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유림) 한자이야기 45

[儒林 속 한자이야기] (81)野合(야합)

[儒林 속 한자이야기] (81)野合(야합) [유림 속 한자이야기] 野合(야합) 儒林(383)에는 ‘野合’(들 야/합할 합)이 나오는데, 이 말은 ‘夫婦(부부)가 아닌 男女(남녀)가 서로 情(정)을 통하거나 좋지 못한 목적(目的)으로 서로 어울림’을 뜻한다. ‘野’의 原字(원자)는 ‘’(야)이다.‘’는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숲’과 거기에 세워놓은 ‘男根石(남근석)’의 모양을 본뜬 ‘ ’(두)를 합한 會意字(회의자)라는 설이 흥미롭다. 이 글자는 뒷날 밭(田)과 흙(土)을 합하고, 다시 音符(음부)에 속하는 ‘予’(여)를 더한 형태인 ‘野’로 바뀌었다.用例(용례)에는 ‘野心(야심:무엇을 이루어 보겠다고 마음속에 품고 있는 욕망이나 소망),下野(하야:시골로 내려간다는 뜻으로, 관직이나 정계에서 물러남을 이르..

[儒林 속 한자이야기] (76)英才(영재)

[儒林 속 한자이야기] (76)英才(영재) 儒林(유림) (362)에는 ‘英才’(빼어날 영/재주 재)가 나오는데, 이 말은 ‘뛰어난 재주’, 혹은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일컫는다.‘英’자는 意符(의부)인 ‘艸’(풀 초)와 音符(음부)에 해당하는 ‘央’(가운데 앙)이 합쳐진 形聲字(형성자)이다.用例(용례)에는 ‘英明(영명:영민하고 총명함),英雄(영웅:재능과 담력이 탁월한 인물),育英(육영:영재를 가르쳐 기름. 교육을 이르는 말)’ 등이 있다. ‘才’자의 字源(자원)에 대해서는 ‘새싹이 땅 위로 돋아나는 모양’의 象形(상형)으로 ‘돋아나는 모양’이 본래의 의미라는 설,‘才’가 ‘在’(있을 재)의 본디 글자라는 점에 착안하여 ‘어떤 지점이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한 標識(표지)’라는 설 등의 의견이 紛紛(분..

[유림 속 한자이야기](74) 鼓盆之痛(고분지통)

[유림 속 한자이야기](74) 鼓盆之痛(고분지통) 儒林 342에는 ‘鼓盆之痛’(두드릴 고/동이 분/어조사 지/아플 통)이 나오는데,‘버치를 두드리는 비통함’이라는 뜻으로,‘아내를 잃은 슬픔’을 말한다. 남편의 죽음은 ‘崩城之痛’(붕성지통:성이 무너질 만큼 큰 슬픔이라는 뜻),兄弟姉妹(형제자매)의 죽음은 ‘割半之痛’(할반지통:몸의 반쪽을 베어내는 고통이라는 뜻)이라 한다. ‘鼓’는 ‘북과 북채’의 상형이다. 왼쪽이 ‘북’의 상형이며 오른쪽은 북채를 든 손의 상형이다.鼓의 用例(용례)에는 ‘鼓動(고동:피의 순환을 위하여 뛰는 심장의 운동),鼓舞(고무:힘을 내도록 격려하여 용기를 북돋움),鼓手(고수:북이나 장구 따위를 치는 사람)’ 등이 있다. ‘盆’은 ‘동이’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意符(의부)인 ‘皿’(..

