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 논설위원
얼마나 미워했으면 이런 족보까지 만들었을까. 유교사회 조선의 사대부들이 족보를 만들어 가문의 전통을 이어간 건 누구나 아는 상식이지만 당대 명문가들이 원수 관계에 있는 상대방 가족까지 기록해 후세에 전했다는 사실은 최근에야 알았다. 이른바 세혐보(世嫌譜)다. 세혐은 두 집안 사이에 대대로 내려오는 원한을 말한다. 오랜 세월 척진 집안을 혐가(嫌家)·수가(讐家) 등으로 표현했다. 조선 후기 유행한 ‘세혐보’ 세혐보를 만든 목적은 명확했다. 상대 가문과 혼인은 물론 교류를 금하려는 뜻에서다. 세대가 쌓일수록, 즉 상대의 후손이 많아질수록 구성원을 기억하기 어려워졌기에 일종의 ‘블랙 리스트’를 작성했다. 많을 경우 서로 피해야 할 가문이 수십 군데에 이르렀다. 수록된 인원수가 3000여 명에 달하기도 했다. 제작 배경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붕당(朋黨) 정치와 관계가 깊다. 배제의 정치, 타자의 정치다. 서울 인사동 고서문화를 지켜온 김영복(왼쪽) 케이옥션 고문과 여승구 화봉문고 회장. 서로 ‘인사동의 대부’ ‘인사동의 천재’라고 추켜세웠다. [중앙포토] 현재까지 조사된 세혐보는 그리 많지 않다. 세월이 흐르면서 보관 순위에서 밀려 유실되거나, ‘증오의 유물’에 대한 후손들의 부정적 인식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 세혐보 한 권을 지난 2일 서울 인사동 화봉문고 전시장에서 만났다. 누렇게 퇴색된 표지에 적힌 『수혐록(讐嫌錄)』 세 글자가 또렷했다. 19세기에 제작된 필사본으로, 대부분 남인과 소론계 집안을 수록했기에 노론계 집안에서 작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혐록(讐嫌錄)』 표지 이달 말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엔 ‘기록의 나라’ ‘활자의 나라’였던 조선의 구석구석을 보여주는 전적(典籍) 100종이 나왔다. 전시 제목은 ‘서여기인’(書如己人). ‘글과 책이 곧 사람’이라는 뜻이다. 불경 목판본·활자본·필사본, 김정희·이광사의 문집, 한석봉·강세황의 서첩 등이 두루 나왔다. 전시는 아담하지만 우리 선인들의 서권기(書券氣·책에서 풍기는 기운)를 듬뿍 느낄 수 있다. 서울 인사동에서 고서와 45년을 함께해온 김영복(66) 케이옥션 고문이 평생 수집한 애장품 가운데 엄선한 것이다. 현대인의 일상과 갈수록 멀어지는 옛날 책이나 한국문화 DNA의 바탕을 이루는 귀한 자료들이다.
|
'新聞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수대] 밥캣 (0) | 2020.06.04 |
---|---|
[노트북을 열며] 통계는 정치다 (0) | 2020.06.04 |
[이상언의 시시각각] 당신이 왜 거기서 나와? (0) | 2020.06.04 |
[박보균 칼럼] 진실의 가장 큰 적은 신화다 (0) | 2020.06.04 |
[동서남북] 기부 수난 시대 (0)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