자(主字) 아래에 이자(利字)가 빠졌다. ‘곤도기순호(坤道其順乎) 승천이시행(承天而時行)’은 하늘의 베풂을 받들어서 행함이 때에 어긋나지 않는 것이니, 곤도(坤道)의 순함을 찬양한 것이다.
【本義】 復明順承天之義라.
하늘의 뜻을 순히 받듦을 다시 밝혔다.
○ 此以上은 申彖傳之意하니라.
○ 이 이상은 〈단전(彖傳)〉의 뜻을 거듭 밝힌 것이다.
積善之家는 必有餘慶하고 積不善之家는 必有餘殃하나니 臣弑其君하며 子弑其父가 非一朝一夕之故라 其所由來者漸矣니 由辨之不早辨也니 易曰履霜堅氷 至라 하니 蓋言順也라
선(善)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남은 경사가 있고, 불선(不善)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남은 재앙이 있으니, 신하가 군주를 시해하며 자식이 아비를 시해하는 것은 하루아침과 하룻저녁의 변고가 아니요, 그 말미암아 온 것이 점진한 것이니, 분변(分辯)하기를 일찍 분변하지 않음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역(易)에 이르기를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른다’ 하였으니, 이는 순차적임을 말한 것이다.
【傳】 天下之事 未有不由積而成하니 家之所積者善이면 則福慶及於子孫하고 所積不善이면 則災殃流於後世라 其大至於弑逆之禍라도 皆因積累而至요 非朝夕所能成也라 明者則知漸不可長하고 小積成大하여 辨之於早하여 不使順長이라 故로 天下之惡이 无由而成하니 乃知霜氷之戒也라 霜而至於[一无於字]氷하고 小惡而至於[一无於字]大는 皆事勢之順長也라
천하(天下)의 일은 쌓음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지지 않음이 없으니, 집안에서 쌓은 것이 선(善)이면 복과 경사가 자손에게 미치고, 쌓은 것이 불선(不善)이면 재앙이 후세에 흐른다. 그 큼이 시역(弑逆)의 화(禍)에 이르더라도 모두 누적되어 이루어지는 것이요, 아침저녁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지혜가 밝은 이는 조짐을 자라게 해서는 안 되며 작은 것이 쌓여 큰 것을 이룸을 알아서, 일찍이 분변하여 순차적으로 자라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천하의 악(惡)이 말미암아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니, 이에 서리를 밟으면 얼음이 이르는 경계를 안다. 서리가 얼음에 이르고 작은 악(惡)이 큰 악(惡)에 이름은 모두 사세(事勢)가 순차적으로 자라는 것이다.
【本義】 古字에 順愼通用하니 按此當作愼이니 言當辨之於微也라
고자(古字)에 순(順)과 신(愼)을 통용하였으니, 이를 살펴보면 마땅히 신(愼)이 되어야 하니, 은미할 때에 마땅히 분변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直은 其正也요 方은 其義也니 君子敬以直內하고 義以方外하여 敬義立而德不孤하나니 直方大不習无不利는 則不疑其所行也라
직(直)은 그 바름이요 방(方)은 그 의(義)이니, 군자(君子)가 경(敬)으로써 안을 곧게 하고 의(義)로써 밖을 방정하게 하여, 경(敬)과 의(義)가 확립되면 덕(德)이 외롭지 않으니, ‘직방대불습무불리(直方大不習无不利)’는 그 행하는 바를 의심하지 않는 것이다.
【傳】 直은 言其正也요 方은 言其義也라 君子主敬以直其內하고 守義以方其外하여 敬立而[一作則]內直하고 義形而[一作則]外方하니 義는 形於外요 非在外也라 敬義旣立이면 其德盛矣니 不期大而大矣니 德不孤也라 无所用而不周하고 无所施而不利하니 孰爲疑乎아
직(直)은 그 올바름을 말하고, 방(方)은 그 의로움을 말한다. 군자(君子)가 경(敬)을 주장하여 안을 곧게 하고 의(義)를 지켜 밖을 방정하게 하니, 경(敬)이 확립되어 안이 곧아지고 의(義)가 나타나 밖이 방정해지니, 의(義)는 밖에 나타나는 것이요, 밖에 있는 것은 아니다. 경(敬)과 의(義)가 이미 확립되면 그 덕(德)이 성대(盛大)해지니, 커지기를 기약하지 않아도 커지므로 덕(德)이 외롭지 않은 것이다. 쓰는 바가 두루하지 않음이 없고 베푸는 바가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어찌 의심할 것이 있겠는가.
