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유림) 한자이야기 45

[儒林속 한자이야기] (25)

[儒林속 한자이야기] (25) 而立을 넘어 유림 119에는 老境(노경:늙어서 나이가 많은 때)에 들은,孔子(공자)가 자신이 걸어온 ‘인생의 階段(사다리 계,구분 단)’을 回顧(돌이킬 회,돌아볼 고)한 글을 引用(인용)하고 있다. “나는 열 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志學·지학 혹은 志于學·지우학),서른 살에는 자립을 했으며(而立·이립),마흔 살에는 판단에 혼란을 일으키지 않았고(不惑·불혹),쉰 살에는 천명을 알게 되었으며(知天命·지천명),예순 살에는 귀로 듣는 대로 모든 것을 이해하게 되었고(耳順·이순),일흔 살에는 마음 내키는 대로 좇아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게 되었다(從心·종심,또는 不踰矩·불유구)” 이 가운데 우선 ‘而立’의 字源(자원)을 살펴보자.‘而’자는 원래 ‘턱수염’이라는 뜻으로 통용되던 한자..

[儒林속 한자이야기] (24)

[儒林속 한자이야기] (24) 유림108에 斷崖(厓와 같은 자)가 나온다.繼(이을 계)의 반대 의미를 지닌 斷은 돌도끼를 본뜬 斤(도끼 근)과 나머지 부분(왼쪽)으로 구성되었다.왼쪽 부분은 베틀의 한 부속품인 ‘북’ 또는 두 개의 실타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두 설(說)이 있다.斤이 들어간 한자는 음이 劤(힘 근),芹(미나리 근),近(가까울 근)처럼 ‘근’인 경우가 있는가 하면,斥(물리칠 척),新(새로울 신)처럼 뜻만 도끼와 관련된 경우도 있다.베틀과 관련된 다음 일화는 학업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으로 잘 알려져 있다.맹자가 어렸을 때 유학을 갔다가 학업을 중단하고 집으로 돌아왔다.맹자 어머니가 베를 짜고 있다가 “학문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느냐?”라고 물었다.맹자가 “전과 같습니다.”라고 말하자 어..

[儒林 속 한자이야기](23)

[儒林 속 한자이야기](23) 유림 103에 多辯이 나온다.‘많다’는 뜻의 多는 제사지낼 때 고기(月:肉고기 육)를 몇겹 포개놓은 것에서,또는 저녁(夕)이 매일 오듯 시간이 무궁하게 온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두 說(말씀 설)이 있다.후자와 관련하여 夙(일찍 숙),夜(밤 야),夢(꿈 몽)같은 한자가 만들어졌는데,夕자가 들어간 한자는 시간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辯은 두 죄인(辛辛:죄인서로송사할 변)을 말(言)로 다스린다는 뜻인데 辯論(변론),辯護(변호)처럼 眞僞(진위:진실과 거짓)를 판단,설명한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辨別(변별)이라 할 때의 辨(판단 또는 분별하다 변)자와 혼동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言자가 들어간 한자는 訂(바로잡을 정),記(기록할 기),詠(읊을 영),誤(잘못 오),讓(겸손할..

[儒林 속 한자이야기](22)

[儒林 속 한자이야기](22) 유림 99에 憂憤이 나온다.憂는 마음 속에 근심이 있음을 뜻하는 글자다.심장을 본뜬 心( )이 들어간 한자는 거의가 忌(꺼릴 기:己 몸기+心),忍(참을 인),忘(잊을 망),忙(바쁠 망),忿(분할 분),怒(성낼 노),悟(깨달을 오),悲(슬플 비),悼(슬퍼할 도),情(뜻 정),惻(슬퍼할 측),感(느낄 감),懺(뉘우칠 참)처럼 그 뜻은 마음(心, )과 관련되어 있으며,음은 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된다.憂자가 들어간 한자는 優(넉넉할 우,광대 우), (탁식할 우), (곰방메 우)처럼 ‘우’라고 읽는다.무성하게 돋아난 풀을 본뜬 卉(풀 훼)자와 조개를 본뜬 貝(조개 패)자로 구성된 憤자는 언짢은 일로 마음이 부풀어오름(賁 클 분)을 뜻하는데,분함도 마음의 한 작용이므로 이 들어간다..

[儒林 속 한자이야기](21)

[儒林 속 한자이야기](21) 유림에 千載一遇가 나온다.千자가 들어간 한자어는 千字文처럼 반드시 一千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千劫(천겁:오랜 세월),千古(오랜 옛적),千秋(천번의 가을,즉 오랜 세월),千篇一律(천편일률:많은 시문의 글귀가 거의 비슷비슷함)처럼 반드시 一千을 의미하지 않고 ‘매우 많음’을 뜻하는 경우가 있다.千里眼(천리안)의 千里도 ‘아주 멀리’라는 뜻이다.중국 南北朝시대 北魏(북위)의 양일(楊逸)이라는 사람이 廣州(광저우:허난성 황천현)의 군수로 부임하여 백성들을 위하여 성실히 일했다.한번은 흉년이 들어 굶어 죽는 사람들이 발생하자 실무자들의 반대와 조정의 승낙없이 “나라의 근본인 백성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창고를 여는 것이 죄라면 내가 받겠다.”며 양곡을 방출하여 이들을 구제했..