[유림 속 한자이야기] (71) 奔喪(분상)

[유림 속 한자이야기] (71) 奔喪(분상) 儒林 (322)에는 ‘奔喪’(달릴 분/잃을 상)이 나오는데,‘먼 곳에서 부모가 돌아가신 소식을 듣고 급히 집으로 돌아감’을 이르는 말이다. ‘奔’자의 金文(금문) 자형을 보면 사람이 팔을 휘젓고 있으면서 그 아래에는 발을 뜻하는 ‘止’(지)자가 세 개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會意字(회의자)이다. 用例(용례)에는 ‘奔忙(분망:매우 바쁨),奔放(분방:규칙이나 규범에 구애받지 않고 제멋대로임),奔走(분주:몹시 바쁘게 뛰어다님)’ 등이 있다. ‘喪’자는 뽕나무 한 그루와 그 가지에 걸린 대바구니들을 본뜬 글자로, 원래 뜻은 ‘뽕잎을 따다’였다. 그런데 뽕나무는 다른 나무와 달리 누에의 먹잇감으로 잎을 모두 잃어버린다. 여기서 착안하여 喪에서 ‘잃어버리다’‘죽다’의 뜻이..

[유림 속 한자이야기] (70) 巫山之夢(무산지몽)

[유림 속 한자이야기] (70) 巫山之夢(무산지몽) 儒林 (323)에는 巫山之夢(무당 무/뫼 산/어조사 지/꿈 몽)이 나오는데,‘남녀간의 密會(밀회)나 情交(정교)’혹은 ‘덧없는 한때의 꿈’을 이르는 말이다. ‘巫’는 工(공)자 모양을 가로 세로로 놓은 형태의 도구인데, 가로로 놓였던 부분이 小篆(소전)에서 人(인)자처럼 변하여 오늘날의 字形(자형)으로 변했다.用例(용례)로는 ‘巫覡(무격:무당과 박수),巫女(무녀:무당),巫俗(무속:무당의 풍속)’ 등이 있다. ‘山’자는 산 모양을 본뜬 것이다. 참고로 ‘岳’은 산 뒤에 두어 봉우리의 산이 더 보이는 글자이니 山보다는 더 높고 큰 산의 상형이다.山자의 用例에는 山戰水戰(산전수전:세상의 온갖 고생과 어려움을 다 겪었음),山海珍味(산해진미:산과 바다에서 나는 ..

[유림 속 한자이야기] (59)

[유림 속 한자이야기] (59) 犯房(범방) 儒林 279에는 ‘犯房(범할 범/방 방)’이 나오는데, 이 말은 ‘남녀가 성적(性的)으로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다.犯자는 ‘침범하다’는 뜻으로 說文解字(설문해자)에서는 ‘ (병부 절)’을 音符(음부:발음요소)로 설명하고 있으나 오늘날 音價(음가)만 놓고 본다면 納得(납득)하기 어렵다. 재미있는 것은 (절),尸(시),匕(화),人(인),大(대)가 모두 사람을 象形(상형)한 글자라는 점이다. 은 ‘꿇어앉은 사람’,尸는 ‘쪼그리고 앉은 사람’,匕(이때는 ‘화’로 발음하며, 숟가락을 나타내는 匕와는 별개의 글자임)는 ‘거꾸로 선 사람’,人은 ‘서있는 사람의 옆모습’,大는 ‘팔을 벌리고 선 사람’을 본뜬 것이다. 用例(용례)에는 ‘犯法(범법:법에 어긋나는 짓을 함)’‘主..

[儒林 속 한자이야기] (54)

[儒林 속 한자이야기] (54) 儒林(유림) 206회에는 ‘割鷄牛刀(벨 할/닭 계/소 우/칼 도)’가 나온다. 이 말의 出典(출전)은 論語(논어) 陽貨(양화)편의 ‘割鷄焉用牛刀(할계언용우도)’이다. 이 말은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않게 큰 대책을 쓰는 어리석음’을 뜻한다. 後漢(후한)의 사상가 王充(왕충)의 저서인 論衡(논형)에는 ‘소 잡는 칼로 닭을 잡을 수는 있으나, 닭 잡는 칼로 소를 잡기는 어렵다.’(牛刀可以割鷄,鷄刀難以屠牛:우도가이할계, 계도난이도우)라는 유사한 文句(문구)가 보인다. ‘割’은 ‘가르다’‘자르다’는 뜻으로 用例(용례)에는 ‘割股啖腹(벨 할/넓적다리 고/먹을 담/배 복:눈앞의 이익만을 꾀하다가 신세를 망침)’‘割愛(할애:소중한 시간, 돈, 공간 따위를 아깝게 여기지 아니하고 선뜻 내..