【本義】 此는 以學而言之也라 正은 謂本體요 義는 謂裁制요 敬則本體之守也라 直內方外는 程傳備矣라 不孤는 言大也라 疑故로 習而後利니 不疑則何假於習이리오
이는 학문으로써 말한 것이다. 정(正)은 본체(本體)를 이르고 의(義)는 재제(裁制)를 이르며, 경(敬)은 본체(本體)를 지키는 것이다. ‘직내방외(直內方外)’의 뜻은 《정전(程傳)》에 자세히 구비하였다. ‘불고(不孤)’는 큼을 말한 것이다. 의심하기 때문에 익힌 후에 이로운 것이니, 의심하지 않으면 어찌 익힐 겨를이 있겠는가.
陰雖有美나 含之하여 以從王事하여 弗敢成也니 地道也며 妻道也며 臣道也니 地道는 无成而代有終也니라
음(陰)은 비록 아름다움이 있으나 이를 머금어 왕사(王事)에 종사하여 감히 이루지 말아야 하니, 땅의 도(道)이며 아내의 도(道)이며 신하의 도(道)이니, 땅의 도(道)는 이룸이 없고 대신하여 끝마침이 있는 것이다.
【傳】 爲下之道는 不居其功하고 含晦其章美하여 以從王事하여 代上以終其事하고 而不敢有其成功也니 猶地道代天終物而成功則主於天也라 妻道亦然하니라
아랫사람이 된 도리는 그 공을 자처하지 않고, 그 아름다움을 머금고 숨겨 왕사(王事)에 종사하여서 윗사람을 대신해 그 일을 끝마치되 그 성공을 차지하지 않으니, 땅의 도(道)가 하늘을 대신하여 사물을 마치나 성공은 하늘을 주장하는 것과 같다. 아내의 도리 역시 그러하다.
天地變化하면 草木蕃하고 天地閉하면 賢人隱하나니 易曰括囊无咎无譽라 하니 蓋言謹也라
천지가 변화하면 초목이 번성하고 천지가 닫히면 현인(賢人)이 은둔하니, 역(易)에 이르기를 ‘주머니끈을 묶듯이 하면 허물도 없고 칭찬도 없다’ 하였으니, 삼가야 함을 말한 것이다.
【傳】 四居上하여 近君而无相得之義라 故로 爲隔絶之象이라 天地交感이면 則變化萬物하여 草木蕃盛하고 君臣相際而道亨하며 天地閉隔이면 則萬物不遂하고 君臣道絶하여 賢者隱遯이라 四於閉隔之時에 括囊晦藏이면 則雖无令譽나 可得无咎니 言當謹自守也라
사(四)는 위에 거하여 군주와 가까워 서로 얻는 뜻이 없다. 그러므로 막히고 끊긴 상(象)이 된다. 하늘과 땅이 서로 감동하면 만물이 변화하여 초목이 번성하고 임금과 신하가 서로 사귀어 도(道)가 형통하며, 천지가 막히고 닫히면 만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군신(君臣)의 도(道)가 끊기어 현자(賢者)가 은둔한다. 사(四)는 닫히고 막힌 때에 주머니끈을 묶듯이 하여 숨고 감추면 비록 훌륭한 명예가 없으나 허물이 없을 수 있으니, 마땅히 삼가서 스스로 지켜야 함을 말한 것이다.
君子黃中通理하여,
군자(君子)가 황(黃)이 중심(中心)에 있어 이치에 통하여,
【本義】 黃中은 言中德在內니 釋黃字之義也라.
황중(黃中)은 중덕(中德)이 안에 있음을 말하니, 황자(黃字)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正位居體하여,
바른 자리에서 체(體)에 거하여,
【本義】 雖在尊位而居下體하니 釋裳字之義也라.
비록 존위(尊位)에 있으나 하체(下體)에 거하였으니, 상자(裳字)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美在其中而暢於四支하며 發於事業하나니 美之至也라.
아름다움이 그 가운데에 있어서 사지(四支)에 창달하며 사업에 나타나니, 아름다움이 지극하다.
【傳】 黃中은 文居中也니 君子文中而達於理하고 居正位而不失爲下之體라 五는 尊位로되 在坤則惟[一作故惟]取中正之義라 美積於中하여 而通暢於四體하고 發見於事業은 德美之至盛也라.