[儒林 속 한자이야기](20)

[儒林 속 한자이야기](20) 筆 붓 필 (力힘 력·13획) 勢 형세세(竹대나무 죽·12획) →형세글씨에 드러난 힘,문장의 힘 유림 91에 筆勢가 나온다.筆은 聿(마침내 율)에서 나왔는데 聿은 손으로 붓을 잡고 있는 모양을 본뜬 것이나‘이에’라는 뜻으로도 쓰이자 본 뜻을 유지하기 위해 聿자에 竹자를 붙인 것이다.筆에서 대나무를 본뜬 竹자는 붓의 재질(材質)을 나타낸 것이다.竹자가 들어간 한자는 第(차례 제),筵(대자리 연),箸(젓가락 저),篇(책 편)처럼 뜻은 竹과 관련됐으며 음은 나머지 부분이 된다. 글 쓰는 데 필수적인 문방사우(文房四友)에는 紙(종이 지),墨(먹 묵),硯(벼루 연)에 筆(붓 필)이 들어있는데 붓은 쓰는 도구이므로 ‘쓰다.’라는 뜻도 있다.후산담총(後山談叢)에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은..

[儒林 속 한자이야기](19)

[儒林 속 한자이야기](19) 유림 89에 庶弟가 나오는데 庶는 ‘많다,여럿,서자’등의 뜻으로 쓰인다.庶처럼 (집 엄)이 들어간 한자는 대체로 (부엌 포),府(곳집 부),廳(관청 청)처럼 뜻은 과 관련되며,음은 나머지 부분이 된다.첩(妾첩)의 자식을 서자라 하는데,단군신화(檀君神話)에서처럼 고대(古代)에는 제후(諸侯)의 세자(世子)를 적자(適子),기타의 아들을 서자라 하였다. 옛날에 환인(桓因:하느님)의 서자(庶子) 환웅(桓雄)이 인간세상에 뜻을 두었는데, 환인이 천부인(天符印:신의 권한을 상징하는 부적과 도장)을 주고 인간세상을 다스리게 하였다.이에 환웅이 무리 3000명을 거느리고 태백산(太白山:지금의 묘향산) 꼭대기의 신단수(神檀樹) 아래에 내려왔으니 이곳을 신시(神市)라 했다.그는 풍백(風伯),우..

[儒林 속 한자이야기](18)

[儒林 속 한자이야기](18) 유림 76에 무소불위(無所不爲)가 나온다.無는 원래 기구를 가지고 춤추는 무녀(巫女)의 모습을 본 뜬 글자인데,‘없다’라는 뜻으로도 쓰이게 되었다.이에 ‘춤추다’라는 본 뜻을 살리기 위해 無자에 ‘춤추는 두 발을 본뜬 천(舛)’을 넣은 舞(춤출 무)자가 만들어졌다.無자가 들어간 한자는 憮(어루만질 무), (밟을 무) 등과 같이 대부분 음은 ‘무’이며 뜻은 나머지 부분이 된다.所는 ‘∼하는 바,것,곳’을 뜻하는데,所자 다음에는 대체로 소위(所謂),소행(所行)처럼 동사가 놓인다. 不는 나무나 풀의 뿌리를 본뜬 것 또는 아래로 늘어진 한 송이 꽃부리를 본뜬 것이라는 두 설(說)이 있다.흔히 마시는 주량(酒量)이 많은 경우를 주류불사(酒類不辭)라고 잘못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두주불..

[儒林 속 한자이야기](17)

[儒林 속 한자이야기](17) 유림 68에 금과옥조(金科玉條)가 나온다.金(쇠·돈 금,성씨 김)은 쇠붙이를 만드는 ‘거푸집’과 ‘두 쇳덩이(글자 속의 두 점)’를 그린 모양,또는 今(이제 금)이라는 음과 땅 속의 두 금덩이를 본뜬 부분이 합해져 구성되었다는 두 가지 설(說)이 있다.金자가 들어간 한자는 錦(비단 금) 등 일부 한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針(바늘 침),鈍(무딜 둔),銅(구리 동),銘(새길 명)처럼 金자에 뜻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음이 된다. 나라를 망하게 하는 행위라는 의미의 천금매소(千金買笑)라는 말이 있다. 서주(西周)의 마지막 王 유(幽)는 포(褒)나라의 포사라는 여인을 매우 사랑하였으나,그녀는 전혀 웃지를 않았다.그래서 왕은 그녀를 웃기는 사람에게 천금(千金)을 주겠다고 하였다.그러..

[儒林 속 한자이야기](16)

儒林(유림)속 한자이야기 유림 66에 음락(淫樂)이 나오는데,淫은 주로 ‘음탕하다’는 뜻으로 쓰인다. (水)자가 들어간 한자는 汗(땀 한),沐(머리감을 목),注(물댈 주),油(기름 유)와 같이 뜻은 물과 관련하여 형성되며,음은 水를 제외한 부분이 된다. 樂은 나무에 몇 개의 줄을 매어놓은 악기,또는 악기대(木)에 걸어 놓은 크고 작은 북이라는 설(說)이 있는데,그 뜻과 음은 세가지로 활용된다. 첫째로 음악(音樂),관악기(管樂器)에서처럼 ‘풍류 악’으로 쓰인다.악기 중에는 줄을 이용한 현악기(絃樂器)도 있는데,옛날에는 琴(거문고 금)과 瑟(비파 슬)이 대표적이었다.이 두 악기는 연주할 때 좋은 화음을 이루기에 부부(夫婦)에 비유돼 부부사이가 좋은 경우를 ‘금슬이 좋다,또는 금슬상화(琴瑟相和)’라 하며,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