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사람의 마음속에 한 구절의 참된 문장을 지니고 있지만 모두 옛사람들의 부스러기 글 때문에 굳게 갇혀 있다. 한 가락의 참된 음악을 지니고 있지만 모두 요사스런 노래와 요염한 춤 때문에 파묻혀 있다. 배우는 사람은 모름지기 외물(外物)을 쓸어내고 직접 본래의 마음을 찾아야 비로소 참다운 누림이 있으리라.
------------------------------------------------
※ 자기 속에 있는 참 마음의 글과 참 마음의 노래를 자유로이 읽고 들을 수 있어야 스스로 수양의 극치에 이를 수 있다는 뜻.
○ 都被(도피) : 모두 영향을 받음. 都(도)는 대개. 被(피)는 (영향을) 받다. ○ 殘編斷簡(잔편단간) : 단편적으로 남아 있는 불완전한 옛 기록. 옛 사람이 남긴 무가치한 책. 옛날에는 대나무로 책을 만들었으므로 編(편) 또는 簡(간)이라 하였다. 殘編斷簡(잔편단간)이란 여러 동강이가 난 글이 조각조각 흩어져 못 쓰게 된 책을 말한다. ○ 封錮(봉고) : 굳게 갇혀 있다. 封은 봉할 ‘봉’. 錮는 막을 ‘고’. ○ 鼓吹(고취) : 북을 치고 피리를 붐. 곧 음악을 가리킨다. ○ 妖歌艶舞(요가염무) : 요사스런 노래와 요염한 춤. ○ 湮沒(인몰) : =湮滅(인멸). 자취도 없이 죄다 없어짐. 湮은 묻힐 ‘인’. 沒은 빠질 ‘몰’. ○ 外物(외물) : 마음에 접촉되는 객관적 세계의 모든 대상. ○ 覓本來(멱본래) : 본래의 참마음을 찾음. 覓은 찾을 ‘멱’. ○ 纔(재) : 겨우, 비로소 ○ 眞受用(진수용) : 참된 것을 받아 쓸 수 있다. 즉, 참다운 누림.
|
'菜根譚'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59[채근담(菜根譚)] 前集 59.권력으로 얻은 부귀와 명예는 오래가지 못한다 (0) | 2018.06.07 |
---|---|
[스크랩] 58[채근담(菜根譚)] 前集 58.인생의 고락(苦樂)은 함께 온다 (0) | 2018.06.07 |
[스크랩] 56[채근담(菜根譚)] 前集 56.책을 읽되 성현의 뜻을 보아라 (0) | 2018.06.07 |
[스크랩] 55[채근담(菜根譚)] 前集 55.사치하는 사람은 부유해도 항상 부족하다 (0) | 2018.06.07 |
[스크랩] 54[채근담(菜根譚)] 前集 54.마음이 깨끗해야 올바르게 배울 수 있다 (0) | 2018.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