[儒林 속 한자이야기] (46)

[儒林 속 한자이야기] (46) 유림 219호에는 ‘艱難辛苦’(어려울 간/어려울 난/매울 신/쓸 고)가 나오는데, 이 말은 ‘몹시 힘들고 어려우며 고생스러움’을 뜻하며,‘艱難險阻’(간난험조),‘千辛萬苦’(천신만고)와 뜻이 類似(유사)하다. ‘艱’자의 원래 뜻은 ‘다루기 힘든 흙’이었으나 점차 ‘어렵다’‘괴롭다’‘고생하다’라는 뜻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艱苦’(간고:고생)와 ‘艱深’(간심:시문의 뜻이 깊어 해석하기 어려움)등에 쓰인다. ‘難’자는 본래 ‘菫’과 ‘鳥’를 결합한 글자 형태였으나 劃數(획수)를 줄이기 위하여 ‘難’자로 바꾸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새의 일종’을 가리켰는데, 점차 ‘어렵다’‘쉽지 않다’‘근심’‘재앙’‘나무라다’‘원수’‘우거지다’ 등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難堪’(어려울 난/견..

[儒林 속 한자이야기] (28)

[儒林 속 한자이야기] (28) 유림 132 에는 ‘臨渴掘井(임할 림,목마를 갈,팔 굴,우물 정)’이라는 成語(성어)가 나온다. ‘臨’의 본래 뜻은 ‘높은 위치에서 몸을 구부려 아래쪽의 물건을 내려다보는’ 것으로,臥(와)와 品(품)이 합쳐진 글자이다.‘臣’의 본래 뜻은 ‘구부리고 앉아 있는 사람’이며,‘臥’는 무엇에 기대 앉아 쉬는 상태를 나타낸다.‘品(품)’의 원래 뜻은 세 사람의 입,즉 ‘여러 사람’을 나타낸다. 臨자의 用例(용례)는 형편에 따라 적절한 수단을 강구한다는 臨機應變(임기응변),시기가 닥쳐온다는 ‘臨迫(임박)’,부모가 돌아가실 때 곁에서 지키는 ‘臨終(임종)’이 있다. ‘渴’은 ‘水’와 ‘曷(어찌 갈)’이 합쳐진 글자로 본래의 ‘물이 다 마르다.’라는 뜻에서 ‘목마르다.’는 의미와 ‘급하..

[儒林 속 한자이야기] (26)

[儒林 속 한자이야기] (26) 克己復禮(극기복례) 유림 123에는 ‘禮’가 나온다. ‘說文解字(설문해자)’에 의하면 ‘禮(예도 례)’는 신 앞에 제사하여 복을 구한다 할 때 신을 뜻하는 ‘示’(보일 시)자와 제를 행하는 그릇을 의미하는 ‘ ’(제기이름 례)자의 합체이며,그 발음도 ‘ ’자에서 취한 글자임을 알 수 있다. ‘示’에 대해서는 光明崇拜(빛광,밝을 명,높일 숭,절 배),生殖器(날 생,번성할 식,그릇 기)의 상징,祭壇(제단) 등의 여러 설이 있으나 모두 神(신) 또는 絶對者(절대자)를 숭배하는 뜻을 담고 있다.그리고 ‘豊’의 원형은 ‘ ’자이며,나무로 만든 제기인 ‘豆’(두) 위에 祭物(제물)을 올려놓은 글자이다.따라서 ‘禮’의 자학적(字學的)인 의미는 역시 神 앞에 제물을 올리며 복을 비는 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