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해훈의 고전 속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140> 구양수가 60년 만에 부친의 묘 앞에 세운 비문

bindol 2022. 6. 1. 05:46

선을 행하면 보답하지 않는 법이 없고

 

- 爲善無不報·위선무불보



어머니는 내게 말씀해주셨다. “너의 아버지는 관리일 때 청렴하고 베풀기를 좋아하셨으며 손님을 반기셨다. 비록 박봉이기는 하였으나 늘 남기지 못하게 하시며 말씀하셨다. ‘이 일로 내게 누가 되지 않게 하시오.’ ….” 자식인 나는 흐느끼며 아뢰었다. “아 아! 선을 행하면 보답하지 않는 법이 없고 이르고 늦고의 시기만 있으니, 이것이 불변하는 이치입니다. …”

太夫人告之 曰: “汝父爲吏, 廉而好施與, 喜賓客, 其俸祿雖薄, 常不使有餘, 曰: ‘毌以是爲我累.’ ….” 小子修泣而言曰: “嗚呼! 爲善無不報, 而遲速有時, 此理之常也. ….”(태부인고지 왈: “여부위리, 염이호시여, 희빈객, 기봉록수박, 상불사유여, 왈: ‘관이시위아루.’ ….” 소자수읍이언왈: “오호! 위선무불보, 이지속유시, 차리지상야. …”)

위 문장은 중국 송나라 관료 겸 문인 구양수(歐陽修·1007~1072)가 64세(1070년) 때 60년 전 돌아가신 아버지 구양관(歐陽觀)의 묘 앞에 세운 묘도(墓道)의 비문이다. 묘지는 강서성 영풍현 남쪽 봉황산 상강(瀧岡)에 있다.

구양수는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인데, 우리에게 ‘구양수체’라는 서예가로 잘 알려져 있다. ‘태부인(太夫人)’은 홀로 된 어머니를 이르는 말이다.

구양수는 네 살 때 아버지를 잃었다. 어머니는 곤궁했지만 살림을 꾸리며 아들을 가르쳤다. 어머니는 아들을 가르칠 때 아버지의 훌륭한 언행을 소개했다. 그중 이런 말도 있었다. 너의 아버지는 제사 때면 반드시 눈물로 흐느끼며 말씀하셨다. “제사를 풍성하게 지내도 변변치 않게 봉양함만 못 하다.”

전체 문장은 유년 시기 가정형편, 아버지 인품과 유훈(遺訓), 어머니의 부덕(婦德)과 가르침, 자신의 관료생활 및 집안 영광을 상세히 기술했다. 이를 통해 아버지의 청렴함, 효성스러움, 인자함을 표현하고 조부님과 부친께서 선을 많이 베풀어 그 덕에 자신이 성공했음을 밝혔다.

부모의 공덕과 은덕에 감사하며, 효도를 강조한 정격의 비문이다. 1000년 전 문장이지만, 우리가 새겨들을 대목이 많다. 최근 모 유학자 집안 후손께서 선조 묘소를 단장하면서 묘 앞에 새길 문장에 대해 문의해와 함께 고민했다. 구양수의 위 묘도 비문이 생각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