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유림) 한자이야기 45

[儒林 속 한자이야기](6)

[儒林 속 한자이야기](6) 유림 (15)에 돈연(頓然)이 나오는데 頓(조아릴 돈,갑자기 돈)은 ‘새싹이 땅을 뚫고 나오는 모양’을 본 뜬 屯(둔)을 음으로 하고,‘큰 머리를 강조해서 그린 사람 모양’인 頁(혈)을 뜻으로 하여 이루어졌다.이 두 글자가 합해 이루어진 頓은 ‘머리를 땅바닥에 닿도록 절하다.’가 본래의 뜻이다. 然(그러할 연)자는 본래 ‘개고기(犬)를 불에 태운다’라는 뜻에서 추출된 ‘태우다’가 본 뜻이다.그러나 이 한자가 ‘그러하다’라는 뜻으로도 쓰이자 火자를 덧붙인 燃(불탈 연)자를 만들어 오늘날 然은 ‘그러하다’,燃은 ‘불타다 ’라는 뜻으로 사용하게 되었다.頓자가 들어가는 말은 흔하지 않은데,그 중 사돈(査頓:혼인으로 맺어진 두 집안 사이)이라는 말이 있다.고려 예종 때에 여진족 정벌에..

[儒林 속 한자이야기](5)

[儒林 속 한자이야기](5) 유림⑭에는 報恩(報갚을 보,恩은혜 은)과는 상대 개념인 施恩(施베풀 시)이 나온다.은혜라는 말이 나오면 보통 다음 일화를 인용하게 된다. 중국 춘추전국(春秋戰國) 시대에 진(晉)나라의 위무자(魏武子)에게는 첩(妾)이 있었다.그런데 위무자가 병들어 눕게 되자 아들인 위과(魏顆)에게 ‘내가 죽거든 내 첩을 改嫁(改고칠 개,嫁시집갈 가)시켜라.’라고 유언했다.그러나 병이 심해지자 마음이 바뀌어 ‘내가 죽거든 내 첩을 殉葬(殉따라 죽을 순,葬장사지낼 장),즉 나와 함께 묻어다오.’라고 말을 바꾸었다. 그후 위무자가 죽자 아들은 아버지의 마지막 유언에 따르지 않고,서모(庶母)를 개가(改嫁)시켰다. 훗날 위과가 진(晉)나라의 장군으로서 진(秦)나라의 장군 두희(杜喜)와 싸우게 되었다.그..

儒林(유림) 속 한자이야기< 4 >

儒林(유림) 속 한자이야기 유림(13)에 梁柱가 나오는데 梁(들보 량)과 柱(기둥 주)의 공통점은 木자가 들어 있다는 것이다. 木자가 들어간 한자는 그 뜻이 나무와 연계되어 나왔으며 本(뿌리 본),末(끝 말) 등과 같이 木자를 이용하여 추상적으로 만든 일부 한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村(마디 촌),材(재목 재),枯(마를 고),梅(매화 매),棟(마룻대 동)과 같이 木자를 제외한 부분이 음이 된다. 柱자도 마찬가지인데 主(주인 주)자가 들어간 한자는 거의가 住(거처할 주),注(물댈 주),駐(머무를 주) 등과 같이 ‘주’로 발음된다. 梁柱는 (대)들보와 기둥으로 집을 지탱하는 핵심 목재(木材)들이기에 국가나 사회의 중요한 인물을 뜻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의미의 한자어로는 柱石(柱石之臣의 준말)과 棟梁(마룻대와..

儒林(유림) 속 한자이야기

儒林(유림) 속 한자이야기 유림 (8)에 나오는 말로 破天荒(파천황)이 있다. 破(깨뜨릴 파)자는 石(돌 석)자와 皮(가죽 피)로 구성되어 있는데 硏(갈 연),碁(바둑 기),碑(비석 비),磐(너럭바위 반) 등과 같이 石자가 들어간 한자의 대부분은 돌과 관계된 뜻을 지니며,나머지 부분이 음이 된다.재미있는 것은 乭(돌 돌)자는 石자와 乙(새 을)이 합하여져 만들어진 우리나라 한자이다. 그리고 皮자가 들어간 경우는 彼(저 피),疲(피곤할 피),被(덮을 피),波(물결 파),婆(할머니 파) 등과 같이 거의 대부분이 ‘피’ 또는 ‘파’로 발음되며 나머지 부분은 뜻이 된다. 파(破)자가 들어가는 말 중에는 요즘 안타깝게도 자주 듣는 파경(破鏡)이 있다.이 말은 송나라 때의 설화집인 太平廣記(태평광기) 중 다음의 일..

儒林(유림) 한자이야기

儒林(유림)속 한자이야기 작가 최인호씨의 연재소설의 제목 의 儒(선비 유)자는 사람 인(人)과 모름지기 수(需=須)의 결합이다. 사람들에게 모름지기 있어야 할 道(도리 도)를 닦는 선비를 뜻한다. 儒라는 한자는 집단을 뜻하는 林(수풀 림)자와 결합되어 공자 등 聖賢(성현:성인과 현인)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하는 經典(경전:성인의 글이나 언행을 기록한 책)과 그에 관련된 학문을 연구·실천하고 국가사회에 구현하고자 했던 사람을 일컫는 말이 되었다. 이러한 구조의 어휘로는 선비의 무리를 뜻하는 士林(사림)과 道敎(도교)가 유행이었던 고려시대에 盲人(맹인)들이 杖(지팡이 장)을 짚고 무리를 지어 다니며 운수를 보아 주고 숙식을 해결했다고 해서 생긴 杖林(장림),그리고 학자 또는 文人(문인)의 모임이라는 뜻의 翰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