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2) 추위양국推位讓國 유우도당有虞陶唐
▶ 훈음訓音
推 밀 추 / 位 자리 위 / 讓 사양할 양 / 國 나라 국
有 있을 유 / 虞 나라 이름 우 / 陶 질그릇 도 / 唐 당나라 당
▶ 풀이
자리(位)를 미루고(推) 나라(國)를 사양한(讓) 이는
유우(有虞)와 도당(陶唐)이다.
▶ 자원字原
推 : 손 수扌, 새 추隹(앞으로 날다)가 결합했다. 손을 앞으로 한다는 데서 '밀다'를 뜻한다. 참고로 나아갈 진進도 마찬가지이다.
位 : 사람 인人, 설 립立(팔을 벌린 채 서있는 사람)이 결합했다. 사람이 서 있는 위치라는 데서 '자리'를 뜻한다.
讓 : 말씀 언言, 도울 양襄이 결합했다. 말로 도와준다는 데서 '사양하다'를 뜻한다.
國 : 에워쌀 위囗(성벽), 혹 혹或(창을 들고 성을 지키다)이 결합했다. 성벽으로 둘러쌓인 나라를 지키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나라'를 뜻한다.
有 : 달 월月(고기 육肉의 변형), 왼 좌?(또 우又의 변형, 손)이 결합했다. 고기를 손에 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소유하다’, ‘존재하다’ 등을 뜻한다.
虞 : 범 호虎(용맹함), 성씨 오吳(사람이 물자를 진 모습, 오→우)가 결합했다. 본래 '부국강병한 나라'라는 뜻이다. 우虞나라는 순망치한脣亡齒寒 고사의 주인공이다. 우나라는 진晉나라의 회유에 넘어가 괵虢나라를 배신했다가 결국 괵虢나라를 따라 멸망했다. 여기에서 '염려하다', '속이다'의 뜻으로 쓰이게 됐다.
陶 : 언덕 부阝, 질그릇 도匋(절구질하는 모습)가 결합했다. 질그릇을 구워내는 가마라는 데서 '질그릇'을 뜻한다.
唐 : 입 구口, 별 경庚(탈곡기, 경→당)이 결합했다. 본래 '곡식의 풍요로움'을 뜻한다. 조용조租庸調는 북위北魏에서 시작하여 당唐 시기에 정립된 조세 제도이다. 조용조租庸調 제도는 곧 중앙집권화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당나라'라는 뜻으로 쓰이게 됐다.
'千字文 工夫'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4) 좌조문도坐朝問道 수공평장垂拱平章 (0) | 2022.06.07 |
---|---|
(013) 조민벌죄弔民伐罪 주발은탕周發殷湯 (0) | 2022.06.07 |
(011) 시제문자始制文字 내복의상乃服衣裳 (0) | 2022.06.07 |
(010) 룡사화제龍師火帝 조관인황鳥官人皇 (0) | 2022.06.06 |
(009) 해함하담海鹹河淡 린잠우상鱗潛羽翔 (0) | 202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