菜根譚

196[채근담(菜根譚)] 前集 196.산이 너무 높으면 나무가 없고, 사람이 너무 고상하면 외롭다

bindol 2018. 6. 24. 16:13


채근담(菜根譚) 전집(前集)<전집 225, 후집 134>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

196.산이 너무 높으면 나무가 없고, 사람이 너무 고상하면 외롭다.




) --> 

196.

) --> 

山之高峻處(산지고준처)無木(무목)이나

而谿谷廻環(이계곡회환)則草木(즉초목)叢生(총생)하고

水之湍急處(수지단급처)無魚(무어)

而淵潭停蓄(이연담정축)則魚鼈(즉어별)聚集(취집)하니

此高絶之行(차고절지행)褊急之衷(편급지충)

君子(군자)重有戒焉(중유계언)이라.

) --> 

) --> 

산이 높고 험준한 곳에는 나무가 없으나

골짜기가 감도는 곳에는 초목이 무성하고,

물살이 세고 급한 곳에는 물고기가 없으나

연못이 깊고 고요한 곳에는 물고기와 자라가 모여드니

지나치게 고상한 태도와 좁고 급한 마음을

군자는 깊이 경계해야 하느니라.

) --> 

------------------------------------


) --> 


 

高峻(고준) : 산이 높고 가파름.

廻環(회환) : 굽이굽이 감돌다.

叢生(총생) : 초목 따위다 더부룩하게 무더기로 남. 빽빽이 나 있는 모습.

湍急(단급) : 물살이 세고 급함. 은 여울 으로 급류를 말한다.

淵潭(연담) : 연못. 깊은 못.

停蓄(정축) : 물이 괴어 쌓인다. , 깊고 고요함.

聚集(취집) : 모여들거나 모아들임.

高絶之行(고절지행) : 더없이 뛰어나고 높은 행실.

褊急之衷(편급지충) : 소견이 좁고 급격한 마음. 褊急(편급)은 소견이 좁고 성질이 몹시 급함. 은 속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