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속 한자이야기](21)
유림에 千載一遇가 나온다.千자가 들어간 한자어는 千字文처럼 반드시 一千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千劫(천겁:오랜 세월),千古(오랜 옛적),千秋(천번의 가을,즉 오랜 세월),千篇一律(천편일률:많은 시문의 글귀가 거의 비슷비슷함)처럼 반드시 一千을 의미하지 않고 ‘매우 많음’을 뜻하는 경우가 있다.千里眼(천리안)의 千里도 ‘아주 멀리’라는 뜻이다.중국 南北朝시대 北魏(북위)의 양일(楊逸)이라는 사람이 廣州(광저우:허난성 황천현)의 군수로 부임하여 백성들을 위하여 성실히 일했다.한번은 흉년이 들어 굶어 죽는 사람들이 발생하자 실무자들의 반대와 조정의 승낙없이 “나라의 근본인 백성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창고를 여는 것이 죄라면 내가 받겠다.”며 양곡을 방출하여 이들을 구제했다.또한 민폐를 없애기 위해 감시원을 곳곳에 배치하여 군대나 공무원이 지방에 갈 때는 반드시 자기가 먹을 식량을 지참하게 하였다.이에 지방 사람들이 그들에게 식사를 제공하려 하면 그들은 “楊使君(양사군:양일)께서 千里眼을 가지고 계신데 어찌 속일 수 있겠소.”라며 거절하였다.이에 千里眼은 본래 千里(먼 곳)를 내다본다는 뜻이나,후에는 미래의 일이나 남을 꿰뚫어 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했다. |
'儒林(유림)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儒林 속 한자이야기](23) (0) | 2020.09.13 |
---|---|
[儒林 속 한자이야기](22)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20)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19)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18) (0) | 2020.09.13 |