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 세상을 말하다] 必罰<필벌> 대통령 광복절 특사가 있을 예정이다. 경제인 포함 여부가 관심이다. 춘추전국시대 법가(法家)를 완성한 한비자(韓非子)는 군주의 벌(罰) 집행에 관심이 많았다. 그에게 국가 지도자의 바람직한 형벌 운용의 지혜를 구해보자. 한비자는 엄격한 법 집행을 주장했다. 군주의 통치술 7개 항.. 實用 漢字 2018.06.30
[漢字, 세상을 말하다] 伴食宰相<반식재상> 당(唐) 현종(玄宗)은 말년에 양귀비(楊貴妃)에게 빠져 국사를 그르쳤다. 그러나 초기엔 어진 재상을 등용해 ‘개원(開元)의 치(治)’라 불리는 당의 황금기를 이룩했다. 사치 풍조를 몰아내기 위해 문무백관의 호화로운 관복을 벗겨 궁전 안마당에 쌓아 놓고 불을 질렀는가 하면 세금과 부.. 實用 漢字 2018.06.30
[漢字, 세상을 말하다] 我中有?, ?中有我 <아중유이, 이중유아> 조맹부(趙孟?)는 몽골의 원(元)왕조가 중국을 지배하던 시절 최고 서예가로 꼽히는 인물이다. '송설체(松雪體)'가 그의 서체다. '조맹부체'라고도 한다. 그에게는 관도승(管道昇)이라는 이름의 부인이 있었다. 총명하기로 이름이 높았고, 남편 못지 않은 회화와 시작(詩作)능력을 지니고 있.. 實用 漢字 2018.06.30
壟斷 -농단- 漢字, 세상을 말하다 농단(壟斷)은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에 나오는 말이다. 원문에는 용단(龍斷)으로 돼 있다. 여기서는 용(龍)이 농(壟)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 설(說)이 열(悅)로 쓰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 농(壟)은 언덕, 단(斷)은 낭떠러지로 농단은 높직한 낭떠러지를 일컫는다... 實用 漢字 2018.06.30
[漢字, 세상을 말하다] 三伏<삼복 한자 복(伏)은 개(犬) 한 마리가 사람(?)을 등 뒤에서 쫓는 모습의 회의자(會意字)다. 곧 개가 덮쳐 앞선 사람은 바닥에 엎어질 기세다. 뜻이 ‘엎드리다’가 된 이유다. 복은 포박당해 무릎 꿇은 사람 등 뒤를 손으로 잡고 있는 모양의 한자 복(服)과 통한다. 복종(服從)?굴복(屈伏)?항복(降.. 實用 漢字 2018.06.30
[漢字, 세상을 말하다] 十目所視<십목소시> 유상철 기자 모야무지(暮夜無知)란 말이 있다. 모(暮)는 저녁, 야(夜)는 밤을 말하니 직역하면 밤이 깊어 아무도 알지 못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그 의미가 확장돼 뇌물이나 선물을 몰래 주는 걸 ‘모야무지’라 일컫게 됐다. 후한(後漢) 시절 왕밀(王密)이란 사람이 양진(楊震)이란 이에게 .. 實用 漢字 2018.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