황중(黃中)은 문채가 가운데에 있는 것이니, 군자(君子)는 문채가 가운데에 있고 이치에 통달하며, 바른 자리에 거하여 아랫사람이 된 체(體)를 잃지 않는다. 오(五)는 존위(尊位)이나 곤괘(坤卦)에 있어서는 오직 중정(中正)의 뜻만을 취하였다. 아름다움이 가운데에 쌓여 사체(四體)에 통창하고 사업에 나타남은 덕(德)의 아름다움이 지극히 성(盛)한 것이다.
【本義】 美在其中은 復釋黃中이요 暢於四支는 復釋居體라.
아름다움이 가운데에 있다는 것은 다시 황중(黃中)을 해석한 것이고, 사지(四支)에 창달된다는 것은 다시 ‘거체(居體)’를 해석한 것이다.
陰疑於陽하면 必戰하나니 爲其嫌於无陽也라 故로 稱龍焉하고 猶未離其類也라 故로 稱血焉하니 夫玄黃者는 天地之雜也니 天玄而地黃하니라.
음(陰)이 양(陽)과 대등해지면 반드시 싸우니, 양(陽)이 없다고 혐의할까 염려하였으므로 용(龍)이라 칭하였고, 아직 그 종류를 떠나지 않았으므로 피〔血〕라고 칭하였으니, 검고 누른 것은 천지(天地)가 섞인 것이니,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
【傳】 陽大陰小하여 陰必從陽하나니 陰旣盛極하여 與陽偕矣면 是疑於陽也니 不相從則必戰이라 卦雖純陰이나 恐疑无陽이라 故로 稱龍하니 見其與陽戰也라 于野는 進不已而至於外也니 盛極而進不已면 則戰矣라 雖盛極이나 不離陰類也어늘 而與陽爭하니 其傷可知라 故로 稱血이라 陰旣盛極하여 至與陽爭하니 雖陽이나 不能无傷이라 故로 其血玄黃이라 玄黃은 天地之色이니 謂皆傷也라.
양(陽)은 크고 음(陰)은 작아서 음(陰)이 반드시 양(陽)을 따르는데, 음(陰)의 성함이 이미 지극하여 양(陽)과 함께 하면 이는 양(陽)과 대등해지는 것이니, 서로 따르지 않으면 반드시 싸운다. 이 괘(卦)는 비록 순음(純陰)이나 양(陽)이 없다고 의심할까 두려워하였다. 그러므로 용(龍)이라 칭하였으니, 양(陽)과 싸움을 나타낸 것이다. ‘우야(于野)’는 나아가 그치지 않아 밖에 이르는 것이니, 성함이 지극한데도 나아가 그치지 않는다면 싸우게 된다. 비록 음(陰)의 성함이 지극하나 음(陰)의 유(類)를 떠나지 않았는데 양(陽)과 함께 다투니, 그 상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피라고 칭한 것이다. 음(陰)이 이미 지극히 성(盛)하여 양(陽)과 다툼에 이르니, 비록 양(陽)이라도 상함이 없을 수 없다. 그러므로 그 피가 검고 누른 것이다. 검고 누른 것은 천지(天地)의 색이니, 음(陰)과 양(陽)이 모두 상함을 말한 것이다.
【本義】 疑는 謂鈞敵而无小大之差也라 坤雖无陽이나 然陽未嘗无也라 血은 陰屬이니 蓋氣陽而血陰也라 玄黃은 天地之正色이니 言陰陽皆傷也라.
의(疑)는 힘이 비슷하고 대적하여 크고 작음의 차이가 없음을 말한다. 곤(坤)은 비록 양효(陽爻)가 없으나 양(陽)이 일찍이 없는 것은 아니다. 피는 음(陰)의 등속이니, 기운은 양(陽)이고 피는 음(陰)이다. 검고 누른 것은 천지의 바른 색이니, 음(陰)과 양(陽)이 모두 상함을 말한 것이다.
○ 此以上은 申象傳之意하니라.
○ 이 이상은 〈상전(象傳)〉의 뜻을 거듭 밝힌 것이다.
'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장 乾坤卦 全文과 繫辭傳 등 해설 (0) | 2019.06.04 |
---|---|
제1장 周易의 기초개념 (0) | 2019.06.04 |
1. 건(乾)〔문언전(文言傳)〕 (0) | 2018.09.09 |
周易 / 계사전 설괘전 서괘전 잡괘전 (0) | 2018.09.09 |
河圖 洛書와 팔괘 (0) | 2018.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